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작품변화과정과 내면적 치유과정의 연관성 -미술치료의 매체, 주제, 크기 중심으로-
최혜원,길은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2
This study started from the viewpoint that authors can go through internal healing process through their works jut as interviewees undergo internal healing process through creation in an art therapy. Among them, this researcher looked into the correlation of change process and healing process revealed at artist, Louise Bourgeois' works focusing the changes of media, topics and sizes. At Louise Bourgeois' works, various media such as drawing pen, latex, marble, soft cloth etc. were used to express aggressiveness, relieve stress, and create a firm self-portrait of internal world. At the initial stage, a topic was expressed as a woman psychologically suppressed, Bourgeois' image was expressed as an metaphorically locked house and a cave house in a form of undifferentiated mass, while at the later stage, it was changed as rich and various women as an active woman not in restriction. In the aspect of size, as various media were used in paper work in plane, her viewpoint for the past and internal change process was more widened, and at the later age, it was changed as a form of larger volume and mass through spider work and secret room series, and a form of realistic and overwhelming scale and gigantic size. Also through the author's recollection, interview to the work process and work, the power revealing her trauma, which can be also be associated with internal growth. Thus at Louise Bourgeois' creative work, a healing process through art own role to consciousness-raising trauma and emotions, and get an insight into them and healing process through art appeared at the change of media, topic and size, which can be seen as a clue for an interviewee to experience internal healing process and through creation and look into through a work.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내담자가 창작을 통해 내면적 치유과정을 겪는 것과 마찬가지로 작가들 또한 작업을 통해 경험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자는 예술가 루이즈 부르주아 작품에서 드러나는 변화과정과 내면적 치유과정의 연관성에 대해 미술 치료적 관점에서 매체, 주제, 크기의 변화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녀의 작품에서 드로잉 펜부터 라텍스, 대리석, 부드러운 천 등 다양한 매체들은 공격성 표출, 스트레스 해소, 확고한 자아상창조에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주제가 심리적으로 속박된 여성, 은유적으로 갇힌 집과 미분화된 덩어리형태의 굴집으로 표현되었다면, 후기에는 적극적인 창조자로서의 풍부하고 다양한 여성으로 변화함을 볼 수 있었다. 크기는 평면종이작업에서 다양한 매체들이 사용되면서 그녀의 과거에 대한 관점과 내면의 변화과정이 넓어졌고, 후기에는 거미, 밀실작업을 통해 부피감, 덩어리감이 커진 형상, 실제적이고 압도적인 규모의 형상으로 변모하였다. 또한 작업과정, 작품에 대한 작가의 술회,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외상을 드러내는 힘이 견고해졌고, 이는 동시에 내면의 성숙과 연관 지어 볼 수 있다. 따라서 부르주아의 창작활동에서는 외상과 감정을 의식화, 이를 통찰하게 하는 미술고유의 역할과 치유과정이 매체, 주제, 크기의 변화에서 나타났고, 미술치료과정에서 내담자가 창작을 통해 내면적 치유과정을 경험하고 작품을 통해 살펴보는 맥락으로 볼 수 있다.
Cytogenetic Stability of Autosomes and B-Chromosomes in Tissue Cultire of Scilla scilloides Complex
최혜원,이원규,김수영,방재욱 한국유전학회 2004 Genes & Genomics Vol.26 No.4
Chromosomal variations were studied in the callus cells and the regenerated somaclones of four different cytotypes containing B-chromosomes, BB, BBBB, AABB and ABBB, in the Scilla scilloides complex. Considerable alternations in autosomes and B-chromosomes were found in the callus cells, while only B-chromosomal variations were observed in the somaclones except for cytotype BBBB. Most of the variations in the autosomes were aneuploids. The number of B-chromosomes varied in both callus cells and somaclones. In the diploid BB, neither the callus cells nor somaclones had autosomal variation. However,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variations with a loss of autosomes and B-chromosomes in the autotetraploid BBBB. All somaclones of allotetraploid AABB carried a normal number of chromosome in both autosomes and B-chromosomes, compared with the allotetraploid ABBB. The cytological data demonstrated that the B-chromosomes had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the autosomal stability among the genotypes and cytotypes during the tissue culture of the S. scilloides complex.
