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적 중심 반편견교육의 모색

        추병완 ( Beong Wan Ch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편견은 병리적인 현상이 아니라 정상적인 인간 경험의 한 부분이다. 편견 감소와 관련한 대부분의 이론과 연구들은 편견을 지각하고 있는 사람들의 편견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정작 편견의 표적이 자신에 대한 편견에 맞서 싸울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제시해 주는 데에는 매우 소홀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편견 형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기본 원리로부터 표적이 편견이 개재된 상호작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응 전략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것을 초등 도덕과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사는 초등 도덕과교육을 통해 보편적 가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조장하고, 범주화 과정의 변화를 유도하며, 협동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집단 간 유사성을 긍정적 맥락에서 강조함으로써 잠재적인 표적 대상으로서의 학생들의 반편견 대응 능력을 발달시켜 주어야 한다. Virtually all existing research and practice on reducing prejudice has focused on the people who hold prejudiced beliefs. Theory and research addressing the role that the stigmatized themselves may play in reducing prejudice are almost nonexist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ventured into this uncharted territory by considering prejudice red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rget. Different theories of the origins of prejudice lead to different recommendations for ways that a target might destroy or deter prejudice in others. My intent here has been to outline what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predict that targets can do to combat prejudice in prejudicial interactions, rather than to endorse a particular type or set of strategies. The risks and benefits of these various approaches to prejudice are ultimately borne by the target. In applying these strategies to elementary moral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teachers provide students with in-depth understanding of universal values, teach students new ways of categorization, utilize cooperative learning, and highlight intergroup similarities in positive contexts.

      • KCI등재

        학교 유대감 형성을 위한 감사의 기능

        추병완 ( Beong Wan Ch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9

        학교 유대감은 학교 사랑, 학교에 대한 소속감,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 학교 활동에의 적극적인 참여 등을 포괄하는 가운데 학생들의 긍정적인 발달 결과를 예측하고, 부정적인 문제 행동을 예방하는 보호 요인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감사 개입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켜 주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학교생활에 대한 불만과 부적응을 보이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현 상황에서, 학생들의 감사 성향을 함양하는 일은 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평가를 완화하고, 학생들의 학교 유대감을 증진하는 매우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개입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감사가 학교 유대감을 어떻게 증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원리는 아직 불분명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인간의 기본적 욕구 이론, 긍정 정서의 확장 및 축적 이론, 도덕 정서로서의 고양에 관한 이론을 토대로 하여, 감사가학교 유대감을 증진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설명 기제를 제공하였다. In general, school connectedness includes love for school, a sense of belonging at school,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and active involvement in school activities. It is an important protective factor that predicts positive developmental outcomes and less negative problem behaviors. Nowadays, researches have demonstrated that gratitude interventions in schools may be considerably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Considering recent trends that students who have disaffection with school are increasing, cultivating and inducing gratitude in students may be a viable intervention for mitigating negative appraisals of schools and promoting school connectedness. However, a theoretical rationale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school connectedness is not obvious so far. In this article, I provided a mechanism of theoretical explan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school connectedness with three propositions that are based on the theories of fundamental human needs,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nd elevation as a positive moral emotion. I make the case for the unique role of gratitude in foster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 students in school.

      • KCI등재

        글로벌·다문화 시대에서 도덕과교육의 과제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3

        이 글에서는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에 관한 문헌 검토를 통해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이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개념을 도덕과교육에 용해ㆍ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은 공히 다양성 안에서의 통일성을 확보하려는 교육적 시도이다. 두 교육은 인간의 상호 의존성과 문화 간 이해 및 협력의 중요성을 무엇보다도 강조하고 있으며, 동시에 사회 변혁의 중요성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통 개념에 근거한 도덕과교육은 내용 및 교수ㆍ학습 과정에 있어서 다양성 및 인권의 존중, 유연하고 복합적인 정체성, 간문화 역량, 공동 책임과 참여 의식을 중시해야 한다.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education have many commonalities. Both involve a process whereby individuals develop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haviors for participating effectively in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When combin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education can be seen as two parts of the same theme of how individuals, groups, and institutions can work together to build a better world locally,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paper, I tried to review related literature on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o identify shared goals and objectives of both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apply them to the content and teaching & learning process of moral education in the schools. In the global and multiculral era, moral education in the schools has to emphasize respect of diversity and human rights, flexible and complex identities,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sense of co-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 KCI등재

