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과정, 활동, 그리고 즐거움

        편상범(Pyeon, Sang-beo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66 No.-

        아리스토텔레스는 배고픔의 해소와 같은 자연적 상태의 회복 과정을 즐거움의 근원으로 보는 『필레보스』의 쾌락 이론을 거부하고, 즐거움은 자연적 상태의 방해받지 않은 활동 또는 활동의 완성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대체적인 해석은 운동 및 생성 과정과 활동의 대비를 배타적으로 이해하고, 그 결과 과정의 즐거움을 즐거움의 영역에서 배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해석은 과정의 즐거움을 인정하는 상식과 충돌하며, 과정의 즐거움을 언급하는 아리스토텔레스 텍스트의 여러 구절과의 불일치 문제를 일으킨다. 본 논문에서는 과정과 활동이 배타적으로 구별되는 두 행위 유형의 대비가 아니라, 사태의 수동적인 변화의 측면과 능동적인 활동의 측면에 대한 대비이며, 따라서 과정의 즐거움이 즐거움의 영역에서 배제되지 않기 때문에 위와 같은 해석상의 난점이 발생하지 않음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니코마코스 윤리학』제7권과 제10권에서 전개된 즐거움에 대한 논의를 분석하며, 또한 과정과 활동에 대한 배타적 해석의 근거로 흔히 제시되는 『형이상학』제9권 6장 구절(1048b18-35)과의 연관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과정의 즐거움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보다 정합적으로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다. Aristotle rejects the theory of pleasure in Philebos, which sees the process of recovery of a natural state as a source of pleasure, such as satisfying hunger, and claims that pleasure is an uninterrupted activity of a natural state or the completion of an activity. Most interpreters of Aristotle exclusively understand the contrast between process (kinēsis or genēsis) and activity (energeia) and as a result, exclude the pleasure of the process from the realm of pleasure. However this interpretation conflicts with common sense that acknowledges the pleasure of the process and causes an inconsistency in some parts of Aristotle’s text, which refer to the pleasure of the process. This paper argues that process and activity are not contrasted between the two types of actions that are distinguished exclusively but rather in terms of passive change and active activity. Thus, the pleasure of the process is not excluded from the realm of pleasure so that the above-described difficulty of interpretation does not occur. To this end, I analyzed the theory of pleasure developed in Nicomachean Ethics Ⅶ and X and critically examined the claims of Metaphysics Ⅸ-6,1048b18-35, which is commonly considered as the basis of the exclusive interpretation of the process and activity. This gives us a more coherent and clear understanding of Aristotle’s theory of pleasure and his view about the pleasure of the process.

      • KCI등재

        존재와 인식의 딜레마

        편상범(Sang Beom Pyeon)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2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근원(arch )적 존재인 실체(ousia)는 독립적인 개체이다. 그리고 실체 이외의 모든 존재는 실체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존재의 질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존재의 기초가 되는 실체를 알아야만 한다. 반면에 지식의 대상은 개체가 아닌 보편이다. 그런데 실체는 존재론적 요구에 따라 개체이어야 하며 동시에 인식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보편이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것을 『형이상학』 M권 10장에서 최대의 난제라고 부르면서 자세한 설명없이 간략한 결론만을 언급하고 있다. 결론의 요지는 지식의 대상이 가능태 (dunamis)에서는 보편이지만 현실태(energeia)에서는 개별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 결론을 무시하거나 인식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 결론의 의미를 명료하게 밝히고, 이것이 최대의 난제에 대한 결론일 뿐만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 존재론의 중요한 일면을 보여주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인식을 하나의 존재론적 사태로 보고 인식대상과 인식주체가 인식의 가능태와 현실태에서 어떤 존재론적 위상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Ousia, the principle(arch ) of being, is an independent individual for Aristotle. All beings other than substance depend on the substance. So we need to know substance, the basis of being, to understand the order of beings.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of knowledge is not individual but universal. Ontology requires that substance should be individual, but it should be universal in order to be the object of knowledge. Aristotle calls this the biggest dilemma, and he makes a short conclusion without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in his Metaphyscis, M, 10. His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the object of knowledge is universal in potency(dunamis) but individual in act(energeia). Most scholars have ignored the conclusion or at best understood it from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This essay is focused on elucidating the meaning of the conclusion and on showing that it is not only the conclusion of the biggest dilemma but also an important aspect of Aristotle's ontology. For this, Iconsider knowledge as an ontological affair, and I analyze which ontological status the object and subject of knowledge have in potency and act of knowing.

