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화적 관점에 의한 칼 융(Carl G. Jung)의 감정 기능의 기원 탐색: 협동 번식 가설을 중심으로

        최태진 한국심리유형학회 2023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4 No.2

        이 연구는 본 연구자의 선행연구(최태진, 2022)가 갖는 제한점에 기초하여 후속 연구로 수행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칼 융이 제시한 네 가지 심리 기능(감각, 직관, 사고, 감정) 중 감정 기능에 초점을 두고 이를 진화적 관점에서 그 기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감정 기능의 시원(始原)으로 협동 번식 가설(cooperative breeding hypothesis)을 채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융의 심리유형에 관한 문헌을 토대로 감정 기능의 속성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감정 기능의 속성으로 공감 능력, 상대방을 이해하고 고려하는 의지, 조화로운 공존 추구, 친화와 온정을 감정 기능 네 가지를 대표적 속성으로 제한적으로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진화적 관점으로 협동 번식에 대해 다루고 있는 학제 간 연구물을 수집․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협동 번식 맥락에서 자연선택된 마음의 본성으로 간주되는 전형적인 세 가지 심리기제를 확인하였다. 세 가지 심리기제는 공감, 마음이론, 공유된 의도이었다. 이후 앞의 두 결과를 바탕으로 감정 기능의 속성(공감 능력,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고려, 조화로운 공존 추구, 친화와 온정)과 협동 번식 맥락에서 장착된 심리기제(공감, 마음이론, 공유된 의도성) 간의 접점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협동 번식이 감정 기능의 기원으로 볼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터하여 감정 기능의 기원이 우리 사회에 던져주는 함축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한계 그리고 연구의 의의를 간략히 진술하였다.

      • 酸性土養의 有害機作과 그 對策에 關한 硏究

        崔泰辰 안성산업대학교 1976 論文集 Vol.8 No.-

        1. According to the status of literature cited, the base of the farmfue factor to the erops on the acidic soil is not influenced hydrogan in directly It is just on account of the interception of the phioephate absorption by the exchangeable Al ion 2. Therefore in the Lime using on the acidic soil ammount of the lime application is better becing able to 3. According to this experiment 75% equvalent ammount of lime application to the exchangeable acidixy(Y,) could precipitate 97.8% of excbcngeable Al ion Therefore theory of this experiment is satisfied.

      • KCI등재

        컴퓨터영상의 전자밀도보정에 근거한 치료선량확인: XiO 실험

        최태진,김진희,김옥배,Choi Tae-Jin,Kim Jin-Hee,Kim Ok-Bae 한국의학물리학회 2006 의학물리 Vol.17 No.2

        본 연구는 전산치료선량계획장치에서 중첩(Superposition)법을 사용해 비균질성 조직층을 통한 교정선량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직등가물질로는 폐조직으로 콜크($\rho=0.2\;g/cc$)를, 근조직에는 n-Glucose, 골조직에는 $K2HPO4$를 사용한 시료의 전자밀도를 구하였으며, CT영상은 110 KVp와 130 KVp X선을 주사해서 얻고 CT번호(H)와 전자밀도의 함수관계를 조사하였다. 물에 대한 전자밀도비는 컴퓨터선량계획에 중요한 변수이므로 CT번호에 대응된 전자밀도비를 입력하고, 선량확인을 위해 펜텀 구성은 폴리스탈린 고체 펜텀 사이에 5.0 cm 층의 시료를 삽입하고 깊이 12.0 cm와 20.0 cm의 조직 선량을 구하여 실측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CT번호-전자밀도비는 광전효과 현상에 영향을 크게 받게 되어 원자번호가 높은 재질에서 비선형적으로 나타났으며, 130 KVp에서 근조직에는 0.001026H+1.00을, 골조직에는 0.000304H+1.07을 얻었다. 균질 근조직에서 컴퓨터선량과 실측선량을 비교한 결과 중첩법과 FFT 콘볼루션(convolution) 법에서 6, 15 MV X선 모두 1.0% 오차 범위내에 있었으며, 폐조직층 통과한 경우 중첩법은 6 MV X선에서 평균 -1.2%, 골조직에는 평균 -2.9%를 보였고, 15 MV X선에서 2.7%와 2.2%를 얻었으며, FFT콘볼루션법은 6 MV X선에서 폐조직 2.8%, 골조직 -5.0%를 보였고, 15MV X선에서는 각각 6.0%, 0.2%를 보여 중첩법에 의한 치료계획선량이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저자들은 각 임상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CT는 일정하지 않고 교정이 필요한 장비이므로, 발전된 치료계획시스템에 적용하고 있는 CT번호-전자밀도비에 대한 정기적인 확인이 필요하며, FFT 콘볼루션법에 비해 빔의 확산방향에 일치된 커널빔을 사용한 중첩법에서 오차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peformed to confirm the corrected dose In different electron density materials using the superposition/FFT convolution method in radiotherapy Planning system. The experiments of the $K_2HPO_4$ diluted solution for bone substitute, Cork for lung and n-Glucose for soft tissue are very close to effective atomic number of tissue materials. The image data acquisited from the 110 KVp and 130 KVp CT scanner (Siemes, Singo emotions). The electron density was derived from the CT number (H) and adapted to planning system (Xio, CMS) for heterogeneity correction. The heterogeneity tissue phantom used for measurement dose comparison to that of delivered computer planning system. In the results, this investigations showed the CT number is highly affected in photoelectric effect in high Z materials. The electron density in a given energy spectrum showed the relation of first order as a function of H in soft tissue and bone materials, respectively. In our experiments, the ratio of electron density as a function of H was obtained the 0.001026H+1.00 in soft tissue and 0.000304H+1.07 for bone at 130 KVp spectrum and showed 0.000274H+1.10 for bone tissue in low 110 KVp. This experiments of electron density calibrations from CT number used to decide depth and length of photon transportation. The Computed superposition and FFT convolution dose showed very close to measurements within 1.0% discrepancy in homogeneous phantom for 6 and 15 MV X rays, but it showed -5.0% large discrepancy in FFT convolution for bone tissue correction of 6 MV X rays. In this experiments, the evaluated doses showed acceptable discrepancy within -1.2% of average for lung and -2.9% for bone equivalent materials with superposition method in 6 MV X rays. However the FFT convolution method showed more a large discrepancy than superposition in the low electron density medium in 6 and 15 MV X rays. As the CT number depends on energy spectrum of X rays, it should be confirm gradient of function of CT number-electron density regularly.

