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술 후 발생한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아 증례 1례

        하광수,김선미,나효석,최윤희,하수연,김하얀,송인선,Ha, Kwang-Su,Kim, Sun-Mi,Na, Hyo-Sock,Choi, Yun-Hui,Ha, Su-Yun,Kim, Ha-Yan,Song, In-Sun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6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0 No.3

        Objectives : Cerebrovascular disease in children is more common than once recognized and the etiology. In stroke patient, dysphagia is a common. Dysphagia often affects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by increasing the risk of aspiration pneumonia and malnutrition. This is the clinical report about 1 case of patient with dysphagia who had a stroke developed after operation. Methods : The herb medicine, moxibustion and acupuncture therapies were applied for treating this patient's chief symptom. Results : This patient's dysphagia was improved by oriental medical therapy. Conclusions :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herb medicine and acupuncture therapies is efficacious against dysphagia associated with stroke. We though that more studies about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dysphagia associated with stroke are needed.

      • KCI등재

        급성 골수성 백혈병 10세 환아의 한방적 처치에 대한 증례보고

        하광수,송인선,신지나,이정림,Ha, Kwang-Su,Song, In-Sun,Shin, Ji-Na,Lee, Jeong-Lim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4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8 No.2

        저자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받은 환아의 범혈구감소증으로 인한 출혈(出血)소견과 전신자반증(全身紫班症), 정신의식계통의 혼돈(混沌)과 극도의 허손(虛損)상태를 경험하고 이를 한방적으로 접근하여 짧은 기간이었으나마 호전도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백혈병은 아직까지는 한방으로 완치(完治)라는 것이 어려운 분야이지만, 일차적으로 관해 유도법을 도입하기전이나 관해 후의 허손(虛損)으로 환자의 체력이 됫받침되지 못할때 충분히 양방과 협진하여 그 효과를 입증할수 있다고 생각된다. 아직까지 한방분야에서 백혈병 등의 혈액암에 있어서는 그 문헌적인 연구는 미흡하나마 존재하지만, 임상적인 연구나 치료방법적인 면으로는 보고된 바가 부족하며 이 논문을 계기로 다양한 임상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oriental treatment on Acute Myelogenous Leukemia.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by Acupuncture, Indirect Moxibustion, Herb Medicine (Seogakjihwangtang-gamibang), and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cute Myelogenous Leukemia. Results : 1. Acute Leukemia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neoplasm of pediatrics, and is chracterised by anemia, infections, bleeding, debility, paleness, fever, anorexia, lymphoadenia, hepatomegaly, splenomegaly, etc. 2. The management of Acute Myelogenous Leukemia consists of the challenge of optimizing chance for prolonged remission and cure, while minimizing the toxicity to the patients. Therefore oriental medical treatment may be useful for this. 3. We experienced a case of the 10-year-old male patient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after oriental medical treatment his chief symptoms(anemia, bleeding, purpura, debility, paleness, fever, anorexia, insomnia, etc)and general condition were improved. Conclusion : A 10-year-old male patient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after oriental medical treatment his chief symptoms and general condition were improved. This oriental medical treatment may be possible or effective in Acute Myelogenous Leukemia. The more clinical study about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Acute Myelogenous Leukemia will be needed.

