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차조기(紫蘇,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신품종 「자향」의 주요 특성

        최홍집,배정숙,이은자,한윤열 한국육종학회 2012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2 No.07

        자소는 꿀풀과에 속하는 일년생으로 중국원산이며 우리나라 각 지역에 자생하거나 개량되지 않은 자생종을 재배하고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증가와 기능성 식품 수요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작물로 아직까지 재배에 적합하게 개량된 품종은 없는 실정이다. 자소 신품종 “자향”은 2004년 경북 칠곡군 동명면에서 수집한 칠곡 수집종 등 20여 점의 자원을 사용하여 EMS를 처리하여 선발한 계통으로 그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화색과 엽색은 진한 자색으로 연중 발현하며 줄기는 사각형으로 적색을 띠고 있다. 종실은 극소립이며 천립중이 1.8g이다. 종피색은 암갈색이며 잎모양은 심장형이다. 개화기는 9월23일 이며, 성숙기는 10월 20일경이 된다. 경장은 92cm, 분지수는 15개, 마디수는 평균 17개 정도이다. 화방군수68개, 화방군장은 8.7cm이다. 녹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편이며 도복에도 강하다. 종실수량은 10a당 65kg 정도였다. 지방산 함량은 47.8%로 다유들깨와 비슷하였으며, 지방산 조성은 Pal. 6.95%, Ste. 3.74, Ole. 13.42%, Lin. 4.16%, Lnl. 61.7%로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아 고급식용유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Perilla屬 植物이 형태적,세포유전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분석

        최홍집,권일찬,김재현,김달웅 慶北大學校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3 慶北大農學誌 Vol.11 No.-

        本 硏究는 들깨 국내 육성종을 포함한 蒐集種중 20種을 공시하여 이들 간의 形態的인 主要 特性, 生化學的인 特性과 細胞遺傳學的인 特性을 調査하고 遺傳的 多樣性을 밝혀 들깨의 分類와 品種有成에 있어서의 重要한 基礎 資科를 얻고자 本 實驗을 遂行하여 얻은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들깨 수집종의 形態的, 生化學的, 細胞遺傳學的 特性을 調査해 본 바, 形態的 特性으로 種皮色은 약간의 농도차이는 있었으나 灰褐色, 褐色, 暗褐色(흑색)등 3群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于粒重은 3.5g 이하인 것이 11種으로 가장 많았고 4.5g 이하인 것이 4種 4.5g 이상인 것이 5種이었다. 또한 줄기색은 赤色과 綠色으로 분류되었는데 赤色은 안동재래를 포함 5種이었고 나머지는 綠色이었다. 生化學的인 特性으로 각 蒐集種을 대상으로 脂肪酸 조성을 調査해 본 바, 불포화도가 가장 높은 linolenic acid는 53%(영양재래)에서 65%(의성재래)에 이르기 까지 多樣하였으며, 59-61% 범위에 속하는 種이 12種으로 가장 많았다. 染色體 數는 조사한 4개의 蒐集種(안동재래, 엽실, 영광재래, 대영) 모두가 2n=38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classification of P erilla spp. based on their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20 local collections of perilla distributed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 Seve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Seed color was classified to four groups with greshywhite, greshybrown, brown and darkbrown. The 1,000 grain weight, 11 accessions were below 3.5g, four accessions was 3.6g to 4.5g and five accessions was 4.5g to 5.07g. There was two types of stem color, red and green, 15 accessions was green and 5 accessions including Andongjaerae, Yeupsil, Ockdong, Cheongsongjaerae and Chugjaso were red color. In fatty acid composition was 60% in average. Among 20 accessions, Euseongjaerae showed the highest content(65%) and Yeongyangjaerae the lowest(54%) linolenic acid content. In the cytogenetical studies on the four accessions including Andong, Yeupsil, Yeongkwang and Daeyeong, the number of chromosomes were 2n=38.

