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트루츠 렌토르프의 유럽적 신학의 과제로서 트뢸치의 ‘유럽주의’ 연구

        최태관(Choi, Tae-Kwan)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6

        본 연구는 트루츠 렌토르프가 해명하고 있는 트뢸치의 유럽주의의 사회윤리적 의미를 살핀다. 트뢸치의 유럽주의는 유럽문화를 지탱하고 있는 유럽적 문화종교로서 기독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유럽적 문화사를 종교사적으로 재구성하고, 유럽사회를 새롭게 통합하려는 종교적 선험성의 원칙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트뢸치의 유럽주의를 비판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유럽적 신학의 새로운 플랫폼을 찾고, 사회학적 몸을 재구성 하는 렌토르프의 사회윤리에 대해서 살피고자 한다. 첫 번째, 트뢸치의 유럽주의 연구에서 렌토르프의 위치를 살핀다. 트뢸치가 직면한 역사적 상대주의의 한계에 대한 전통적인 비판에도 불구하고, 렌토르프는 현재의 유럽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하는 종교적 근거로서 유럽주의의 의미를 찾는다. 새로운 플랫폼은 인간의 자율성에 근거하는 종교적 선험의 현실성이 아니라, 신중심적인 사회학적 몸의 장소로서 유럽적 콘텍스트이다. 두 번째, 렌토르프의 사회윤리가 지향하는 유럽주의의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그는 트뢸치의 유럽주의를 사회윤리적 패러다임으로 해석하고 그 사유를 정치적 패러다임으로서 다원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신 중심적 문화이해로 재구성한다. 특히 트뢸치의 신사유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그는 문화의 토대로서 신을 극장으로 표현하면서, 신의 변화와 역동성을 유럽적 진리의 변화와 역동성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렌토르프는 삼위일체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트뢸치와 같이 종교적 선험의 관계에서 종교로 이해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현실성이 인간의 종교적 삶에서 구체화 되고, 종교적 혹은 문화적 이웃과의 소통관계에서 신적인 사랑과 정의를 구현하는 과정으로서 사회윤리를 이해한다. 또한 근대라는 시간적 공간에서 그는 우리를 위한 진리를 기독교의 진리로서 구현하고, 유럽문화에서 신의 현존을 위한 장소로서 사회윤리를 구성한다. 세 번째, 렌토르프의 사회윤리적 시각에서 트뢸치의 유럽주의의 의미를 찾아본다. 한편으로, 그는 트뢸치의 유럽주의의 공간을 인간의 자율성이 아니라, 신중심적인 문화로 확대한다. 왜냐하면 그는 트뢸치의 유럽주의가 항상 변함이 없는 고정적인 종교적 선험성의 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문화적 가치가 도래하는 문화적 콘텍스트를 열어놓았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그는 트뢸치의 유럽주의가 기독교의 역사적 전통과 현재의 새로운 종교적 가치와의 상호 텍스트적 관계와 소통을 통해서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구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렌토르프는 트뢸치의 유럽주의적 사유에서 문화종교로서 기독교의 문화적 정체성의 인식과 확대를 지향하고 있고, 다른 이웃종교와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문화종교적 정체성의 문제를 자신의 사회윤리적 구조에서 밝히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종교적 진리의 다양성의 문제는 궁극적 실재와 관계하는 진리의 상호주체적 인식—우리를 위한 신—에 대한 문제가 된다. This thesis is the study of “ Troeltsch’s Europe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Trutz Rendtorff’s social ethics. Troeltsch’s europeanism means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of religion for reconstruction of european theology in its contemporary situation. Rendtorff criticizes troeltsch’s europeanism and tries to find a new platform for european theology. For the purpose of the theological perception accepts he Troeltsch’s thoughts such as the history of religion and cultural synthesis, so that he develops the european theology as a social ethic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mbodied subject. For him, social ethics means the reality of God, which reveals the Trinity in the history of religion and in modern culture. The social ethics does not depend on human rationality but on religious culture.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Troeltsch’s europeanism for social ethics as the embodied subject. This concept is none other than an event of the intertex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historical theology of religion by Semler, Schleiermacher, and Troeltsch and of church dogmatics by k. barth. First, Troeltsch gives europeanism a new way for european political theology. With his thought of cultural synthesis interprets Rendtorff the problem of social ethics as a new paradigm of political theology based upon the notion of the absoluteness of Christianity. Here understands he the dialogue of religions as the essential problem of the european theology. He explains that his social ethics derives from hermeneutical theology and refers to the hermeneutical dogmatics and ethics. Second emphasizes he the personality and the individual identity of christianity as european cultural religion. Rendtorff regards freedom as the identity of Christians and seeks to develop faith community and religions community in european society. In this context, the “setting in life” of christian faith means a historical and modern context, in which Christians bring up their whole Christian lives. Third finds he the meaning of Troeltsch’s europeanism in the enlargement of cultural and religious identity and the multi-religious identities in european society. For the purpose of european social ethics, Rendtorff emphasizes consensus process, which consists of living together, mutual cognition, mutual understanding of dissension, and compromise in public life in european context. Finally understands he the problem of diverse religious truths as that of inter–subjectivity in european context.

