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류구간에서의 홍수도달시간 시나리오 분석

        최현구,이을래,Choi, Hyungu,Lee, Eulrae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3

        대하천사업 이후 낙동강 유역의 수문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낙동강 전 유역에 대한 도달시간 재산정도 필요한 상황이며 보와 보 사이 구간에 대한 홍수도달시간 산정도 필요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하천사업 이후의 지형을 반영하여 창녕함안보에서 하구둑까지 홍수도달시간을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유량조건과 수위조건의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류유량, 방류형식, 하류단 경계조건, 지류의 유무에 따라 총 84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유량과 수위에 대해 초기홍수도달시간과 첨두홍수도달시간을 각각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다양한 시나리오들은 홍수예경보시스템, 조류배제운영 등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Modification of travel time is necessary in all Nakdong river basin because hydrological conditions of Nakdong river basin were changed after major rivers project. Also calculation of flood travel time at between sections of weirs is necessary. In this study, flood travel time was calculated using hydraulic model and the latest topographical data from Changnyeong-Haman weir to Nakdong river estuary bank. Analysis of discharge and stage conditions were carried out. 84 of the scenario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flow rate, discharge type, boundary conditions, and tributary conditions. Flood travel time of initial and peak were calculated with discharge and stage condition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vailable in practical business work such as flood forecast warning and weir operation on algae removal.

      • KCI우수등재

        EFDC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에서의 성층현상 재현성 평가

        최현구,한건연,박준형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3

        Nakdong River was recently dredged with multi-functional weirs construction. Therefore, the depth was deepened and the lag time also increased. As a result, stratification occurred in some sections with deep water depth, and it also caused the increase of algal bloom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producibility of stratification in the Nakdong River by applying the EFDC model, which is a three-dimensional hydraulic and water quality analysis model proving the reproducibility of stratification phenomena in reservoirs and estuaries. In order to reproduce the Nakdong river water temperature and DO stratification, EFDC model was constructed in the downstream part of the Nakdong river and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on key parameters sensitive to stratification. Sensitivity analysis was used to reproduce stratification by selecting optimal parame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analysis of various destratification scenarios. 낙동강에서 다기능보의 건설과 하도의 준설로 인해 수심은 더욱 깊어졌으며 유속이 느려져 지체시간 또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수심이 깊은 일부구간에는 성층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녹조현상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와 하구언에서 성층현상 재현성이 입증된 3차원 수리․ 수질 해석모형인 EFDC 모형을 낙동강에 적용하여 성층현상의 재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수온 및 DO 성층화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낙동강 중․ 하류부에 EFDC 모형을 구축하고 성층화에 민감한 주요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민감도분석을 통해 최적의 매개변수를 선택하여 성층화를 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성층교란 시나리오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有色米 蒐集種에 대한 特性 硏究 : Ⅰ. 有色米 蒐集種에 대한 植物學的 特性 Ⅰ. Botanical Characteristics for Color Rice Collected

        최현구,정재영,이희봉,정종태,김보경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00 농업과학연구 Vol.27 No.2

        유색미 27개의 국내외 수집종에 대한 식물학적 및 이삭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장은 대조구인 흑진주벼보다 대부분이 크게 나타났는데 외래종인 Denorado가 113.1cm로 가장 컸다. 분얼수, 유효분얼수에서는 대조구인 흑진주벼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Iksan #440의 유효분얼수가 18.0으로 가장 높았다. 수장에서는 Denorado가 27.3cm로 높게 나타났고 1차지경수에서는 15.2개로 Milyang #153가 가장 높은 반면에 2차지경수에서는 Iksan #428가 39.8개로 가장 많았다. 립장은 Sinucninul이10.1mm로 가장 길었고 립폭은 흑진주벼가 2.53mm로 가장 두꺼웠다. 천립중은 Denorado가 31.449으로 가장 높았고 Ou #349가 17.15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공Al계통에 대해 Suwon#432 × Heukmi #940018의 F₁이 주당 부얼수, 수장, 1000립중에서 높은 편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botanical characters for 27 color rice genetic resources collected from domestic 17 lines (including three varieties) and exotic 10 lines. We could gain the major informations from these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color rice variety. These lines showed a various variations in characters measured. Especially, Denorado introduced from Philippine was longer in culm length, panicle length and 1,000 grains weight than others. Whereas grain length and width of Sinucninul line introduced from Japan were similar to check, Heukjinjubyo. Heterosis degree for major characteristics of Suwon#432 x Heukmi#940018 combination among F_(1) hybrids superior to others in tillers per plant, panicle length and 1,000 grains weight. Therefore, these lines and their combinations were expected as color rice developing lines through progeny test in the future.