      • KCI등재

        경남 한산·거제만해역에서 생산된 패류의 위생학적 안전성 평가

        하광수,이가정,정연중,목종수,김풍호,김연계,이희정,김동욱,손광태,Ha, Kwang-Soo,Lee, Ka-Jeong,Jeong, Yeon-Jung,Mok, Jong-Soo,Kim, Poong-Ho,Kim, Yeon-Kye,Lee, Hee-Jung,Kim, Dong-Wook,Son, Kwang-Tae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경남 한산 거제만 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에 대한 위생지표세균, 마비성 패류독소, 설사성 패류독소를 분석하여 세균학적 독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굴 시료 404점에 대한 분변계대장균은 < 18~330 MPN/100 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대장균 230 E. coli MPN/100 g을 초과한 시료는 없었다. 굴 수확시기 동안 분석한 대장균의 기하학적 평균치는 24.3 MPN/100 g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한산 거제만해역에서 생산되는 굴의 세균학적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식품위생법의 생식용 굴에 대한 위생기준을 만족하였고, EU의 패류생산해역 A등급 기준에 부합하였다. 한산 거제만해역의 독물학적 평가를 위해 굴 532개 시료와 패류독소 지표종인 지중해담치 268개 시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비성패류독소는 2013년 4월에 지중해담치 3개 시료에서 1.20~2.29 mg/kg 범위로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으나, 굴시료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총 120개 시료에서 설사성패류독소를 분석하였으나, 정량한계 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독물학적 안전성 평가결과, 굴 시료에서는 마비성 및 설사성패류독소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지표종인 지중해담치에서는 마비성패류독소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안전관리가 요구되었다. To evaluate bacteriological and toxicological safety hygienic indicator bacterium and paralytic and diarrhetic shellfish toxins in the shellfish produced in Hansan Geojeman 2013-2017 were investigated. Fecal coliforms were < 18~330 MPN/100 g in 404 oyster samples. But all samples tested, did not exceed 230 E. coli MPN/100 g. Geometric mean of E. coli for oyster samples collected during major shellfish production period was 24.3 MPN/100 g, considerde stable results. Bacteriological quality of oysters collected from Hansan Geojeman meets the standard value based on shellfish hygiene of the Food Sanitation Act of Korea and also meets Grade A,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shellfish harvesting areas of the European Union. For toxicological evaluation of Hansan Geojeman, 532 oyster samples and 268 mussel samples as an indicator, were analyzed. Paralytic shellfish toxins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0.42~2.29 mg/kg in eight mussel samples, and exceeded criteria in three samples from early to late April 2013. Diarrhetic shellfish toxin was detected in three of 120 samples, but it was revealed to be under regulation value (0.16 mg Okadaic Acid equ./kg). As a result of toxicological evaluation, paralytic and diarrhetic shellfish toxins were not detected in oyster samples, but it was found that mussel as an indicator species, exceeded the threshold value of paralytic shellfish toxin. Accordingly, sanitary surveys were continuously requested for food safety management of shellfish.

      • KCI등재후보

        Cerebellar Atrophy로 인해 유발된 Spinocerebellar Ataria 환아(患兒) 1례(例) 보고(報告)

        하광수,김선미,하수연,송인선,이정림,Ha, Kwang-Su,Kim, Sun-Mi,Ha, Su-Yun,Song, In-Sun,Lee, Jeong-Lim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5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19 No.2

        저자는 Brain MRI 상 Cerebellar atrophy로 인한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으로 진단받은 6세 환아의 Ataxia, Dysarthria, 두부진전증(頭部振顫症), 안진(眼振) 등에 대해 한방적 치료 후 호전도가 있었기에 이에 증례보고(證例報告)하는 바이다. 특히 두진(頭振), 안진(眼振)과 같은 진전(振顫)질환과 실조증에 대하여 두침(頭鍼)시술이 유효성이 컸으며, 오지(五遲) 오연증(五軟證)에 대하여서 간(肝), 신정격(腎正格)과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장기 투여가 효과가 있었다. 일반적인 SCA, ADCA가 청, 장년기 이후에 발생하고 유전적인 경향이 큰 것에 반해 재태(在胎)시 큰 이상없이 생후 특발적으로 발생한 척수 소뇌성 운동실조에 대하여서는 한방적으로 증례보고(證例報告) 된 바가 드문 실정으로 유, 소아의 이러한 질환에 대한 진일보된 연구과 함께 평가척도나 치료방법적인 면에서의 고찰(考察)이 더욱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utosomal dominent cerebellar ataxia(ADCA) is an unusal familial herediatary disorder that has been called olivopontoerebellar atrophy. Recently ADCA referred to as spinocerebellar ataxia(SCA) by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in SCA patient by oriental medical treatment. Materials & Methods : We experienced a case of the 6-year-old female patient with SCA and the MRI showed atrophy of cerebellum. The patient's chief symptoms come within the purview of five kinds of retardation and five kinds of flaccidity. We treated her with herb medicine (Yukmijihwang-tang gamibang), acupuncture, scalp acupuncture. After we measured the progress of general condition by MBI(Modified Bathel Index). Results : After oriental medical treatment, chief symptoms (ataxia, weakness of low extremities, dysarthria, etc.) and general condition were improved. Conclusion : We suggest that oriental medical therapy is effective to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on SCA, but more clinical study and observation should be needed.