        초등 교실에서 회복탄력성 증진 방안

        추병완 ( Chu Beong-wa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5

        많은 초등학생이 빈번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이 여러 조사 결과를 통해 드러난다. 초등학생이 삶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역경에 직면하여 긍정적인 발달 결과를 보여주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심리학적 구인이 바로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다. 회복탄력성은 전통적인 3R에 덧붙여 학교교육이 추구해야 할 네 번째 R에 해당한다. `2015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도덕 교과 공부를 통해 학생이 갖추어야 할 도덕적 기능의 하나로 도덕적 보건 능력을 제시한 바 있다. 새 교육과정에서는 도덕적 보건 능력의 구체적인 요소로 회복탄력성 키우기, 건강한 마음 가꾸기를 강조한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도덕 교사로서 그리고 담임교사로서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해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 논문에서는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개관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초등 교실에서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교실 풍토를 조성하는 방법, 회복탄력성 증진에 도움을 주는 생활 기능을 가르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Everyone faces adversities in his or her life trajectories because life can be challenging and may include many stressful situations and risk factors. Resilience is the ability to steer through serious life challenges and find ways to bounce back and to thrive. The construct `resilience`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a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resilience is a part of moral health ability. How can teachers promote students` resilience in the elementary classrooms? In this article, I proposed promising methods for promoting resilience by the two dimensions of classroom climate and life skills. Caring relationship, positive and realistic high expectations, an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are the core components of resilient classrooms. In this resilient classroom climate,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life skills for resilience such as savoring positive emotions,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and hardiness & gri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ar in mind that resilience is the most important present that they can give their students.

      • KCI등재

        도덕 이탈의 도덕교육적 함의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7

        도덕 이탈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모든 유형의 도덕적 곤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도덕 이탈은 자신의 도덕적 이미지나 자존감을 온전히 보전하는 가운데 개인적으로 비난 받을만한 행동이나 사회적 피해를 정당화하려는 일군의 사회 인지 기제로서 아동과 청소년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밴두라(Bandura)의 도덕 이탈 이론 및 그 이론을 적용한 여러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그러한 연구 결과가 우리의 도덕교육에 주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다음의 3가지 사항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첫째, 도덕성에 관한 사회 인지 이론의 특징과 도덕 이탈 기제를 규명하였다. 둘째, 도덕 이탈의 발달 측면에 관한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셋째, 도덕 이탈의 과정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도덕 이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도덕교육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Moral disengagement occurs frequently in all types of moral predicaments we face in our daily lives. Moral disengagement is a common phenomenon for children and adolescences. It is a set of social cognitive mechanisms that try to justify personally reprehensible behavior or social damage while preserving personal moral image and self-esteem. Thus,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heory of moral disengagement made by Albert Bandura and the scientific results of various studies that applied the theory, and identified the implications that such findings might give for moral educa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points were discussed in depth in this articl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gnitive theory on morality and the moral disengagement mechanism were identified. Sec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al aspect of moral disengagement were analyzed.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ies on the process of moral disengagement were examined, and finally I proposed some useful ideas for interventions in moral education that could reduce moral disengagement.

