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빗물펌프장 예측운영시스템의 스마트 운영기법 개발

        추연문(Choo Yeon Moon),유도근(Yoo Do Guen),이승엽(Lee Seung Yub),임오성(Im O Sung),주진걸(Joo Jin Gul),김중훈(Kim Joong Hoon)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시 빗물펌프장의 펌프운영기법을 개선하여 도시 내수침수 저감 및 운영효율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 설치된 빗물펌프장 최적예측운영시스템(FFC6)의 축적된 과거 운영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최적의 펌프운영을 위한 개선방식을 펌프교번운전 기능구현과 신규 펌프운영규칙 개발의 두 가지로 결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펌프교번운전 기능은 펌프장의 배수 유역면적, 유수지 및 펌프 용량 등 현장 여건과 강우의 규모 등에 따라 현장 운영자들이 펌프의 운영순서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신규 펌프운영 규칙은 예측유입량의 기울기에 따라 펌프의 호기별 순차가동과 전량배제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기존 FFC6 시스템에 탑재된 운영규칙 선택의 어려움을 보완할 수 있다. 개선된 방법론을 실제 빗물펌프장에 적용하여 검증하였으며, 본 개선된 방식은 현장 운영자들의 의견이 고려된 실무적인 방법론으로 기 설치된 빗물펌프장 운영 시스템의 활용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Study focuses on improvement of pump operation method in existing pump station for urban inundation reduction and operation efficiency. For this purpose, optimal predicting operation system(Flood Free City6, FFC6) of existing pump station has been used to deduce problem from past operation data. Improvement method for optimal pump operation was performed by adding pump alternating operation function and new pump operation rule. Pump alternating operation function uses site conditions such as drainage basin area, reservoir, pump capacity and rainfall size which has the advantage of selectively utilizing site managers for pump operation order. New pump operation rule is decided depending on slope of predicted inflow whether to operate pump fully or orderly in automatically which can compensate the problem of selecting operation rule in existing FFC6 system. Improved methodology was applied to actual pump station for verification. Various pump operator opinions were considered in improved method. This method will have more higher utilization if it is applied to existing pump operation system.

      • KCI등재

        GIS를 고려한 온천천-회동저수지 연계를 통한 온천천 침수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추연문(Yeonmoon Choo),최연웅(Yeonwoong Choe),추태호(Taiho Choo),전근학(Kunhak Jeon),전해성(Haesung Jeon)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1

        부산지역의 연평균 강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 소재 온천천의 경우는 자주 상습침수가 발생하였다. 온천천의 지형적 특징으로 중·하류부는 비교적 평탄하며 도심지가 발달하였다. 따라서 이상호우 시 하천 범람이잦고 침수피해가 크기 때문에 이상호우 시 온천천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천천의 홍수저감 대책으로 동쪽에 위치한 회동저수지로 지하수로를 구축하였으며 EPA-SWMM으로 모의 분석하였다. 유역구성 시 필요한 정보들은 GIS를 활용하였다. 수영강 중류부에 회동저수지가 있으며 댐이 설치되어있다. 지하수로를 구축하여 온천천의 침수저감률을 분석하였으며 지하수로를 통한 온천천의 유량이 회동저수지로 넘어갔을 시 수영강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침수위험지점에 대한 침수저감률은 지하수로를 설치하였을 때평균적으로 24.64%가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수영강으로 유량 배제 시 수영강에는 평균적으로 1% 유입량이늘어났기 때문에 밀집한 도심지의 경우에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상당히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본 연구에서제안하는 지하수로의 효용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The average annual rainfall in Busan to increase, and in case of Oncheon-Chen in Busan, frequent flooding occurred frequently.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Oncheon-Chen are relatively flat and urban areas are developed. Therefore, due to the frequent flooding of rivers and the large flood damage, a method of effectively eliminating the flow rate of Oncheon-Chen in the event of heavy rain is needed. In this study, underground waterway was established in the east of Hoedong-Reservoir as a measure to reduce floods in hot springs and simulated with EPA-SWMM. The information needed to construct the basin was utilized by GIS. In middle part of the Suyeong-Gang, there is a Hoedong-Reservoir and a dam is installed and has better conditions than the Nakdong-Gang. It also analyzed the effect of the Oncheon-Chen flow through the underground waterway on the Suyeong-Gang when it was transferred to the Hoedong-Reservoir. It was analyzed that the flood reduction rate at the flood risk points set up in this study was reduced by 24.64% on average when the underground waterway was installed, and the inflow of the water into the Suyeong-Gang increased by 1% on average when the flow rate was excluded by the Suyeong-Gang.