      • ‘종교적 교제 공동체 형성’을 위한 칼 야스퍼스의 철학적 신앙의 의미

        최태관 ( Choi Tae-kw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종교적 교제 공동체 형성을 위한 칼 야스퍼스의 철학적 신앙의 실천적 의미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먼저 야스퍼스가 지적하는 교제 상실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 계시 신앙에 직면하여 철학적 신앙은 철저하게 종교적 타자에 대한 개방성과 종교적 보편성을 추구하면서 철학과 신학, 철학과 종교, 종교들 사이의 만남을 지향한다. 계시 신앙에 대해 야스퍼스는 신체성(Leibhaftigkeit)과 교회 중심적 배타성에 대해 비판한다. 그 비판을 토대로 종교적 타자와의 교제적인 관계 형성과 개별적 종교 신앙 사이의 공통기반에 대한 이해로서 포괄자 사유를 해명한다. 또한 포괄자 사유에 근거한 암호 해독을 통해, 자신을 개방적이며 교제적 실존으로서 인식하게 된다. 그 결과 그는 교제적 보편성의 근거로서 포괄자를 인식하게 되고, 포괄자 인식 과정을 통해 포괄자의 현실성으로서 다양한 종교 안에 나타나는 신적인 암호의 현실성을 인식한다. 암호 해독과 사랑 안에서의 논쟁을 통해 야스퍼스는 교제적 현실성으로서 암호 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 암호 공동체는 인간 이성의 교제적, 통일성에 대한 의지의 결과이다. 결국 철학적 신앙의 과제는 철학과 신학, 철학과 종교, 다양한 종교들에 대해 스스로를 폐쇄적으로 정위하는 것이 아니라, 개방성을 가지고 신학과 종교들과의 종교적 교제 공동체를 형성해야하는 과제에 이르게 된다. 또한 철학적 신앙은 종교적 신앙과 구체적으로 만나야하는 종교간 만남과 대화의 과제를 갖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종교간 만남과 그의 실천적인 교제 공동체 형성을 위한 철학적 신앙의 의미를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철학적 신앙은 타종교에 나타난 다양한 암호들과 사랑 안에서의 논쟁을 통한 교제 공동체의 형성을 그의 세계 철학의 이념으로 여겼다. 그러므로 이제 그의 철학적 신앙은 철학과 신학, 철학과 종교, 종교와 종교 사이의 만남을 촉진시키는 학문에 기여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둘째, 계시 신앙과 철학적 신앙이 철학적 근본지의 이념과 차축 시대의 이념을 공유하는 암호 공동체 형성으로 야스퍼스의 철학적 신앙의 의미는 분명해진다. 셋째, 철학과 신학, 더 나아가 종교는 철학적 신앙과의 교제적 관계를 통해 모든 종교에 존재하는 초월자의 암호와 만날 수 있고, 그 만남을 통해 차축시대를 근간으로 하는 넓은 종교간 대화를 촉진시키는 암호해독의 교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 야스퍼스의 철학적 신앙의 실천적인 의미가 있다. Dieser Aufsatz beschreibt die Bedeutung des philosophischen Glaubens bei Karl Jaspers im Blick auf die religiöse kommunikative Gemeinschaftsbildung im religiösen Pluralismus. Angesichts des Offenbarungsglaubens, der im Gefahr des Verlustes der Kommunikation im religiösen Pluralismus geraten ist, hat der philosophische Glaube Jaspers die Offenheit gegenuber den anderen Gläubigen und bezweckt die Begegnung und die Kommunikation zwischen Philosophie und Theologie, und Religion, zwischen den Religionen. Fur diese Zwecke ubt Jaspers die Kritik an der Leibhaftigkeit und Exklusivität des Offenbarungsglaubens. Mit dieser Kritik stellt Jaspers den Gedanken vom Umgreifenden und die Aufgabe der Interpretation der Chiffer in den Vordergrund. Denn Jaspers macht einen Gedanken vom Umgreifenden zur Grundlage der