      • KCI등재

        덕과 즐거움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편상범(Pyeon, Sang-beo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2 No.-

        아리스토텔레스는 행위에 따른 즐거움과 고통을 품성의 표시라고 한다. 따라서 덕의 품성을 지닌 자(덕인)는 도덕적 행위에서 즐거움을 느낀다. 그런데 덕의 정의에 따르면 덕인은 상황에 마땅한 감정을 갖는 자이기 때문에 슬프거나 참혹한 상황에서는 고통을 느낀다. 그런 상황에서 도덕적 행위를 실천하는 덕인은 상황에 따른 고통과 동시에 자신의 덕행에 따른 즐거움을 느낀다. 이렇게 뒤섞인 고통과 즐거움의 성격을 덕, 감정, 활동(발휘), 그리고 즐거움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종합하여 명료하게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이 감정(pathos)과 행위(praxis)에 관계한다는 것을 반복하여 지적하는데, 이는 자신의 존재론적 틀을 실천철학에 그대로 적용한 것이며, 이러한 틀에 따라 감정과 행위는 수동적 활동(발휘)과 능동적 활동(발휘)이라는 서로 다른 활동으로, 이를 완성하는 즐거움 또한 서로 다른 즐거움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면 상황에 따른 고통은 감정의 고통이며, 고통 속에서도 중용의 행위를 실천하는 데서 오는 즐거움은 행위의 즐거움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래야 고통과 즐거움의 뒤섞임을, 그리고 용감한 행위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논자의 주장이다. Aristotle called the pleasure and pain associated with an act indicators of character. If that is so, the virtuous ought to perform moral acts with a pleasant attitude. However, according to Aristotle’s definition of virtue, the virtuous is also someone who displays feeling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so he would feel pain in a sad or horrible situation. In such a setting, the virtuous, who practices moral behavior, feels the pleasure of his virtuous activity while at the same time suffers the pain arising from the situation. It is the goal of this article to articulate the nature of such mixed pain and pleasure by synthesizing Aristotle"s account of virtue(aretē), emotion(pathos), activity(energeia), and pleasure(hēdonē). Aristotle repeatedly points out that virtue is related to emotion(pathos) and action(praxis), which is the application of his ontological framework onto practical philosophy. In the framework, emotions and actions are distinguished by the difference in two activities(energeiai). In other words, emotions are passive activities, and actions are active activities. Thus the pleasures of completing passive activity and the pleasure of completing active activity must be understood as different pleasures.(According to Aristotle, pleasure completes activity.) It follows that the pain arising from the situation can be understood as the pain of emotion, while the pleasure derived from exercising virtuous action is understood as pleasure from action. Within the framework of this interpretation, I argue for the plausibility of the intermixture of pain and pleasure, including Aristotle"s account of brave actions.

      • KCI등재

        아크라시아와 무지

        편상범(Pyeon, Sang-Beo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2 No.-

        자신에게 최선의 행동이 무엇인지 알면서 이에 반한 행동을 하는 것(아크라시아)은 불가능하며 그것은 단지 무지로부터 비롯한 행동이라는 소크라테스의 주장 이래로 아크라시아 문제는 오늘날까지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실천철학의 중요한 난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주장과 상식의 충돌을 해소시키려는 최초의 철학적 분석이라고 할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7권 3장을 분석한다. 많은 학자들이 7권 3장의 결론이 지나치게 소크라테스적으로 보이는 데에 불만을 가지고 아리스토텔레스와 소크라테스의 차이를 부각시키면서 그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도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필자는 실천적 앎과 행동의 관계에 관련된 아크라시아 문제는 완전한 실천적 앎인 프로네시스(실천적 지혜)와의 연관 속에서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고 보며, 프로네시스를 기준으로 보면 7권 3장의 결론은 소크라테스적일 수밖에 없음을 주장한다. 프로네시스를 지닌 자에게 아크라시아는 불가능하며 이는 소크라테스의 결론과 다를 바 없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가 소크라테스의 주장을 그대로 되풀이하는 것은 아니며, 아크라시아를 인정하는 상식이 수용될 수 있는 여지를 또한 보여준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아크라시아 난제를 푸는 핵심 열쇠는 앎의 내면화에 따른 앎의 정도 차이를 인정하는 것이며, 이에 주목하면 7권 3장을 보다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추론(practical syllogism)과 관련한 문제들의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The problem of akrasia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conundrums in practical philosophy since the Socratic assertion that it is impossible and caused by ignorance to do the opposite in spite of knowing which the best action is. In this article, I analyze Book 7, Chapter 3 of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which was the first philosophical endeavor to harmonize Socratic assertion with common sense morals. Many scholars are dissatisfied with the conclusion of that chapter which seems to be too much Socratic, and they emphasize the difference between Socrate’s opinion and Aristotle’s by claiming that it is Aristotle’s own intention. On the contrary, I hold that we can understand the problem of akrasia involved in practical knowledge and action on the horizon of relation with phronesis (practical wisdom), and that the conclusion of that chapter should be Socratic from the respect of phronesis. Those with phronesis cannot do akrasia, which is not different from Socratic opinion. Aristotle, nevertheless, does not repeat Socratic assertion, and his agreement shows the room in which common sense accepts the concept of akrasia. As a key to the conundrum, I propose that we should admit the degree of knowledge according to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I also assert that we can naturally understand that chapter with this key, and that we can solve the other problems related to Aristotle’s practical syllogism.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사유대상이란 무엇인가?

