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OSI 기반 관리 정보 베이스 구축 방안

        최홍진(Hong Jin Choi),남영호(Young Ho Nam),김성조(Sung Jo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본 논문은 망 관리 시스템의 중심 역할을 하는 MIB를 구축하기 위한 MIB 구조 및 MIB와 망 관리 시스템과의 연동 구조를 설계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OSI 기반 망 관리 구조와 망 관리 시스템 구조 및 MIB 구조를 정의한다. 그 다음, MIB와 망 관리 시스템과의 연동 구조를 설계하고 MIB의 구현 방안을 지네릭 관리 정보 모델 구현 단계, 관리 대상 망의 관리 정보 모델 정의 단계, 관리 정보 모델 구현 단계, 그리고 스키마 변환 및 인터페이스 모듈 구현 단계로 나누어 제안한다.

      • KCI등재

        골 재생을 위한 음의 포아송을 가지는 PLGA/Hydroxyapatite/β-TCP 복합 지지체에 관한 연구

        최홍진(Hong Jin Choi),장현성(Hyeon Seong Jang),이준석(Junseok Lee),조종만(Jongman Cho),김정구(Jeong Koo Kim) 한국고분자학회 2020 폴리머 Vol.44 No.5

        본 연구는 골조직 재생에서 효과적인 골세포 증식을 일으키기 위하여 지지체의 공극 형태를 변형시켜 음의 포아송 비를 만들어 효과적인 물리적 자극을 세포에 전달하여 세포증식의 극대화를 일으키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지지체로 사용된 고분자와 세라믹 재료는 poly(lactic-co-glycolic acid)(PLGA)와 hydroxyapatite(HA), beta-tricalcium phosphate(β-TCP)이다. 염침출법으로 지지체를 제작하여 세포 생존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 MG-63 세포를 seeding 한 후, 음의 포아송 비를 가지는 지지체에 자극을 주어 세포가 충분한 자극을 받도록 하였다. 대조군(PLGA/HA) 지지체 시편의 경우, 압축자극을 가하였을 때의 세포증식률이 자극이 없을 때의 증식률보다 1, 3, 5일 차에 걸쳐 각각 약 21.4, 25.8, 39.9% 높은 결과를 보였고, 실험군(PLGA/HA/β-TCP) 지지체 시편은 압축자극을 가하였을 때 37.6, 57.7, 71.6%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기존의 연구였던 PLGA/HA 복합 지지체보다 HA의 양을 40% 정도 β -T CP로 대체한 PLGA/HA/β-TCP 지지체가 약 30%가량 골세포의 성장을 도왔으며 압축 자극과의 시너지 또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maximize the cell proliferation by delivering effective physical stimulation to cells by creating a negative Poisson’s ratio by modifying the shape of the pores of the scaffold to cause effective bone cell proliferation in bone tissue regeneration. Polymer and ceramic materials used as scaffolds are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hydroxyapatite (HA), and beta-tricalcium phosphate (β-TCP). The support was prepared by salt leaching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cell survival, seeding MG-63 cells, and stimulating the support with a negative Poisson’s ratio so that the cells were sufficiently stimulated. In the case of the control (PLGA/HA) support specimen, the cell proliferation rate when compressed stimulation was applied was about 21.4, 25.8, and 39.9% higher than the proliferation rate without stimulation over 1, 3, and 5 day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LGA/HA/β-TCP) scaffold specimens showed high results of 37.6, 57.7 and 71.6% when compression stimulation was applied. This means that the PLGA/HA/β-TCP scaffolds, which replaced the amount of HA with β-TCP about 40%, helped the growth of bone cells by about 30%,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PLGA/HA composite scaffolds in compression stimulation.

      • KCI등재

        LED 청색광 차단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연구

        송대규(Dae Gyu Song),이준석(Junseok Lee),최홍진(Hong Jin Choi),김정구(Jeong Koo Kim) 한국고분자학회 2022 폴리머 Vol.46 No.1

        본 연구는 사람의 안구에 황반변성과 망막 손상을 일으키는 LED digital 기기의 청색광을 차단하는 콘택트렌즈를 개발하여 효과적으로 안구보호와 황반변성 발병률을 줄이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청색광 차단재와 콘택트렌즈용 재료는 각각 coumarin과 poly-methyl-methacrylate(PMMA)이다. PMMA 용해 유기용매로 dichlorometh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cetone, toluene을 사용하였고 이중 toluene으로 녹였을 때, 시각적인 투명도가 가장 높았고, 강도 또한 가장 높았다. 제작한 렌즈 시편의 coumarin 농도별 흡광도 측정을 통해 청색광 차단율을 확인하였다. 제작한 coumarin/PMMA 콘택트렌즈 시편의 경우 coumarin의 혼합비율에 따라 1, 2.5, 5, 10 mM에 걸쳐 325 ㎚(UV-A) 영역에서는 99% 이상의 가장 높은 차단율을 보였고, 375 ㎚ 영역에서는 1 mM일 때 5.69%, 2.5 mM은 43.34%, 5 mM은 56.45%, 10 mM은 66.25%의 결과를 보였다. 이는 청색광 차단을 위한 coumarin/PMMA 콘택트렌즈가 효과적으로 청색광을 차단하여 자연광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a contact lens for shielding blue light emitted from LED digital devices, preventing macular degeneration as well as an effective protection of human eyes. For the blue light blocking lens, coumarin was used as blue light blocking material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as engaged as a material for contact lens. As a solvent for PMMA, dichlorometh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cetone, and toluene were used and tested. Among the solvents, toluene showed the highest transparency and strength/solidity. For blue light shielding rate, coumarin was administr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to the PMMA film, then light absorbance was measured for each specimen. In results, coumarin/PMMA films (contact lens) within 325 ㎚ (UV-A) region, all specimens, 1 mM, 2.5 mM, 5 mM, and 10 mM of coumarin contents PMMA films, showed 99% of blue light shielding rate. In case of 375 ㎚ region, each specimen showed shielding blue light as 5.69% at 1 mM, 43.34% at 2.5 mM, 56.45% at 5 mM, and 66.25% at 10 mM. Conclusively, PMMA contact lenses with coumarin contents reduced the intensity of blue light generated by LED digital devices to the level of natural l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