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급속진행형 치주염에서 Minocycline을 함유한 Polycaprolactone film의 임상 및 미생물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최현순,엄흥식,정종평,Choi, Hyun-Soon,Um, Heung-Sik,Chung, Chong-Pyoung 대한치주과학회 1994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4 No.2

        The local route of antibiotic administration can accomplish higher therapeutic doses in subgingival sites than those possible by systemic therapy. This investigation assessed on the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effect of 30% Minocycline loaded polycaprolactone film (Mino-strip) on rapidly progressive periodontitis. Mino-strip was applied in the periodontal pockets of 15 patients with clinically diagnosed as a rapidly progressive periodontitis. 8sites for each patient with a 5mm probing pocket depth were selected in split mouth design and were assigned into group. i.e., placebo(group 1), supragingival scaling and R/P(group 2), Mino-strip applied only(group 3), R/P and Mino-strip applied(group 4). Supragingival scaling and oral hygiene instruction were performed 1 wk before experiment. Mino-strip was applied weekly on day 0 and 7.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test were performed on day 0, 7, 14, 28, 56. In R/P and Mino-strip applied group, Gingival index, GCF volume, probing depth and loss of attachment level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first weeks following treatment. In R/P and Mino-strip applied group, the relative proportions of spirochetes and motile rod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proportions of cocci and non motile rod were correspondingly increased for eight weeks following treatment. In R/P and Mino-strip treated group, total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l cou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or the first two weeks following treatment and streptococcus count was decreased for eight weeks following treatment. In R/P and Mino-strip applied group, P. gingivalis, P. intermedius, B. forsythus, A. actinomycetemcomitans, F. nucleatum, E. corrodens, C. rectus cou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first week following treatment.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appeared that 30% Minocycline-loaded polycaprolacton film was effective in the treatment on rapidly progressive periodontitis.

      • SCOPUSKCI등재

        스트렙토키나제를 함유하는 스텔스$^{\circledR}$ 리포좀의 제조 및 평가

        최현순,이계원,백명기,조인숙,김동출,지웅길,Choi, Hyun-Soon,Lee, Gye-Won,Baek, Myung-Gee,Cho, In-Sook,Kim, Dong-Chool,Jee, Ung-Kil 한국약제학회 2000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0 No.1

        $Stealth^{\circledR}$ liposomes entrapped with streptokinase were prepared to improve the physical stability of conventional liposome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dissolution rate and entrapping efficiency of the $Stealth^{\circledR}$ liposomes were studied. The entrapping efficiency of streptokinase into conventional liposomes was proportional to the total lipid and cholesterol amounts. In $Stealth^{\circledR}$ liposomes, the entrapping efficiency of streptokinase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PPE-PEG(5,000) amount. The particle size of $Stealth^{\circledR}$ liposome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PPE-PEG(5,000) amount. The dissolution rate of streptokinase from conventional liposomes was decreased by addition of cholesterol. The dissolution rate of streptokinase from the $Stealth^{\circledR}$ liposomes was also decreased by addition of DPPE-PEG(5,000).

      • KCI등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이해에 있어서 카리타스(Caritas)

        최현순(Hyeon Soon Choi)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신학과 철학 Vol.- No.25