Focus and Specificity in Wh-Scrambling: An OT Account
최혜원 한국언어학회 2004 언어 Vol.29 No.2
Choi, Hye-Won. 2004. Focus and Specificity in Wh-Scrambling: An OT Account.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29-2, 137-166. This paper examines scrambling of wh-phrases in Korean and accounts for the presence and lack of specificity and focus effects in scrambling by means of constraint ranking in Optimality Theory (Prince and Smolensky 1993). It will be argued that scrambling is motivated not only syntactically but also semantically and pragmatically (Choi 1996, 1999), so that depending on the ranking of the relevant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constraints, the specificity and focus effects may or may not emerge. (Ewha Womans University)
최혜원,이형송,임천규,궁미경,강인수,전진현,Choi, Hye Won,Lee, Hyoung-Song,Lim, Chun Kyu,Koong, Mi Kyoung,Kang, Inn Soo,Jun, Jin Hyun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2 No.4
연구목적: 단일 유전자 이상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PCR 방법의 확립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lkaline lysis와 duplex nested PCR 방법을 단일 림프구와 할구의 유전자 분석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단일 유전자의 이상이 확인된 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ornithine transcarbamylase (OTC) 결핍증과 epidermolysis bullosa (EB) 가계의 대상자들에서 채취한 단일 림프구와 공여 받은 배아의 할구를 이용하여 각각 PCR,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와 direct DNA sequencing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에서 유전자 증폭률 (amplification rate)과 두개의 allele 중에서 하나의 allele이 증폭되지 않는 allele drop-out (ADO) 빈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 과: 단일 림프구와 할구를 이용한 PCR 방법의 유전자 증폭률은 DMD에서 91.1%와 81.8%, OTC 결핍증에서 96.0%와 78.1%, EB에서 91.3%와 90.0%를 각각 나타냈으며, ADO 빈도는 OTC 결핍증에서 13.3%, EB에서 16.8%로 관찰되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적용한 alkaline lysis와 duplex nested PCR 방법은 단일 유전자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되며, ADO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의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변압기의 적용된 초전도체의 위치에 따른 전력 특성에 관한 연구
최혜원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14 공학기술논문지 Vol.7 No.1
본 논문에서는 고장전류저감 대책으로 전력계통용 변압기의 중성선에 초전도체를 삽입한 구조의 변압기형 초전도 한류기를 제안하면서 성능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초전도체가 3차 권선에 적용된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1선 지락 사고를 발생시켜 사고전류를 제한하는 시간과 초전도체에 인가되는 부담률을 분석하였다. 각 상마다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연결한 CT가 사고전류를 감지하면 SCR Control system이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이 인가되면 SCR b, a접점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사고 전류의 선로를 변경한다. 이로 인해 사고 전류는 한류소자가 연결된 권선으로 우회시켜 제한된다. 실험 결과, 3차 권선에 초전도체를 적용한 경우보다 초전도체를 중선에 적용한 경우가 사고발생과 동시에 초전도체가 quench되어 초기사고전류를 낮게 제한하면서 인가되는 전력부담률도 현저히 낮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혜원 담화·인지언어학회 2008 담화와 인지 Vol.15 No.3
This paper examines the word order alternation between dative (-eykey/hanthey) and accusative (-ul/lul) arguments in Korean with focus on the informational structure effect (i.e., effect of discourse givenness or newness), as compared to the grammatical weight or length effect reported in Choi (2007). This corpus study verifies that given information comes before new information in Korean as in many other languages, by showing that the 'given before new (GN)' order is much more preferred (5 times more frequent) than the 'new before given (NG)' order. It also shows that the scrambled AD order has distinct informational patterns from the canonical DA order, which seems to be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 with the length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