      • KCI등재후보

        진행성 비소세포 폐암에 대한 5 - Fluorouracil , Vinblastine 과 Cisplatin ( FVP ) 의 복합화학요법

        최홍집(Hong Jib Choi),김성록(Sung Rok Kim),양성현(Sung Hyun Yang),최수전(Soo Jeon Choi),김철수(Chul Soo Kim),김예희(Re Hwe Kim) 대한내과학회 1997 대한내과학회지 Vol.53 No.1

        N/A The 5 year survival rate after surgical resection for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remains short, only 10-19%. Radiotherapy seems to show some benefit for local control, but it does not reflect to prolongation of survival, as distant metastasis prevails. Vinblastine is one of the most active agent against NSCLC. 5-Fluorouracil(5-FU) and cisplatin are synergistic in anti-cancer activity in adenocarcinoma of gastrointestinal tract and squamous cell cancer of head and neck. We initiated a phase II trial for advanced NSCLC to determine the effect of FVP regimen in response rate, survival and toxicities. The therapy consisted of 5-FU 500mg/m2/12 hours continious IV infusion for 36 hours from day 1, vinblastine 3mg/m2 IV bolus day 1 and 2, cisplatin 75mg/m2 IV infusion over 2 hours day 1 and it was repeated every 3 weeks. Among the 45 patients entered into this study, 40 patients were evaluable for response. The objective response rate was 50%(CR;1/40, 2.5% PRi19/40, 47.5%). The median survival of all the patients was 42.9 weeks(8.4+ - 140.6 weeks); the responding patients survived longer than the non-responders(mediansurvival; 54.4 weeks vs 29.7 weeks, p<0.05). The toxicities of this regimen were acceptable but 1 patient died of pneumonia associated with granulocytopenia. We concluded that the FVP regimen i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and long- term follow up is warranted.

      • KCI등재

        초당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특성 연구

        고우리,최홍집,사규진,조진웅,이주경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2

        본 연구는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에서 초당옥수수 품종개발을 위하여 육성한 100개의 자식계통들에 대하여 총 8개의 질적 및 양적 형질들을 이용하여 형태적 변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2개의 질적 형질들의 조사 결과에서, 종피색(QL1)은 황색을 나타내는 계통(91계통)들이 가장 많았고, 유묘활력(QL2)은 대부분의 계통(68계통)이 약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6개의 양적 형질들에 대한 조사에서, 각 형질 별 평균값은 출웅일수(QN1) 45.9±3.1일, 출사일수(QN2) 49.6±3.4일, 출웅기-출사기 간격(QN3) 3.7±1.1일, 분얼수(QN4) 1.2±0.9개, 간장(QN5) 141.4±15.3 cm, 착수고(QN6) 55.3±11.4 cm를 각각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에서 분석에 이용한 8개의 형질들 중 유묘활력(QL2)과 분얼수(QN4)는 제 1 주성분에서 음의 방향에 크게 기여하였고, 출웅일수(QN1)와 출사일수(QN2)는 양의 방향으로 크게 기여하였다. 반면에 제 2 주성분에서는 착수고(QN6)와 간장(QN5)은 양의 방향에 크게 기여하였다. 따라서 제 1축 및 제 2축의 주성분에서 크게 기여한 형질들은 100개의 초당옥수수 자식계통들을 식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들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연구에서 100개의 초당옥수수 자식계통들에 대한 형태적 변이 및 주성분분석의 결과는 국내 초당옥수수 품종개발을 위한 계통 육성 및 교배조합 구성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We evaluat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100 super sweet corn inbred lines, which were developed to breeding super sweet corn variety at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by examining six quantitative and two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n the result of evaluation of two qualitative traits, most of inbred lines showed yellow (91 inbred lines) at seed color (QL1) and weak (68 inbred lines) at seedling vigor (QL2). In the survey of six quantitative traits, the average value for each trait indicated as follows: days of tasseling (QN1, 41.0 to 55.0 days), days of silking (QN2, 44.0 to 59.0 days), anthesis-silking interval (QN3, 2.0 to 7.0 days), tillering (QN4, 0.0 to 2.0), plant height (QN5, 96.0 to 187.0 cm) and ear height (QN6, 30.0 to 86.0 cm). In PCA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8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eedling vigor (QL2) and tillering (QN4) greatly contributed in negative direction and the days of tasseling (QN1) and days of silking (QN2) greatly contributed in positive direction on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hile, ear height (QN6) and plant height (QN5) contributed in positive direction on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Thus these morphological traits, which were greatly contributed in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s, might be considered to be useful for discrimination in 100 super sweet corn inbred lines. In our study,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variation and PCAs for 100 super sweet corn inbred lines will be helpful for super sweet corn breeding programs such activities as planning crosses for hybrid and line development.

