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도

        최효신(Choi Hyo Sin),이경희(Lee Kyung Hee),백주연(Back Ju Youn),김은자(Kim Eun Ja)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6 계명간호과학 Vol.19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evel of moral di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psychiatric nurses, and to determine correlations of moral distres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with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psychiatric wards over 1 year who completed questionnaire about moral distres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work satisfaction. Results: The mean score for moral distress was 3.14,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2.76 and for job satisfaction, 3.07. The moral di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job classification and job satisfaction (r = -.22, p 〈 .05).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 = .59, p 〈 .001).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ower moral distress and better professional self-concept were correlated with better job satisfactio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to reduce moral distress and enhance professional self-concept is needed for psychiatric nurses.

      • KCI등재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수진(Su-Jin Park),최효신(Hyo-Sin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 소재 일개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8일부터 2018년 1월 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사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전조사, 3회기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사후조사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대인관계 정도는 만족함이 75.0%, 전공만족도는 만족 54.4%로 나타났으며,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성향(t=-2.734, p=.007), 의사소통능력(t=-4.237, p<.001)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se-based SBA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112 sophomor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were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and the data collection commenced on 18 December 2017 and was completed on 4 January 2018. The case-based SBA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pre-education, a pre-survey, a three-section program, and a post-survey.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and frequency and paired t-test were analyzed by SPSS 21.0 program. The rate of satisfaction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75.0% and satisfaction rate for improvement on their major was 54.5%. Compared with before the program,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ompletion of the case-based SBA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t=-4.237, p<.001; t=-2.734, p=.007). Communication self-efficacy was also improved after the case-based SBA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case-based SBA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improved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 KCI등재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태도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박수진(Su-Jin Park),최효신(Hyo-Sin Choi),김정윤(Jeong-Y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태도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이 환자안전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286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였다.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은 여자가 남자보다, 연령이 많을수록, 학업성적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은 환자안전 지식(r=.25, p =.000), 환자안전 태도(r=.39, p =.000), 간호전문직관(r=.33, p =.000)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성별(β=.12, p =.019), 연령(β=-.17, p =.003), 환자안전 교육을 받은 경험(β=-.73, p =.000), 부주의 정도(β=.09, p =.024), 잊어버리는 정도(β=-.02, p =.024), 환자안전 태도(β=.14, p =.010), 간호전문직관(β=.18, p =.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9.2%였다(F=24.04, p =.000). 환자안전 수행자신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 교육을 받은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과정 초기부터 적극적인 환자안전 개념에 대한 노출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개념에 대해 확장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환자안전과 관련된 시나리오 개발을 통한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교육방법이나 동영상을 이용한 정보공유 등 다양한 교육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confidence of the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 with clinical practice and also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curriculum.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286 students in the 4th year of nursing at two colleges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s. The research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was higher for the women than for men, and for the students of an older age an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was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 (r=.25, p=.000), attitude (r=.39, p=.000), nursing professionalism (r=.33, p=.000) and all thes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²) was .49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9.2% (F=24.04, p=.000).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was the experience of having undergone patient safety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o expand the concept of patient safety from the beginning of the undergraduate course work. Especially, we think that various education strategies such as simulation education methods or information videos are needed to develop scenarios related to patient safet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경은(Kyung Eun Lee),최효신(Hyo Si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이후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D 광역시 2개 대학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14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 대학생활 적응을 측정하는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전공만족도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 문제해결역량, 사회적 관계망 크기와 접촉빈도, 대인관계역량,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역량, 전공만족도 및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36.6%였다. 결론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도를 높이기 위해서 전공의 만족도와 대인관계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of nursing college freshmen on college life adaptation after COVID-19.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49 first-year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D from May 15 to May 31, 2022, and data collection was measur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social network,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major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problem-solving competency, social network size and contact frequency,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nursing college freshmen to college life were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competence, major satisfaction, and social network contact frequenc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6.6%.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improve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in order to increase the adaptability of nursing college freshmen to college life.

      • KCI등재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희옥(Hee-Ok Park),박수진(Su-Jin Park),김정윤(Jeong-Yun Kim),최효신(Hyo-Sin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도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D광역시와 경상북도 소재 5개 대학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0년 9월 10일부터 9월 31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활스트레스(r=-.620, p<.001)과 음의 상관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686, p<.001)과 진로태도성숙도(r=.345, p<.001)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β=.050, p =.032), 대학생활 스트레스(β=-.286,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463,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모형의 설명력은 52.7%였으며(F=18.361, p<.001),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대학생활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is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life stres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new nursing students. This study enrolled 227 first-year students attending nursing departments at five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D and Gyeongsangbuk-do.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0 to September 31, 2020. Data analysis was based on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c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Our results indicate a stressful college life adaptation (r=-0.620, p<0.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r=686, p<0.001), whereas career attitude maturity (r=345, p<0.001) was observ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termin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major factor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affecting the nursing freshma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β=0.050, p =0.032), college life stress (β=-286, p<0.001), and career-determining self-efficacy (β=0.463, p<0.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52.7% (F=18.361, p<0.001),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college life adaptation was determined to b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ur results indicate that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new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hat enhanc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help manage college life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