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적 직무행동이 관계 갈등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검증 -

        최항석 ( Choi Hangsok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2

        조직의 기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혁신적인 직무행동에 대한 필요성은 항상 존재한다. 그러나 조직 내에서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한 조직구성원 개인은 조직에 도움이 되는 행동에 대해 불이익을 당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변화에 대한 저항에 관한 이론에 근거하여 혁신적 직무행동-인지적 유연성 -관계갈등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혁신적 직무행동의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10개 기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235부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직무행동은 다른 팀원들과 관계갈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혁신적 직무행동을 하는 팀 구성원은 팀 내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방해하는 팀 동료와 더 높은 수준의 관계갈등에 직면한다는 것이다. 둘째, 혁신적 직무행동과 관계갈등 간의 관계는 인지적 유연성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지 못하였다. There is always a need for innovative task behavior to maintain and enhance the organization's functions. However, individuals within the organization who adopt an innovative approach may be at a disadvantage in the behavior that is conducive to organiz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negative results of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by proposing and validating the innovative work behavior- cognitive flexibility- relationship conflict model based on the theory of resistance to change. For empirical analysis, it analyzed the results of the 235 survey of employees at 10 compan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novative work behavior by organizational members has been shown to cause conflicts with other team members. In other words, members of the team performing innovative work behavior face a higher level of conflict with their teammates on the team that is preventing innovation within the team. Second, the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task behavior and relational conflicts may vary with the degree of cognitive flexibility.

      • KCI등재

        서울ㆍ부산 지역 호텔종사자의 직장 내 괴롭힘 발생기제에 관한 연구: 직무요구- 자원 모델의 관점에서

        최항석 ( Hangsok Choi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0 지역산업연구 Vol.43 No.4

        최근 한국 기업에서 직장 내 괴롭힘이 만연해 있으며, 극도의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인 직장내 괴롭힘은 조직구성원의 행동 결과와 조직의 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요인 즉, 직무 요구-와 자원모델의 관점에서 직장 내 괴롭힘의 발생기제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 요구(역할 과부하 및 역할 모호성)와 직무 자원 (사회적 분위기 및 조직적 분위기)이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직장 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서울과 부산지역의 7 개 대형 호텔 직원 441 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 사회적 분위기(β =-. 299, p <.01)와 조직적 분위기(β =-. 520, p <.01)를 우호적으로 지각할수록 직장 내괴롭힘의 지각이 감소하였고, 역할 모호성이 커질수록 직장 내 괴롭힘을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β = .618, p <.01). 이 연구 결과는 사회적 분위기, 조직적 분위기, 역할 명확성 및 리더십 관행을 개선하는 것이 미래의 직장 폭력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임을 암시하였다. Recently, workplace bullying is prevalent in korean business organizations. workplace bullying, an extreme social stressor, has negative impact on employee' behavioral outcom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pite of seriousness of workplace bullying,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workplac bullying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namely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and workplace bullying. I propose that Job Demand (role overload and role ambiguity) and Job Resource(soci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climate) influence on employees' perceived workplace bullying. In support of previous findings, the results based on the sample of 441 employees from 7 hotel in Seoul and Pusan showed that good social climate(β=-.299, p<.01) and organizational climate(β =-.520, p<.01) decreased the workplace bullying meaningfully and role ambiguity increased the workplace bullying meaningfully(β=.618, p<.01). The findings imply that improving the social climate, organizational climate, role clarity and leadership practices would help to prevent workplace mobbing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의 교육서비스에서 교수자의 역할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무관(Jeong, Mugoan),최항석(Choi, Hangsok),이해영(Lee, Haiyoung)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6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7 No.1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has received a fair amount of attention as global issues on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Many previous studies ha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structer"s roles as the key success factors in higher education, but there are still exist controversies about the impact of instructor"s roles on learning outcomes mainly due to the selection of variables from prior studi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cturer"s roles and learning outcomes in university"s eduction, precisel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stimate the main effects of instructor"s roles as instructional design(lecture"s construct, operation, syllabus, and time) and learning promotion(instructor"s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 humor, appearance) on learning outcomes(learning competence, learning commitment). Also, we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er"s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roles and learning outcomes. Our results partially provide support for both the main effect of instructor"s roles, but not fi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e discus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