      • KCI등재

        1,5,9,13-Tetrathiacyclohexadecane 수식전극을 사용한 Ag(I)의 전기화학적 정량

        하광수,장미경,서무룡,Ha, Kwang Soo,Jang, Mi-Kyeong,Seo, Moo Lyong 한국분석과학회 1997 분석과학 Vol.10 No.3

        [16]-ane-$S_4$/탄소분말 함량비를 50%로 하여 nujol oil과 혼합하여 수식전극을 제조하였다. $5.0{\times}10^{-4}M$ $Ag^+$를 포함하는 pH 4.5인 아세트 완충용액에 수식전극을 담가 $Ag^+$를 전극 표면에 흡착시켰다. 이 때 흡착시간을 15분으로 하고 전해환원시키는 시간은 -0.3V vs S.C.E에서 2분으로 하였다. 또한 0.1M $HNO_3$ 용액으로 전극을 활성화시켰으며 한번 활성화한 전극은 10회까지 사용이 가능하였다. 최적 분석조건에서 미분펄스 전압전류법으로 $5.0{\times}10^{-7}{\sim}1.5{\times}10^{-6}M$ 사이의 농도 범위에서 정량해 보았을 때 직선성이 잘 성립하였으며, 검출한계는 $2.0{\times}10^{-7}M$이었다. 대부분의 금속들은 방해를 주지 않았으나, Cu(II)은 방해를 나타내었다. Chemically modified electrodes(CMEs) for Ag(I) were constructed by incoporating 1,5,9,13-tetrathiacyclohexadecane([16]-ane-$S_4$) with a conventional carbon-paste mixture composed of graphite powder and nujol oil. Ag(I) ion was chemically deposited onto the surface of the modified electrode with [16]-ane-$S_4$ by immersion of the electrode in the acetate buffer solution(pH=4.5) containing $5.0{\times}10^{-4}M$ Ag(I) ion. And then the electrode deposited with Ag(I) was reduced at -0.3V vs. S.C.E. Well-defined stripping voltammetric peaks could be obtained by scanning the potential to the positive direction. The CME surface was regenerated with exposure to 0.1M $HNO_3$ solution and was re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g(I) ion. When deposition/measurement/regeneration cycles were 10 times, the response could be reproduced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6.08%. In case of differential pulse stripping voltammetry, the calibration curve for Ag(I) was linear over the range of $5.0{\times}10^{-7}{\sim}1.5{\times}10^{-6}M$. And the detection limit was $2.0{\times}10^{-7}M$. Various ions such as Cd(II), Ni(II), Pb(II), Zn(II), Mn(II), Mg(II), EDTA, and oxalate(II) did not influence the determination of Ag(I) ion, except Cu(II) ion.

      • KCI등재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위한 래피드퍼소나 수립방법의 유효성 검정