        본 연구에서는 카리타스(caritas)를 해석학적 열쇠로 삼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론, 특히 교회의 구조적 차원인 교계제도에 대한 가르침을 고찰하였다. 교회의 본질을 삼위일체적 전망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교회의 원인, 목적, 실존양식을 카리타스로 이해한 교회헌장은 우선적으로 카리타스를 기초로 하는 보편성(catholicitas)의 전망 안에서 교황직과 주교직을 이해한다. 교황은 '카리타스의 보편적 공동체를 주관하는 직무자'로서 보편교회의 신앙과 친교의 일치에 있어서 가시적 원리요 기초로서 하느님 백성으로 하여금 '카리타스 안에서 진리를 살도록', 그리고 그 종말론적 충만함을 향해 역사 안에서 걸어갈 수 있도록 이끈다. 교계적 친교를 통해 보편교회와 연결되어 있는 주교는 선교를 통해 신앙과 그리고 가난한 교회들에 대한 도움을 통해 카리타스로 보편교회 및 다른 지역교회들과 결합되기 때문에 카리타스는 재치권적 제한을 넘어 지역교회들을 결합시켜 전체교회가 살아있는 유기체일수 있도록 한다. 주교는 또한 지역교회 안에서 하느님 백성이 카리타스 안에서 진리를 따라 살 수 있도록 봉사한다. 그러므로 카리타스는 주교직무의 구성적 요소이며 교계제도의 존재와 기능의 모태이다. This research, with the hermeneutic key 'charity' tried to understand the teachings of Vatican Council II on the Church, especially on the Hierarchy. The LG comprehends the cause, the object and the mode of existence of the Church in the context of charity, and understands the Papacy and the episcopate in the perspective of the Catholicity of which foundation is charity. The Pope who presides over the universal community of charity is visible principle and foundation of unity of faith and communion. He leads the people of God who live the truth in charity towards eschatological fullness. Bishop in hierarchical communion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al Church, especially through the evangelical mission and charitable aids to other poor churches. The charity exceeds the limit of the jurisdiction and makes relationship alive and organic between local churches. In the local church bishop serves the people to live the truth in love. Therefore the charity is the constitutive element of the episcopate and the milieu in which the hierarchical structure exists and works.

      • KCI등재

        ‘틀림’을 넘고 ‘다름’과 함께 ‘일치’를 향해 가는 개혁의 방법을 찾아서

        최현순(Choi, Hyeon So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神學展望 Vol.- No.202

        본고에서는 16세기 가톨릭 카말돌리회 수도자들이 『교황 레오 10세에게 보낸 서한』과 루터의 독일 민족의 귀족에게 호소함 에 나타난 그리스도교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각각의 개혁안을 비교함으로써 분열이 아닌 일치가 가능한 개혁 방법을 모색하였다. 두 서한은 당시 신자들의 생활, 수도생활, 교황궁 상황에 대하여 공통된 문제의식을 가졌다. 그러나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카말돌리회 수도자들은 하느님 말씀에 대한 무지를 그리스도교적 삶의 타락에 대한 주 원인으로 보고 이로부터 초래된 미신적 신앙생활, 우상 숭배, 분열 등의 문제에 주목한 반면, 루터는 교황궁의 부패, 특히 교황을 비롯하여 교계 제도에 속하는 사람들이 신앙생활을 돌보는 것보다 현세적 재화를 탐하는 상황에 더 집중하고 있다. 이로부터 교회 개혁의 공통된 필요성을 이야기하면서도 개혁 방법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는 교회론적 차이도 기여한다. 카말돌리회 수도자들은 교황이 주도권을 취하는 교황주도적 개혁을 제안하는 반면, 루터는 만인 사제직 개념에 근거, 평신도인 독일 귀족들에게 개혁을 주도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서한 모두 근본적으로 하느님 백성에 대한 사목적 관심에서 출발하고 있고, 그리스도교적 삶의 본질로 돌아가야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공의회의 중요성을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공의회가 역사 안에서 함께 걸어가는 하느님 백성의 구성적 특징인 공동 합의성을 결정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다. 공의회를 통하여 그리고 실천적 차원의 개혁이 조속히 이루어졌다면 분열까지는 가지 않았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개혁을 지향하는 공동체가 구성원에 대한 사랑에 기초하고 공동체가 공통의 목표를 인식하고, 공통의 지향점을 가지고 있는 한,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가운데 대화와 소통을 통하여 분열이 아닌 일치를 지향하는 개혁은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find a way of reformation of an community without damaging the unity, on the basis of a comparative study of Libellus to Leonem X by Camaldolese and the Open Letter to the Christian Nobility by Martin Luther. The authors of both documents commonly criticize the Christian situation at in that time: corruption of Christian life, religious life and Roman Curia. But their points of view are different: Camaldolese emphasize the aspect of the internal life of the church, and he considered consider ignorance about the faith and Word of God as the fundamental cause of Church corruption. Luther emphasized the corruption of the Roman Curia especially in the question of their living style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Hierarchy of the Church is more interested in secular things than the questions of faith. Moreover their ecclesiologies are different: Camaldolese holds a typical ecclesiology of the Catholic Church in epoch, where as Luther holds an ecclesiology in which the concept of sacerdotium universale is an important axis. This is why the ways of reforming the church in two documents are different. Camaldolese propose a model in which the initiative and the leadership of reformation are attributed to Pope. But Luther attributes these to lay nobles. Nonetheless the authors of two documents have some important things in common: love for God’s people as a starting point for reformation, and hope of restoring the authentic life of Christianity. Specially both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 council for the Church reformation, which is significant because a council is excellent realization of “synodality”, the characteristic of the People of God in the History. Thus a reformation without division would had been possible if the practical reformation in Christian life have succeeded before the Church division, specially through Council. Therefore in a community that wishes to ameliorate its situation, it would be possible to reform without damaging the unity of the community, if a reformation is founded on love towards all members, the purpose of the community is commonly recognized by all members, and they can communicate to each other, accepting the differences of others.