      • KCI등재

        낙동강 상류 유역에서의 유량변동에 따른 수질의 통계학적 분석

        최현구,한건연,최승용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1 환경영향평가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pollutant loading of upper Nakdong River basi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discharge. The correlation between discharge and pollutant concentration and between discharge and pollutant loading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 respectively. Regression equation of pollutant loading and discharge was represented as L = (a)Q(b) in which L = pollutant loading(kg/day), and b = regression coefficients, and Q = discharge(m3/da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study area was in range of 0.8428 to 0.9935. The SS was the highest b value 1.2856~1.7730 among water quality parameters because the pollutant loading of SS was much affected by flow. Additionally, the applicability of the regression equations was verified by comparing predicted results with observed valu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verification was in range of 0.8983 to 0.9987 and NSEC was in range of 0.7018 to 0.9960. Therefore the pollutant loading was good correlated with discharge. The main resul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design of environment fundamental facilities.

      • KCI등재

        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지하저류조 설치에 관한 연구

        최현구,한건연,이재응,조완희,Choi. Hyun Gu,Han. Kun Yeun,Yi. Jae Eung,Cho. Wan Hee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4

        도시지역에서의 내수침수에 의한 침수피해는 우수에 대한 배수시설물의 시설용량 부족, 대상지구내 저류지, 유수지 및 조정지의 부족, 배수펌프장 용량부족 등에 의한 범람으로 야기된다. 침수면적은 일반적으로 소규모이지만 도시지역의 경우 자산밀집도가 높아 단위면적당 피해밀도가 높다. 따라서 집중호우에 따른 내수배제의 불량을 고려한 침수구역의 정확한 추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대비책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7동 지역을 배수구역으로 선정하여 집중호우발생시 유출특성을 모의하고, 침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지하저류조의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지적인 돌발홍수 및 이상호우에 대한 기존 시설물의 배제능력을 검토하고 지하저류조의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10년, 20년, 50년 및 100년 빈도의 확률강우에 대한 유출해석을 실시하였고, 유출해석을 통하여 계산된 월류량에 대한 2차원 침수해석을 실시하여 최대 침수심 및 최대 침수면적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월류량이 발생하였던 100년 빈도, 지속시간 180분의 확률강우에 대하여 지하저류조 설치에 따른 유출해석을 수행하여 월류량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최적의 지하저류조 위치 및 규모를 분석하였다. The flood damage in urban area has been caused by lack of capacity of drainage facility, insufficient water retention, reservoir & regulation pond, and lack of capacity for drainage pump station etc. In general, inundation area used to be in small scale but in case of urban area, due to high density of assets, it has been experiencing high density of damage in terms of per unit area. Thus it is necessary to have accurate estimation of inundation area by taking into account poor drainage system in connection with heavy rainfall. In this study, runoff simulation during heavy rainfall was carried out in the area of Bisan drainage basin and the effect of reduction of inundation by the installation of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was analyzed as a method to reduce the damage of inundation. To examine existing drainage capacity in time of flash flood as well as abnormal heavy rainfall and to analyze mitigation effect of inundation damage upon installation of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the rainfall runoff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probable rainfall of 10, 20, 50 and 100 year frequency which exceed facility design frequency.

      • 차세대선(次世代船)의 기술 및 특허분석 현황

        최현구 한국기술사회 2001 技術士 Vol.34 No.3

        Patent Technology Map analysis of future ship type. Example ship type : Hydrofoil Craft. Air Cushion Vehicle Surface Effect Ship, Twin Hull Ship, Wing In Ground Effect Ship, Elelctrial Propulsion Ship, Icebreaking Ship, Submarine, LNG Ship Conclusion of future shipbuilding Technology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