      • KCI등재

        안동-임하 연결도수로 설치에 따른 가용 수자원량에 관한 연구

        추연문(Choo, Yeon Moon),지홍기(Jee, Hong Kee),권기대(Kwon, Ki-Dae),김철영(Kim, Chul 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2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온실가스의 증가로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 서도 이러한 현상의 하나로 홍수와 가뭄의 영향이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이수, 치수, 환경 등 다양한 측 면에서 물 관리 전반에 걸쳐 복잡성을 가중시키고 불확실성을 확대시키는 등 많은 영향을 초래한다. 또한 과거와는 달리 하천유지수량, 환경용수량 등 다양한 용수수요의 증가에 따라 제한된 가용수자원의 추가적인 확보를 위한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과 임하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토양수분 저류구조 Tank 모형을 이용하 여 장기 유출량을 산정하였고, 연결도수로를 통해 병렬 연결된 안동댐과 임하댐의 저수지 연결모의운영을 수행하여 임하 댐에서 안동댐으로 전환되는 추가 가용 수자원량을 분석, 비교함으로서 미래 기후변화가 가용수자원 확보에 미치는 영향 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대표농도경로 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RCP 6.0과 RCP 8.5를 이용하여 대상유역의 상세 수문자 료를 생산하여 과거 유역의 관측 강수량 자료와 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시나리오별 모두 5%~9%의 범위로 강수량이 증가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목적함수를 이용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가장 높은 적합도를 나타낸 개체군의 크기는 1000 이 었으며 교차비율은 80%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대응한 물 관리 측면에서 저수지 운영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이고 풍부한 용수공급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World is experiencing abnormal weather caused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creasing greenhouse gas and one of these phenomenon domestically happening is flood and drought. The increase of green-house gases is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cceleration which are causing abnormal climate changes such as the El Nino and a La Nina phenomen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any difficulties in water management, especially considering the topography and seasonal circumstances in Korea. Unlike in the past, a variety of water conservation initiatives have been undertaken like the river-management flow and water capacity expansion projects.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water resources, new environmentally-friendly small and medium-sized dams have been buil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new paradigm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s essential. This study shows that additional security is needed for potential water resources through diversion tunnels and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for future water supplies and situations. Using RCP 6.0 and RCP 8.5 in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climate change scenario, specific hydrologic data of study basin was produced to analyze past observed basin rainfall tendency which showed both scenario 5%~9% range increase in rainfall.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using objective function, population in highest goodness was 1000 and cross rate was 80%.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help to make long-term and stable water supply plans by using the potential water resource evaluation model which was applied in this study.

      • 저탄소 그린폼 공법 성능평가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추태호(Choo, Tai Ho),김희대(Kim, Hee Dae),윤대완(Yoon, Dae Wan),추연문(Choo, Yeon Moon) 대한토목학회 2023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10

        정부는 2020년 10월 국가 비젼으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후속 대응으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수립, 탄소중립위원회 (21.5출범)는 3개의 안이 제시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을 발표했다. 실천 내용에는 제로에너지 건축물 및 페기물 감량 등이 있다. 이에 건설 분야, 특히 공공인프라 사업의 출발점인 지반시설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최근 10년 내 주거공간확보가 국민의 최대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는 현실에서, 공공부지 확보 측면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나, 이러한 부지확보에 많은 제약사항으로 공공인프라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오염지역 사업 추진 및 사토처리 문제는 집단 민원으로 사업 자체의 존패를 좌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과 범정부적 탄소 중립의 단초를 제시하고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개발의 목적이다. 본 연구 개발은 토양세척정화법에 GF (Green Form) 혼합 공정을 접목시킨 하이브리드 신공법으로 저 탄소 그린 폼공법 즉 LGF (Low Carbon Green Form Method)라 명명 하였다. LGF 공법은 토양 정화 처리에서 기존 공법에 대비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현저히 저감 시킨다. 예를 들면, 육상 수송트럭의 탄소발자국(kgCO₂eq)은 ton.km 1.92 .E-01이다. 폐기물처리 매립 시 탄소발자국은 kg 5.09.E-3으로 25톤 1대의 트럭이 30km 거리에 토양 반출을 하여 적치 한다면 0.192 x 25 x 30 = 144 kg 탄소 배출을 발생하는 기존 토양 정화 세척 법에 대비 폐기물 발생 저감. 운송 최소화, 모듈화 하여 간단한 설치와 해체 & 설비 재사용, 단순 설비와 공법등 각 공정에서 탄소 발생량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 경쟁력까지 월등하다.

