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결어미 '-(으)라고'에 대한 재고

        팽이림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pplement the existing research by verifying the basis of the conjunctive ending ‘-(eu)lago’ which combines with adjective stems. The discussion is conducted by dividing ‘-(eu)lago’ into quotation and not quotaion. First of all, considering two points which someone is some adjectives could be used in the imperative and the other one is the verbs that used in following clause are quotative verbs, the ‘-(eu)lago’ still could be regarded as an quotation ‘-(eu)lago’. If the preceding pronunciation of the phrase ‘-(eu)lago’ cannot be assumed, the adjectives combined with ‘-(eu)lago’ cannot be used in the imperative form. And the verbs that used in following clause are not quotative verbs. It is also decided to interpret ‘-(eu)lago’ as a conjunctive ending by confirming that the syncretism of ‘-go ha-’ and the replacement between ‘go’ and ‘Ø’ in the indirect quotations of the command are impossible. And from a semantic point of view, the adjectives combined with ‘-(eu)lago’ are not presumed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listener. In some cases, the subject of the antecedent clause is abiotic model. And the antecedent clause and following clause are subordinate relationships. From this point of view, ‘-(eu)lago’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junctive ending which is different from quotation ‘-(eu)lago’. 본고는 형용사 어간에 결합된 ‘-(으)라고’를 대상으로 하여 연결어미 ‘-(으)라고’의 판별 근거를 재확인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기술을 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으)라고’를 ‘인용’의 ‘-(으)라고’와 ‘인용’이 아닌 ‘-(으)라고’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우선 ‘-(으)라고’는 형용사 어간과 결합되어 있으나 일부 형용사가 명령형이 가능한 점과 상위절 서술어가 인용동사에 해당된 점을 고려하여 ‘-(으)라고’를 여전히 ‘인용’의 ‘-(으)라고’로 보았다. 이에 반해 ‘-(으)라고’에 결합된 형용사가 명령형이 불가능하며 후행절 서술어마저 인용동사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에는 ‘-(으)라고’를 하나의 연결어미로 해석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형용사 어간과 ‘-(으)라고’가 결합된 쓰임 중 형용사는 명령형이 가능하지만 후행절 서술어가 인용동사가 아닌 경우와 형용사는 명령형이 불가능하고 후행절 서술어가 인용동사에 속한 경우가 있다. 이들을 간접인용절로 설명할 수 없는 것으로 보아‘-(으)라고’를 연결어미로 볼 수 있다는 소결을 얻었다. 그리고 선행절 형용사가 명령형이 가능한 것과 후행절 서술어가 인용동사에 해당된 것이 동시 충족되어야 ‘-(으)라고’를 간접인용절의 복합체로, 그렇지 않으면 연결어미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한편, 의미적 관점에서 형용사 어간과 연결어미 ‘-(으)라고’가 구성된 구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어떠한 상태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후행절 서술어가 의미하는 행위를 취한 것으로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으)라고’의 의미 기능을 ‘목적’으로 정한 것이 더욱 온당하다. 또 ‘-(으)라고’에 결합된 형용사가 청자의 의지대로 실현되지 않는다는 점, 선행절 주어가 무정물인 경우가 있다는 점과 선·후행절은 목적의 종속관계에 있다는 점에 의해 ‘인용’의 ‘-(으)라고’와 확실히 구분될 수 있다.

      • KCI등재

        ‘-더-’가 쓰인 간접인용문에 대한 고찰

        팽이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2

        목적 간접인용문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 ‘-다고 하-’를 위주로 다루었으나 내포절에 ‘-더-’가 쓰인 간접인용문에 관한 언급이 없었음으로 인해 본고는 ‘-다고 하-’와 ‘-냐고 하-’에 대조하여 내포절에 ‘-더-’가 쓰인 ‘-더라고 하-’와 ‘-더냐고 하-’의 간접인용문에만 적용된 문법적 제약과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내포절에 ‘-더-’가 쓰이지 않은 ‘-다고 하-’와 ‘-냐고 하-’에 관한 연구가 많기 때문에 이를 참고하여 내포절에 ‘-더-’가 쓰인‘-더라고 하-’와 ‘-더냐고 하-’의 예문을 추출하여 ‘-다고 하-’ 및 ‘-냐고 하-’와 비교하고 선어말어미와의 결합, 사용 빈도와 문법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해당 내용에 대한 사전 기술 및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관련 예문을 추출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하였다. 우선 ‘-더라고하-’의 인용동사 ‘하-’에는 선어말어미 ‘-겠-’이 결합되지 못하는 문법적 제약이 있다. 또한 인용동사 ‘하-’에 ‘-더-’가 거의 결합되지 않는 경향이 존재한다. 그리고 간접인용문 ‘-다고 하니까’ 구성에서 ‘-고 하-’가 축약되고 ‘-다’와 ‘-니까’ 두 어미가 직접 결합되는 이른바 ‘어미결합체’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더라고 하-’, ‘-더냐고 하-’는 ‘-다고 하-’, ‘-냐고 하-’에 비해 이러한 어미결합체의 사용 빈도가 훨씬 낮다. 한편, ‘-다고 하-’ 구성에서 축약된 ‘-다니까’를 비롯한 어미결합체는 ‘인용’뿐만 아니라 하나의 어미로문법화가 되어 쓰일 수도 있다. 그러나 ‘-더라고 하-’와 ‘-더냐고 하-’의 경우에는 ‘-더라니’, ‘-더라니까’ 외에 문법화가 된 어미결합체가 확인되지 않는다. 결론 ‘-더라고 하-’, ‘-더냐고 하-’는 ‘-다고 하-’, ‘-냐고 하-’와 ‘-더-’로 인한 의미적 차이만 있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상과 같이 문법적 제약, 어미결합체의 사용 빈도와 문법화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를 밝힘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더라고 하-’와 ‘-더냐고 하-’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