      • KCI등재

        《교과교육학》 : 청소년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증진을 위한 도덕과 지도 방법

        추병완 ( Beong Wan Ch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1980년대 중반 이래 아동 발달, 소아의학, 심리학, 정신의학, 사회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의 많은 연구자들이 삶에 있어서 주요한 역경을 겪으면서 심각한 정신병리를 지속적으로 겪는 아동이 있는 반면에 왜 다른 아동은 그런 역경에 성공적으로 대처하는지에 주목하여 왔다· 그들의 연구를 통해 등장한 회복탄력성 개념은 오늘날 아동과 청소년의 삶에서 위험과 스트레스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지는 않지만,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 주는 완충 과정, 성격 강점, 개인적 자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최근 학교교육을 통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은 위기에 처한 학생들에 대한 결핍 모델에서 강점에 기반을 둔 예방 모델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우리가 아동과 청소년의 안녕과 행복 수준을 높이기 위한 도덕 교과에서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회복탄력성 개념에 대한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다음의 세 가지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는데 중점을 둘 것이다· 첫째,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이고, 교육적으로 왜 중요한 것인가? 둘째,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국외의 성공적인 교육적 개입 사례는 무엇인가? 셋째, 도덕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지도 방법은 무엇인가? Since the mid-1980s, a number of researchers from diverse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child development, pediatrics, psychology, psychiatry, and sociology have focused on the question why some children cope successfully with major adversities in their lives, while others develop severe and persistent psychopathology. The concept of resilience these children display is conceived as an end product of buffering processes, character strength and individual asset that do not eliminate risks and stress in their lives, but that allow the individual to deal with them effectively. Especially the developing and practicing of resilienc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the school settings in foreign countries represent a significant shift from a deficit model of youngsters at risk to prevention model. It can give us many implications to seeking teaching methods in moral education for enhancing the level of happiness and well-being among young people. Therefore, this article mainly based on literature analyses focused on possible answers to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resilience and why is it educationally important? Second, what are successful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foreign countries with regard to promoting resilience among youngsters? Third, what a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moral education for promoting resilience of the youth?

      • KCI등재

        교사의 회복탄력성 함양 방안

        추병완(Chu, Beong-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5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많은 연구는 회복탄력성이 타고난 개인적 특질이 아니라, 훈련과 연습을 통해 얼마든지 단련하고 함양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이자 능력임을 분명하게 지적한다. 도덕 교사는 학생의 도덕 발달을 위한 최상의 안내자이자 탁월한 역할 모델이 되어야 하므로 다른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보다 스트레스와 소진에 더욱 취약하다. 그렇다면 도덕 교사의 회복탄력성을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이 논문에서는 문헌 분석을 통해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을 살펴보고, 도덕 교사의 회복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한 지지 조건(supporting conditions)의 실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회복탄력적인 도덕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도덕 교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여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필요한 경우에 도움을 얻을 수 있고 긍정 정서를 향유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관계망을 구축하려는 실제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In general, resilience refers to the tendency or capacity to spring back in spite of life stressors or adversity. Levels of work-related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re higher among teachers than any other occupational groups because teaching is based on emotional, physical, and intellectual work. The focus of research on resilience was to identify factors or variables contributing to resilience. The partial intent of this article was to organize those factor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teacher resilience. Furthermore,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this article tried to propose promising methods for cultivating mor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The key messages from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form their identities as moral educators. Second,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utilize their strengths and resources in order to deal with stress and adversity arising from their work and world. Third,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that are helpful for their work and lives. Resilience is not regarded as byproduc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t has to be a focu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소셜 미디어와 학생의 도덕 발달

