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평성 관련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 연구 경향 탐색 : 네트워크 분석법의 다학제적 적용

        기경미(GyeongMi Gi),마틴 산야(Sonya Martin),하경균(Gyeong-Gyun Ha),박은지(Eun Ji Par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이 논문은 석사학위 논문을 일부 논고를 수정, 보완하고 요약한 논문임을 밝혀 둔다. 학습에 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학교 밖 학습을 일컫는 비형식 학습이라는 용어가 등장하였고,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도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 환경에 비해 제약이 없는 비형식 학습 환경이야말로 "모두를 위한 과학"이 가장 잘 구현될 수 있는 곳이며, 다양한 학습자의 학습을 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실제 비형식 학습 환경에서의 참여 양상은 다소 편향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이 쇄도하는 오늘날 과학에 접근할 수 없는 것은 새로운 사회적 소외라 할 수 있으므로,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에 대한 형평성 문제는 반드시 이해되어야 하는 동시에 설명해야 할 핵심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형평성 관련 비형식 과학학습·교육의 연구 동향과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학제간 연구에 활용되는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현재까지의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 연구물들을 지식 네트워크의 형태로 이해하고, 그안에 형평성 문제에 대한 지식 구조를 보다 다양한 양상으로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 주제 ‘프로그램’, ‘관람객’, ‘경험’, ‘전시’, ‘개발’, ‘교사’는 기간에 따른 변화 경향을 보였다. 2000년대 초에는 ‘관람객’, ‘전시’ 연구가 가장 활성화된 반면, 2006년 이후로는 ‘프로그램’이 새로 등장하였다. 또한 이 중심 주제들은 상호 연관성의 긴밀함에 따라 6개의 하위 주제 집단으로 나뉘었다. 둘째, ‘형평성’ 주제는 ‘교사’, ‘프로그램’, ‘커뮤니티’ 주제와 가장 연관성이 높았으며, 관련 연구는 주로 형평성 있는 비형식 과학학습을 제공함에 있어 교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때문에 교사의 역량을 중점적으로 조명하는 한편, 교육프로그램이나 커뮤니티를 통해서 형평성 있는 비형식 과학교육의 기회를 다양한 학습자에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반면, ‘관람객·전시’, ‘경험·접근성’ 2개 하위 주제어 집단과는 직접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자의 집단에 속한 에듀케이터 주제 또한 같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비형식 과학교육 연구에서 ‘다양성’ 주제는 전 네트워크에 걸쳐 다방면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었다. 특히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에서의 형평성은 다양한 학습자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이해함으로서 출발하므로 대상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해야 함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형평성 관련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의 실행과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비형식 과학 학습 또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형평성 있는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에 대한 에듀케이터의 역할과 역량이 증진되어야 한다. 셋째, 국내 비형식 과학 학습 및 교육계는 형평성 문제를 보다 활발히 거론하는 것은 물론, 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Some content reported in this paper has been adapted from parts of a master degree thesis. With the paradigm shift in learning, the term informal learning, which refers to learning that takes place outside of school, has emerged, and interest in related fields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has fewer limitations than the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and is the best place to implement “science for all” and embrace the possibilities of the learning of various learners. Howev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pattern of participation in the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is somewhat biased. Currently, some people lack access to newly emerging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can result in decreased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and participate in these rapidly changing fields. Therefore, the issue of equity in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are key areas that must be examined and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verseas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in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related to equity. We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research in the form of a knowledge network and to identify various aspects of the knowledge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equity. To do so, we used a network analysis which is used for multidisciplinary research. The findings from our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themes ‘program’, ‘visitor’, ‘experience’, ‘exhibition’, ‘development’, and ‘teacher’ have tended to change over time. In the early 2000s, ‘visitor’ and ‘exhibition’ studies were the most prominent, however, since 2006, ‘programs’ addressing equity issues began to appear. We divided these main themes into six sub-theme groups that are most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econd, the topic of ‘equity’ was most relevant to the topics of ‘teacher’, ‘program’, and ‘community’, Related research showed that teach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equitable learning experiences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Therefore, while focusing on the competence of teachers,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what opportunities have been provided to diverse learners via equitable informal science education as specially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or specially designed learning communities. There were, however, no direct associations with the two sub-keyword groups, ‘visitor, exhibition’ and ‘experience, accessibility’.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the topic of ‘diversity’ has been studied in many ways throughout the network. A related study has highlighted that equity in informal science education starts with understanding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various learn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have diverse background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s the continued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equity-related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Our findings sugge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learners. In addition, the role and competencies of educators in equitable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should be enhanced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focused on understanding diversity and how to teach using equity-based pedagogical strategies. Finally, domestic informal science learning and education communities need to address the issue of equity in Korea more actively and deal with issues related to diversity in more detailed and consistent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