      • KCI등재

        내수위 조건에 따른 도시내수침수 예보에 관한 연구

        추태호(Tai-ho Choo),추연문(Yean-moon Choo),전해성(Hae-seong Jeon),권창헌(Chang-heon Gwon),이재균(Jae-gyu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상기후현상으로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하여 도시유역의 수문학적 양상이 변화함에 따라 불투수 면적 증가와 함께 증가된 호우로 심각한 내수침수 피해를 가져온다. 이에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수침수 예측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강도와 지속시간만으로 침수예측이 가능한 Flood Nomogram을 개발하였다. 내수침수 발생가능이 매우 높고 침수 위험도가 높은 대도시내 침수예상지역의 내수침수피해 특성을 분석하여 내수침수 예보 기준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수맨홀과 우수관경을 기준으로 내수위를 4가지 조건하에 도시내수침수 예보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우수맨홀이 넘칠 때, 2) 우수관경이 가득 찼을 때, 3) 우수관경의 70%에 도달했을 때, 그리고 4) 우수관경의 60%에 도달했을 경우이다. 따라서, 침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강우와 침수피해를 유발하는 강우사상을 통하여, 내수침수가 시작되기 전에 사전대비, 대응할 수 있는 기준과 예측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and the scale of damage are increasing due to the abnormal weather phenomenon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As a result, as the hydrological aspect of the urban watershed changes, the increase in impervious area leads to serious domestic flood damage due to increased rainfall.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of life and property, domestic flooding prediction system is need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flood nomogram capable of predicting flooding only by rainfall intensity and duration.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set the internal water immersion alarm criter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ding damage in the flooded area in the metropolitan area where flooding is highly possible and the risk of flooding is high. In addition, based on the manhole and the pipe, the water level was set as follows under the four conditions. 1) When manhole overflows, 2) when manhole is full, 3) when 70% of the pipe is reached, and 4) when 60% of the pipe is reached.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criterion and a predictive measure to cope with the pre-preparation before the flooding starts, through the rainfall that causes the flooding and the flooding damage.

      • KCI등재

        Vflo<sup>TM</sup>를 이용한 홍수유출수문곡선의 반응해석

        김근영,추연문,여운기,지홍기,Kim. Keun Yeong,Choo. Yean Moon,Yeo. Won Ki,Jee. Hong Kee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3

        본 논문에서는 보다 정확한 강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레이더 강우를 적용하여 비선형성을 내포하는 강우-유출관계를 연구고찰하였다. 레이더 추정강우량과 지상의 관측강우량의 비율관계를 이용하여 레이더 추정강우를 보정하는 G/R기법을 적용하여 레이더 추정강우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레이더 추정강우로부터 분포형 강우 유출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분포형 강우-유출모델인 <TEX>$Vflo^{TM}$</TEX>분석체계를 구축하고 격자의 크기를 변화시켜가면서 유출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레이더 강우의 추정 및 보정과 분포형 강우-유출모델의 격자크기(Sell Size)를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a rainfall-runoff relationship containing linearity by applying radar rainfall to grasp more accurate properties of rainfall. In addition, this research improved accuracy of estimated radar rainfall by applying a G/R(Gauge to Radar) technique compensating estimated radar rainfall through using a ratio relationship between estimated radar rainfall and observed ground rainfall. In order to verify applicability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rom radar estimated rainfall, this research constructs a <TEX>$Vflo^{TM}$</TEX> analysis system which is typical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and analyzed a discharge aspect while changing the size of a lattice. This research proposed estimation and compensation of radar rainfall as well as the lattice size of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