      • KCI등재

        연(鉛)필터의 투과선량을 이용한 15 MV X선의 에너지스펙트럼 결정과 조직선량 비교

        최태진,김진희,김옥배,Choi, Tae-Jin,Kim, Jin-Hee,Kim, Ok-Bae 한국의학물리학회 2008 의학물리 Vol.19 No.1

        최근의 방사선 치료선량 계획시스템은 대체로 커널빔을 컨볼루션하여 조직선량을 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자선 빔에 따른 심부선량과 임의의 깊이에서 프로파일 선량을 구하기 위하여 반복적 수치해석을 통해 투과 필터에 의한 감쇠선량으로부터 에너지 스펙트럼을 구성하였다. 실험은 15 MV X선(Oncor, Siemens사)과 이온선량계 0.125 cc (PTW T31010)을 이용하여 납필터를 투과한 선량을 측정하여 이루어졌다. 15 MV X선의 에너지스펙트럼은 0.25 MeV 간격으로 납필터 0.51 cm에서 8.04 cm의 감쇠선량으로 실측치와 비교하여 구하였다. 실험 연산에서 15 MV X선의 최대유량은 3.75 MeV에서 나타났으며, 평균에너지는 4.639 MeV를 보였으며, 투과선량은 평균 0.6%의 오차인 반면에 최대오차는 납두께 5 cm에서 2.5%를 보였다. 조직선량은 에너지에 크게 의존하므로, 평탄형 필터의 중심과 Tangent 0.075와 0.125인 가장자리의 에너지를 구하였으며, 각각 4.211 MeV와 3.906 MeV로 나타났다. 심부선량과 프로파일 선량은 상업화로 공급되고 있는 선량계획시스템에 중심 선속과 가장자리의 각 에너지스펙트럼을 적용하여 구하여 실측선량률과 비교하였다. 생성된 심부선량 곡선은 조사면 $6{\times}6cm^2$에서 $30{\times}30cm^2$까지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1% 이내의 거의 일치하는 값을 얻었으며, 프로파일 곡선은 $10{\times}10cm^2$에서 1% 이내의 오차를 보였으나, $30{\times}30cm^2$와 같이 큰 조사면의 얕은 깊이에서는 2%의 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투과선량을 연산으로 구한 에너지 스펙트럼이 조직선량을 평가하는 데 상당히 적은 오차범위 내에서 정량적이고 정성적으로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cent radiotherapy dose planning system (RTPS) generally adapted the kernel beam using the convolution method for computation of tissue dose. To get a depth and profile dose in a given depth concerened a given photon beam, the energy spectrum was reconstructed from the attenuation dose of transmission of filter through iterative numerical analysis.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15 MV X rays (Oncor, Siemens) and ionization chamber (0.125 cc, PTW) for measurements of filter transmitted dose. The energy spectrum of 15MV X-rays was determined from attenuated dose of lead filter transmission from 0.51 cm to 8.04 cm with energy interval 0.25 MeV. In the results, the peak flux revealed at 3.75 MeV and mean energy of 15 MV X rays was 4.639 MeV in this experiments. The results of transmitted dose of lead filter showed within 0.6% in average but maximum 2.5% discrepancy in a 5 cm thickness of lead filter. Since the tissue dose is highly depend on the its energy, the lateral dose are delivered from the lateral spread of energy fluence through flattening filter shape as tangent 0.075 and 0.125 which showed 4.211 MeV and 3.906 MeV. In this experiments, analyzed the energy spectrum has applied to obtain the percent depth dose of RTPS (XiO, Version 4.3.1, CMS). The generated percent depth dose from $6{\times}6cm^2$ of field to $30{\times}30cm^2$ showed very close to that of experimental measurement within 1 % discrepancy in average. The computed dose profile were within 1% discrepancy to measurement in field size $10{\times}10cm$, however, the large field sizes were obtained within 2% uncertainty. The resulting algorithm produced x-ray spectrum that match both quality and quantity with small discrepancy in this experiments.