        편상범(Sang-Beom Pyeon)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3 No.-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사유대상이란 불변하는 보편적 형상이고 감각대상은 변화하는 개체들이다. 그는 형상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해 플라톤과 견해를 달리 하면서도, 사유대상과 감각대상을 이분법적으로 구별하고, 사유대상 또는 지식의 대상을 보편적 형상이라고 본다는 점에서 스승을 계승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아리스토텔레스는 단지 보면만이 아니라 개별을 사유대상으로 여기기도 하며, 모든 것을 사유할 수 있다고 하는 등 사유대상의 범위에 대해 매우 혼란스런 주장을 하는 듯이 보인다. 그래서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이 갖는 비정합성의 한 단면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부주의한 표현으로 간주되어 대강 지나쳐버리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사유대상의 범위 및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그러한 불일치는 외견상의 것에 불과하고, 오히려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과 그것에 기반한 인식론적 입장을 보다 섬세하게 드러내줄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다. 우리가 본질, 개별, 보편 등의 개념들과 감각과 사유의 관계에 대한 그의 입장을 명료하게 이해한다면, 사유대상과 감각대상을 보편과 개별로 나누는 이분법적 구별과, 모든 것을 사유할 수 있다는 주장은 충분히 양립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사유대상이 보편이라는 주장은 사유의 본질적 대상에 대한 규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모든 것을 사유할 수 있다는 주장은, 사유대상인 보편적 형상들이 개별을 규정하는 원리로서 개별 속에 내재해 있으며 모든 개별은 보편의 한 사례로서 존재함을 함의한다. 이것은 감각적 개별의 세계가 우리에게 완전히 알려질 수 있다는 인식론적 낙관론과 그 존재론적 기초를 분명하게 드러내주는 것이다.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프로타고라스의 인간척도설

        편상범(Sang-Beom Pyeon) 한국철학회 2005 철학 Vol.84 No.-

        인간이 만물의 척도라는 프로타고라스의 인간척도설은 플라톤의 『테아이 테토스』에 소개된 이래 오늘날까지 대체로 극단적 상대주의를 주장하는 대표적인 선언으로 이해되어 왔다. 인간이 만물의 척도라는 주장 자체가 피상적으로 주는 일차적인 의미는, 인식주체인 인간이 인식의 절대적인 기준일 수밖에 없고 그러한 인식에 기초한 세계는 인간중심적으로 그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인간척도설이 그러한 인간중심주의를 표현한 것이라는 데에는 특히 근대 이후의 우리에게는 논란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이것이 오직 플라톤의 해석에만 의존한 것이며 프로타고라스의 다른 단편들과 정합적으로 이해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 글은 인간척도설을 제외한 다른 단편들에서 드러나는 프로타고라스의 사상을 정리하여 그것을 토대로 인간척도설을 다시 해석해 보려는 시도이다. 다른 단편들에서 드러난 그의 사상은 인간의 일상적 경험을 앎의 기초로 삼으려는 일종의 경험주의라고 부를 수 있으며, 이는 논리적 사유를 통한 존재의 일자성을 주장하는 파르메니데스적인 입장과의 대결이라는 사상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인간척도설 역시 인간의 일상적 경험이 탐구의 출발점이며 척도임을 주장하는 것이지, 플라톤이 해석한 극단적 상대주의, 또는 근대적인 인간중심주의의 선구로 보는 것은 과장된 또는 피상적 이해라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 이론적 탐구(theōria)와 도덕적 실천(praxis)의 관계

        편상범(Pyeon, Sang-Beo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3 No.-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NE) 10권에서 이론적 탐구활동 내지 관조(the?ria)를 최고의 행복이라고 했다. 이 주장은 1960년대 이래로 주지주의와 관련된 많은 논란을 일으켰다. 그중에서 관조의 우월성과 도적적 실천(praxis)의 자체 목적성 사이의 갈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지주의가 삶의 궁극적 지향에 대한 추상적인 맥락에서 논의된 반면에, 중용설로 대표되는 그의 도적적 실천에 대한 논의는 구체적인 행위 선택 이론의 맥락에서 제기된 주장이기 때문에 이른바 이론과 실천의 갈등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이를 위해 NE6권의 이론적 앎(Sophia)과 실천적 지혜(phron?sis)의 관계를 검토하고 NE10권을 분석한다. 그리고 그의 『정치학』을 실마리로 이론의 우월성이라는 주지주의적 주장이 제기된 맥락의 정확한 이해를 시도한다. Aristotle’s assertion in Book 10 of Nichomachean Ethics that theoretical investigation, or the?ria, is the ultimate happiness has aroused many debates related to intellectualism since the 1960’s. Among these, this essay is focused on the matter of conflict between the priority of the?riaand that of praxis. I conclude that the conflict never happens because arguments on his praxissuch as theory of means are given in the context of concrete action choice whereas Aristotelian intellectualism is discussed on the abstract horizon on the ultimate orientation of life. For this, I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sophia) and practical wisdom (phron?sis) in NE 6 and analyze NE 10. I also try to exactly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the intellectual assertion of the priority of theory is given, based on some clues in his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