      • KCI등재
      • “같은 성령께서 당신의 선물로 신앙을 계속해서 완성시켜 주신다”(DV5) (Idem spiritus sanctus fidem iugiter per dona sua perficit) -신앙의 해에 ‘새롭게-숙고’하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앙 이해

        최현순(Choi, Hyeon-soo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3 이성과 신앙 Vol.54 No.-

        본 논문은 신앙의 해를 맞이하여 전 세계 교회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새로운 복음화의 문제가 한국교회 안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지를, ‘수용’의 신학적 개념을 전제하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신앙에 대한 가르침, 특히 계시헌장 5항의 구절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신앙문제를 다룸에 있어 필연적으로 논의해야 하는 계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신앙에 대한 이해를 두 차례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에 근거해서 살펴본 후, 이 가르침 안에 나타나는 계시와 신앙에 대한 종말론적 전망 안에서 새로운 복음화, 신앙의 해의 의미를 교회가 지상에서 종말론적 충만함을 향해 걸어가는 동안 모든 시간과 공간 안에서 항상 ‘새롭게 숙고해야 하는 신앙’, 그리고 ‘새롭게 삶으로 살아야 하는 신앙’에서 찾아보았다. This article, on the basis of DV5 seeks to expound the meaning of the ‘New evangelization’ for the Korean Christians on the occasion of the ‘Year of Faith’. It begin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teachings of the two Vatican Councils on the Revelation and the Faith. In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on faith that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clares, it is obvious that, along the path of the Church towards the eschatological fulfillment, the faith must be the ‘faith re-thought’ and the ‘faith re-lived’ in all the time and in all the place, also i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 콩가르의 『교회 내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에 나타난 참된 개혁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연구