      • KCI등재

        개회로 CO<sub>2</sub>/H<sub>2</sub>O 적외선 기체 분석기 보정 인자의 변동성과 장기 플럭스 관측에 미치는 영향

        최태진,윤진일,임종환,박은우,김준,Choi, Tae-jin,Yun, Jin-I.,Lim, Jong-Hwan,Park, Eun-Woo,Kim, Joon 한국농림기상학회 200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4 No.2

        Calibration experiments were executed to document pertinent calibration methods for open-path infrared gas analyzer (OP-2) in field operations and to quantify thei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 continuous long-term flux measurements. Based on our results, we concluded: (1) flow rate of 2.0 L min$^{-1}$ can be used for calibration instead of the recommended 0.5 L min$^{-1}$ . Such faster flow rate brings the sampled air in the calibration hood at equilibrium within 5 min for $CO_2$ and 10 min for $H_2O$; (2) after reaching equilibrium, two-minute average sampling for related variables per each concentration may be sufficient; (3) use of four concentration is needed to derive the nonlinear calibration equation for water vapor with 1% uncertainty of flux measurement; and (4) the resultant calibration interval for OP-2 for both $CO_2$ and $H_2O$ is approximately one month.

      • KCI등재

        시험선원을 이용한 기준 전리함의 감도변화와 임상필드전리함의 성능 안정성 비교

        최태진 한국의학물리학회 2001 의학물리 Vol.12 No.2

        치료효과를 보증하기 위해서는 조사선량의 5% 이내의 선량오차가 방사선생물학적 의미가 높은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양치료를 위한 강내조사 선원이나 선형가속기의 고선량율의 선량 평가는 정확하고 안정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된다. 선량을 평가 교정하기 위해 전리함의 교정 인정기관의 교정상수를 유지하기 위해 선진국에서는 기하학적으로 고정된 표준선원과 전리함의 사용을 오래 전부터 권고해 왔다. 본 연구는 전리함의 감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Sr-90 시험선원을 이용한 임의의 기준 전리함의장기간 안정성이 1.00$\pm$0.01 의 오차 범위에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고선량률 원격강내조사선원인 Co-60 선원에 대한 기준전리함의 출력선량에 대한 임상측정용 전리함의 출력선량은 평균 0.997 $\pm$ 0.01의 오차범위에서 평가될 수 있었으며, 최대오차는 예상선량에 -2.5% 였다. 이 실험을 통해 반감기가 긴 시험선원을 이용하여 임상 측정용 공기전리함의 안정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t is well known that assurance of the radiation therapy needs for an accuracy of $\pm$ 5 % in the delivery of an absorbed dose to target volume. Therefore, the dose evaluation of brachytherapy source and/or linear accelerate beam must be a stability with accuracy. In an advanced country, they recommended to use the radioactive check source for reference air ionization chamber for a stable response of radiation field chamber. In this experiments, the radioactive source Sr-90 and PR-05 air ionization chamber were used for standard source and reference ion chamber. The response of reference ion chamber showed as an 1.000$\pm$ 0.010 uncertainty for 10 years long and the evaliuation f dose discrepancy of clinical field ion chamber showed as 0.997 $\pm$0.011 in a $^{60}$ Co brachytherapy soruce. In our experiments, we can assuarance the long halflife standard source is reliable to preserve the calibration factor of reference chamber in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