        하광수(Kwang Soo Ha)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최근 서비스디자인이 국민대상 공공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되면서 다양한 공공서비스의 개선이 시도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일반국민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통한 디자인개선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나, 전문적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기반으로 한 프로세스와 활동을 계획하면서 제한된 시간과 비용, 그리고 구성원의 부족한 전문성에 따른 진행의 어려움을 격고 있다. 같은 이유로 서비스디자인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퍼소나 방법론도 여러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디자이너 및 UX디자이너 사이에서도 퍼소나의 한계점을 이해하고, 한계를 극복 하고자 여러 가지 대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전통적 퍼소나 도출 방식에 대한 한계를 인식 하고, 이를 극복하면서도 사용자의 목표를 대변할 수 있는 빠르고 경제적 방법의 래피드퍼소나 제작 방법을 새롭게 제안 하였다. 또한 제안된 래피드퍼소나 제작방법을 실제 통계청 공공 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응용하여 적용함으로써 실증적 연구를 통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연구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교과서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실 적용측면에서의 논의를 진행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방법론을 통해 제한된 시간과 부족한 재화를 극복하고 빠르고 쉽게 퍼소나를 수립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및 UX디자인 과정에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Recently, as service design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improve various public service. In the process,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general citizens are participating in the design improvement activity through a method of design service but the parties are facing a difficulty in the progress because of a limitation of time and budget and a lack of professionalism among the member while the parties are planning the proces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professional service design method. Persona method that is usually used in the process of service design is encountering a limitation as well. Also, there are continuous attempts to understand the limitation of persona and apply an alternative research method among service and UX designers. For this reason, this thesis is to recognize the limitation in deduction method of traditional persona and suggests a fast and economical production method of Rapid Persona speaking for the goal of users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 Furthermore, by applying the suggested method of making Rapid Persona to an actual public service design project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test through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is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ogressing a discussion in the respect of actual application beyond a banal discussion. Through the research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a lack of professionalism and, based on these,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various service design and UX design as establishing persona in a fast and easy way.

      • KCI등재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Lactobacillus paracasei SRCM201474의 생산배지 최적화

        하광수(Gwangsu Ha),김진원(JinWon Kim),임수아(Sua-Im),신수진(Su-Jin Shin),양희종(Hee-Jong Yang),정도연(Do-Youn Jeong) 한국생명과학회 2020 생명과학회지 Vol.30 No.6

        본 연구는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L(+)형 젖산 생산향상을 위한 배지조성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L(+)형 젖산을 선택적으로 고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9종의 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를 전국에서 수집한 김치시료로부터 선별하였으며, 젖산 생산량과 glucose로부터의 전환률 분석을 통하여 젖산 생산 배지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한 균주로 SRCM201474를 선발하였다. 선택된 11개의 배지 조성 중 젖산 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Plack-Burman design (PBD)을 설계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탄소원으로는 glucose, sucrose, molasses, 질소원으로는 peptone을 최종 선정하였다. 젖산 생산 배지 최적화를 위한 각 변수들의 농도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반응표면분석법 중 적은 실험수로도 최적값을 산출할 수 있는 hybrid design 설계 하였다. 실험 모델에 의한 L. paracasei SRCM201474 균주를 이용한 젖산 생산배지 조성과 최적 농도는 glucose 15.48 g/l, sucrose 16.73 g/l, molasses 39.09 g/l, peptone 34.91 g/l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젖산 생산량은 33.38 g/l로 예측되었다. ANOVA 분석을 통해 가정된 실험 모델의 적합성과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된 최적배지에서의 반복실험을 통한 젖산 생산량을 측정하여 모델에 의해 예측된 젖산생산량과 동일함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L(+)형 젖산을 선택적으로 고생산하는 균주를 선발하였으며, 배지 최적화를 수행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산업적 젖산 생산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enhancing L(+)-lactic acid (LLA) produc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Lactobacillus paracasei SRCM201474 was selected as the LLA producer by productivity analysis from nine candidates isolated from kimchi and identified by 16S rRNA gene sequencing. Plackett-Burman design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eleven media components on LLA production, including carbon (glucose, sucrose, molasses), nitrogen (yeast extract, peptone, tryptone, beef extract), and mineral (NaCl, K2HPO4, MgSO4, MnSO4) materials. Glucose, sucrose, molasses, and peptone were subsequently chosen as promising media for further optimization studies, and a hybrid design experiment was used to establish their optimal concentrations as glucose 15.48 g/l, sucrose 16.73 g/l, molasses 39.09 g/l, and peptone 34.91 g/l.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equation derived from RSM regression for LLA production was mathematically reliable at 0.9969. At optimum parameters, 33.38 g/l of maximum LLA increased by 193% when compared with MRS broth as unoptimized medium (17.66 g/l). Our statistical model was confirmed by subsequent validation experiments.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LLA-producing microorganisms and establishing an effective LLA fermentation process can be of particular benefit for bioplastic technologies and industrial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