        최현순(Choi, Hyeon Soo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3

        본고는 그리스도교의 역사를 바탕으로 교회의 참된 개혁의 조건들을 제안한 콩가르의 『교회 내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통해 인간 공동체의 개혁을 위한 원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저서에서 콩가르는 선사와 인간 행위 간 시너지, 혹은 신적 및 인간적 실재의 복합체라는 교회의 이중적 특성을 교회론적 전제로 삼고 있다. 콩가르는 하느님의 선물과 신적 실재라는 특징은 변화시킬 수 없는 것으로, 인간 행위 및 인간적 실재는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특히 교계 제도를 교회의 구조로 이해한 가운데, 이 구조가 하느님의 선물에 속하기 때문에 변화시킬 수 없는 것임을 강조한다. 때문에 콩가르는 교회 안에서 개혁의 대상은 교회 구조가 아닌 교회의 삶임을 분명하게 하면서 종교개혁이 교회 구조를 변화시켰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한다. 콩가르는 참된 개혁의 조건을, 사랑 혹은 사목적 차원의 우선성, 친교 유지, 인내 및 기다림, 그리고 전통의 보존 등, 네 가지로 들고 있다. 콩가르는 이 기준에 비추어 종교개혁의 개혁을 참된 개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본고에서는 종교개혁에 대한 자신의 비판이 교회 일치적 분위기와 맞지 않는다는 이후 콩가르의 의견에 동의하면서 종교개혁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따라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개념을 개혁에 대한 평가의 출발로 삼았다. 루터가 신자들의 회중인 교회, 세례로 인한 신자들의 사제직 참여, 그리고 성령의 도유로 인한 예언직 수행을 부각시킨 것은, 가톨릭 교회의 이해와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인지하는 가운데, 종교개혁이 이룬 긍정적 성과로 평가받을 수 있다. 또한 교회를 하느님 백성으로 볼 때 비가톨릭 그리스도인들은 ‘합체’는 아니지만 ‘결합’이라는 방식을 통해 하느님 백성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들은 하느님 백성과 대척점에 있지 않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인간 공동체를 위한 참된 개혁의 조건들을, 공동체의 원천과 목표 보기, 인본주의, 인내와 기다림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공동체의 원천과 목표를 보는 것은 개혁의 출발점으로서, 이로부터 공동체 안에서 변화시킬 수 없는 것, 변화해도 되는 것, 변화되어야 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목표를 향해 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실현 방법에 대한 포용과 일치의 보존도 가능해지고, 바리사이주의 유혹과 시나고가가 될 위험을 피해야 함도 명확해진다. This research, through the critical study about “True and False Reform in the Church” of Y. Congar, tries to propose some conditions for true reform in the human community. Congar clarified four conditions for true reform in the Church: the primacy of charity and of pastoral concerns, remaining in communion with whole Church, having patience with delays, renewal through a return to the principle of tradition. Congar took as his starting point the double character of the Church: synergy between the divine given and the human action, the complex reality of the divine and human elements. The divine given or the divine element is not exchangeable. In particular, the hierarchy belonging to the divine given, is the structure of the Church, and cannot be reformed. Therefore, Congar severely criticizes the way of the Reformers as a false reform. Meanwhile, after Vatican II, Congar recognized that such criticism was not suitable for the ecumenical environment after Vatican II, even though his comprehension about the theology of the Reformation was not wrong.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manifest the possibility of re-evaluating the Re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ecclesiological perspective of Vatican II, in particular of the People of God. Some positive aspects of the Reform could be proposed, regarding congregatio fidelium, sacerdotium universale, exercise of the prophetic function. Then it is proclaimed by the Vatican II that non-Catholic Christians are joined(conjuncti) to the People of God. In this way there i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ism.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d some conditions for true reform in human communities on the basis of the conditions proposed by Congar and of the perspective to which these conditions belong: ante et retro oculata as the starting point, humanism, and patience. In particular, from the double view of origin and goal, one must distinguish what must not be reformed, what can be reformed, and what must be reformed. The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diverse ways of carrying out reform while maintaining unity and avoiding the temptation to “Pharisaism” and to a “synagogue”.

      • KCI등재

        보건소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의 금연지속 실패 요인

        최현순(Choi, Hyeon-Soon),손혜숙(Sohn, Hae-Sook),김윤희(Kim, Yun-Hee),이명진(Lee, Myo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0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6개월 금연성공자의 금연지속 실패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6개월 금연성공자 347명으로부터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전화설문 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생명 표법과 Cox-proportional hazard model로 분석하였다. 금연지속 실패와 관련된 요인은 주거지가 읍·면인 경우(HR 2.50, 95% CI 1.69-3.68),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HR 1.92, 95% CI 1.21-3.04), 동거가족 흡연자가 없는 경우(HR 1.93, 95% CI 1.21-3.09) 금연보조제를 사용한 경우(HR 2.17, 95% CI 1.01-4.68)로 나타났다. 누적 금연지속 실패율은 6개월까지 가 28.6%, 24개월은 36.1%로 나타났다. 이에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금연성공 및 금연 지속률을 높이기 위하여 대상자 의 금연의지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failure in continuity of smoking cessation among persons who were initially successful in quitting smoking for at least 6 months in smoking cessation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telephon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registered cards from 347 of 6 months quitters from 2006 to 2008 year. Data were analyzed by life table method and Cox-proportional hazard model. In Cox-proportional hazard model, Eup·Myeon of residence(HR 2.50, 95% CI 1.69-3.68), without chronic diseases(HR 1.92, 95% CI 1.21-3.04), without another smoker in household(HR 1.93, 95% CI 1.21-3.09) and usage of supplement agent(HR 2.17, 95% CI 1.01-4.68)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failure in continuing to stay smoke-free. The cumulative rate of failure in the continuity of smoking cessation was 28.6% at 6 month and 36.1% at 24 month. For operating a clinic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Public health center should makes strategies that a person is continuing smoking cessation for over 6 months after the first 6 momth's smoking ces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