      • 녹색자엽 검정콩 유전자원의 농업형질 및 품질관련 성분 평가

        이은자,최홍집,배정숙,한윤열,김세종,이정동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5 No.07

        본 연구는 녹색자엽 검정콩 유전자원의 다양한 농업형질 조사와 품질관련 성분을 분석하고, 더불어 우수 유전자원을 선발하여 검정콩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는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유전자원 458점과 경북지역에서 수집한 유전자원 15점에 대해 특성평가를 하였다. 가변특성인 성숙기는 68% 이상이 만생종이었으며, 이 중 24% 정도가 극 만생종이었다. 청자콩 3호(10월 7일)와 비교했을 때, 숙기가 열흘 이상 빨랐던 자원은 29점으로 전체의 6% 정도였다. 경장은 90cm 이상이 44%, 60cm 이하가 15% 정도였다. 백립중은 소립종 9%, 중립종 5%, 대립종 18%, 극대립종은 68%이었다. 이 중 55점은 백립중이 45g 이상인 극대립이었다. 고유 특성인 화색의 경우 10점이 흰색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자색이었다. 엽형은 75% 이상 난형을 보였으며, 25%는 4가지의 다양한 형태를 보였다. 안토시아닌의 평균함량은 72.0mg/g이었고, 최소 3.5mg/g에서 최대 167.6mg/g의 함량을 보였다. 청자콩 3호 보다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은 61%였다(청자콩 3호: 65mg/g). 조지방의 평균함량은 18.9%였으며, 최저 14.1%에서 최대 23.5%의 함량을 보였다. 녹색자엽의 진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색차값(ΔE)을 분석한 결과 유전자원 중 청자콩3호와 구별되는 진한 녹색자엽을 가진 개체는 407점이었고(NBS units 3 이상), 이중 매우 진한 녹색자엽을 가진 자원은 186점이었다(NBS units 12 이상). 이상의 품질특성 평가를 통해 백립중이 35g 이상이고, 조지방 함량이 20% 이상이며, 매우 짙은 녹색자엽을 가진 44점의 유전자원을 선발하였다. 추후 이들 녹색자엽 검정콩의 대표 집단 작성을 위해 분자유전학적 기법을 추가하여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 Transformation of Pisum sativum L. var sparkle; A Non Tissue Culture Method

        CHOI, Hong Jib,PARK, Soon Ki,YOON, Young Hwi,KIM, Dal Ung 慶北大學校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3 慶北大農學誌 Vol.11 No.-

        완두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형질전환 방법을 모색하고 형질전환된 개체를 얻고자 본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형질전환은 발아중인 완두의 생장점(shoot tip)을 제거한 다음 T-DNA내에 GUS gene과 neomycin phosphotransferase Ⅱ gene이 들어있는 binary vector를 가진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생장점을 제거한 부위에 감염시켰다. 감염후 새로 형성된 shoot는 개체당 4∼5개 였으며, 그중 GUS유전자가 발현하는 shoot만을 정상적인 식물체로 분화 시켰다. 감염부위에서 형성된 shoot에서의 GUS유전자의 발현빈도는 10%내외였다. 이들 개체로 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Dot blot hybridization분석 결과 T-DNA가 식물체 내에 존재함을 알수 있었고, 수확한 종자를 발아시켜 Sorthern blot hybridization한 결과 T-DNA가 다음세대로 전달되었음이 확인되었으며 형질전환율은 2%이내였다. The transfer of genetic material into pea tissue was accomplished by using an avirulent strain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containing the binary vector. The method used for transformation requires non-tissue culture steps as it involves the inoculation of the site of the shoot removed of germinating seeds. The identification of β-glucuronidase activity in the tissues of ?? pea plants indicates that the plant expressible β-glucuronidase gene, contained the T-DNA region from pLPBO2, had been transferred at least into somatic tissues. Putative transformed ?? pea plants were advanced to produce T₁plants which were also assayed for the presence of the transferred β-glucuronidase gene. The presence of the β-glucuronidase gene in DNAs isolated from T₁plant was demonstrated by DNA gel blot hybridization.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nsformed plants contained β-glucuronidase gene.

      • KCI등재

        Introduction of Yam Bean (Pachyrhizus spp.) in Korea

        김상국,최홍집,박준홍,이인정,박신영,원재희 한국자원식물학회 200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2 No.6

        We examin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fresh tuber yield, rotenone content of two yam beans (Pachyrhizus erosus and P. ahipa) introduced from Mexico. P. erosus species showed better adaptable ability than P. ahipa species in seed productivity and tuber yield. Rotenone content in the P. erosus species extracted with chloroform was 3.6 folds much more extracted than ethanol extraction. The order of rotenone content found in crude extract obtained by different solvent extraction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was mature seed (484.7 ㎍) and leaves (17.2 ㎍) of the P. erosus species, respectively.