        추병완 ( Chu Beong Wa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28 No.1

        윤리학과 도덕교육에서 지배적인 관점은 소셜 미디어 사용의 부정적 측면만을 강조할 뿐, 소셜 미디어의 전략적 사용을 통한 자기실현이나 사회 발전에의 기여와 같은 긍정적 측면을 상당히 무시했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우리는 소셜 미디어가 학생의 도덕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세심한 분석은 생략한 채, 안전하고 책임 있고 윤리적인 사용만을 일방적으로 강조하여 왔다. 기존의 소셜 미디어 연구 문헌에서도 학생의 도덕 발달과 관련한 소셜 미디어의 잠재적인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매우 소홀하였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가 인지 기능, 공감 능력, 정체성, 나르시시즘, 시민 참여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우리는 소셜 미디어가 학생의 도덕 발달에 미치는 잠재력을 어느 정도 추론할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가 학생의 도덕 발달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력을 문헌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소셜 미디어가 학생의 도덕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도덕성의 3가지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도덕 인지, 도덕 정서, 도덕 행동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 논문은 도덕교육의 새로운 어휘로서 디지털 시민성(digital citizenship)의 중요성을 제안하는 가운데, 소셜 미디어 관련 정책에서 보호/관리 패러다임과 육성/진흥 패러다임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It is true that the dominant view in moral education only emphasizes the dark side of social media use, while the positive aspects, such as self-realization or contribution to social development through strategic use of social media, have been considerably ignored. In addition, it has unilaterally emphasized only safe, responsible and ethical use, omitting careful analysis of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students' moral development. Even in the existing social media literature, systematic analysis of the potential impact of social media on students' moral development has been very neglected. However, given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cognitive functions, empathy, identity, narcissism, and civic engagement, we can deduce to some extent the potential effects of social media on students’ moral development. In this paper, the potential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students' moral development is explo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Here I looked at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a students’ moral development in terms of moral cognition, moral emotion, and moral behavior, which are three components of morality. Finally, I stressed the importance of digital citizenship as a new vocabulary of moral education, emphasizing the balance of between protection paradigm and promotion paradigm should be secured.

      • KCI등재후보

        사이버 공간에서 행위자의 도덕 심리에 관한 연구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7

        이 연구는 사이버 공간에서 행위자의 비도덕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도덕 심리적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이버 공간은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이기에, 현실 공간에 비하여 탈억제(disinhibition) 심리가 쉽게 나타나고 있다. 탈억제는 개인의 자기 표현을 증대시킴으로써 솔직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기도 하지만, 규범으로부터의 이탈을 촉진하여 비도덕적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기제로 작동하기 쉽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 행위자의 도덕 심리적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에 부합하는 도덕 교과에서의 정보윤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ral psychology of the agent in cyberspace. Cyberspace has unique techn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minimize the agent's morality. In this study, I focus on disinhibition on the Internet in order to delve into the causes of immoral behaviors on the net. In general, people believe that anonymity has a critical role in disinhibited behavior in cyberspace. In this study, I found that disinhibited behaviors online are related to the other various causes such as invisibility, asynchronicity, solipsistic introjection, dissociation, neutralizing of status, disregard or distortion of consequences, and attribution of blame. Thus,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is desirable to follow these lines: ① It should emphasize the nobleness of the humanity. ② It should enlarge the concept of the moral virtues into cyberspace. ③ It should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④ It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ettiquette and cyber ethics. ⑤ It should emphasize several virtues(self-respect, self-efficacy, self-identity, and self-control) in order to cope with Internet addiction. ⑥ It should involve the lessons that help children and adolescents protect themselves in cyberspace.

      • KCI등재

        중학교 도덕 교과서 개발 방향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논문의 목적은 중학교 도덕과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서의 기능과 위상을 살펴보고, 현행 도덕 교과서와 교과서관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상적인 도덕 교과서는 '5W 1H'의 질문을 중시해야 하며, 교과서 개발은 현행 교과서가 이상적인 도덕 교과서 기준에 얼마나 근접했는지를 중시하는 방향에서 전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이상적인 도덕 교과서 개발에 근접하기 위해서 교과서 집필자들이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사항 일곱 가지를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moral education textbooks in middle schools. In this paper, seven guidelines for textbook authors were proposed. First, authors ought to try to involve their own philosophy in moral education textbooks. Second, authors should focus on a few big ideas and emphasize students' reflective abstract. Third. authors should avoid uniformity in structure and form of textbook. Fourth, authors should try to socialize students with a respectful uncertainty. Fifth, authors should pay deep attention to teaching, learning, and assessing methods before their writing texts. Sixth, authors should orient classroom atmosphere based on mutual respect and cooperation in their wring textbooks. Seventh, authors should develop textbooks facilitating teaching & learning with various instructional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