      • 옥수수 이중열성인자를 이용한 찰초당옥수수 육성

        허창석,최홍집,이준수,김순권,김영환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본 연구는 찰옥수수에 단맛을 가미하고자 이중열성인자(wxwxshsh)를 이용하여 찰초당옥수수 품종 육성을 위 하여 수행 되었다. 감미찰 옥수수는 최초의 단맛이 가미된 찰옥수수로 이삭내 립의 비율이 찰옥수수 대 초당 옥수수가 3 : 1로 혼합되어 있다. 감미찰 품종의 특성은 아밀로펙틴 함량은 94%, 과피두께 59㎛, 백립중은 27g, 종피색은 흰색, 자수색은 담자색이었다. 또 평균이삭중이 132g이며 10a당 이삭수는 5,833개였다. 채종시 험결과 모본인 Gwx2의 출사기와 부본인 Gdm1의 화분비산기가 일치하여 10a당 85kg의 채종이 가능하였다. 식미검정에서는 찰옥1호 보다 우수하였고 초당옥수수는 당 함량이 높아 어린이 노약자들에게, 찰옥수수는 청․장년층에게 기호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찰초당옥수수는 한국인 기호에 맞는 새로운 시도로 보여진다.

      • KCI등재

        옥수수의 응애 저항성에 대한 조합능력과 세대평균분석

        이준수,최홍집,허창석,김순권 한국육종학회 2006 한국육종학회지 Vol.38 No.5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iis urticae K.) can cause severe yield losses in maize (Zea mays L.). Diallel crosses (28 F1) and generation mean analysi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type of resistance to mite. In diallel crosses, Mean square for GCA

      • KCI등재

        DNA marker를 이용한 풍기 재래인삼의 주요 특성 분석

        임순영,최홍집,류태석,권태룡,최진국,손재근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지 Vol.55 No.3

        국내 수집 재래종 인삼과 기존육성품종과의 유전적 연관을 통해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지리적 표시제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전적 연관 분석에서 가장 먼 것으로 분류된 풍기지역 수집종 331002 등 5점과 금산지역 수집종 332009 등 5점간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한바 풍기 재래종 인삼의 경수는 1~2개로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장엽수, 경색, 엽병색, 소엽 모양에서는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를 보였다. 즉 풍기 재래종은 장엽수가 5개이고 소엽 모양이 타원형이며,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 연자색, 진자색 등 다양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특히 유전적 연관에서 풍기지역 수집종 중 331002, 331005, 331007 및 331026은 함께 grouping 되었지만 331002는 대비 품종인 천풍과 99.5%에서 함께 group지어져 있었다. 특히 331002 등 이 3개의 풍기 수집종은 기존 품종과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보였다. 이를 통해 풍기 수집종 331002, 331005, 331007은 국내 재래종에서 순계분리법으로 선발된 기존육성품종과는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31007은 농가 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풍기 재래인삼의 고유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측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풍기지역 재래 인삼의 주요 형태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유전적인 면에서도 타 지역 수집종과 기존육성품종과도 구분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선발된 OPD05 등 9개의 prime는 경수 1개, 장엽수 5개, 소엽 모양은 타원형,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계열인 특성을 지닌 풍기 재래인삼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서 인삼 유전자원의 특성 구분 및 품종개량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a total of 25 lines consisting of five native ginseng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five lines from Geumsam area and 15 varieties were analyzed and clustered for the selection of Poonggi native ginseng in Korea using DNA mark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ng cluster distance were observed between the collections of 331002, 331004, 331005, 331007 and 331026 from Poonggi area, and the collections of 332009, 332021, 332046, 332050 and 332066 from Geumsan area because of the sensible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leaves per stem, stem color and petiole color. Thus, the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with specific characters consisting of one stem per plant, five leaves per stem and broad elliptic leaflet shape were finely classified using nine primers including OPD05, OPD20, OPG17, OPH05 and so on.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331007 from Poonggi area was considered as the respective collection with above characters. Thus, the nine primers such as OPD05 and so on, will be used to select the Poonggi ginseng in the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