offenen und kommunikativen Gemeinschaftsbildung mit Gott und den religiösen anderen Menschen und versteht durch seinen Interpretationsaufgabe der Chiffer das Umgreifende als die Grund der Kommuniktion zwischen den Religionen. Hier konkretsiert sich der menschlichen Wille sowohl zur Bildung der offenen, einheitlichen Wirklichkeit Gottes im Gedanken vom Umgreifenden, als auch zur Gemeinschaftsbildung jeder Existenz mit Gott und Mitmensch in der Existenzerhellung, in der Interpretation der Chiffer Gottes in den mannigfaltigen Traditionen der Religionen und im liebenden Kampf mit den anderen Gläubigen in Kommunikation. Dabei hält Jaspers die Erhellung der Existenz, die Interpretation der Chiffer und den liebenden Kampf zwischen den Religionen fur die wichtige Wege zur Gemeinschaftsbildung der Chiffer im religiösen Pluralismus. Hier erweist sich der philosophische Glaube von Jaspers als einen Auggangspunkt zur religiösen und kommunikativen Gemeinschaftbildung, weil der Mensch aufgrund des philosophischen Glaubens ‘exklusiv’ und ‘ausschlißlich’ nicht an der anderen Religionen orientieren darf, sondern mit Offenheit um das Umgreifende als die umfassende Wirklichkeit Gottes mit den anderen Menschen kommunizieren und im leibenden Kampf mit den anderen Menschen die kommunikative Allgemeinheit des philosophischen Glaubens erreichen kann. Schließlich lautet die These dieses Aufsatzes: Im religiösen Pluralismus zeigt der philosophische Glaube uns einen möglichen Weg zum Dialog zwischen den Weltreligionen. Die praktische Bedeutung des philosophische Glaubens liegt darin, dass er einen wichtigen Beitrag zur Beförderung der Kommunikation zwischen Philosophie und Theologie, Philosophie und Religionen, Christentum und Weltreligionen, zur Gemeinschaftsbildung der Chiffer, zur Bildung der kommunikativen Allgemeinheit der individuellen Existenz in Bezug auf die Transzendenz in der Geschichte den wichtigen Beitrag leisten kann.

      • KCI등재후보

        변선환의 신중심적 비규범적 그리스도론 연구

        최태관 ( Tae Kwan Choi ) 한국조직신학회 201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28 No.-

        Dieser Aufsatz beschreibt die theozentrische und "nichtnormative" Christologie bei Sun-Hwan Pyun ist und und legt deren Bedeutung im religiosen Pluralismus dar. Die Grundthese besteht darin, dass Pyuns Christologie sowohl von der undogmatischen Hermeneutik des historischen Jesus bei Ernst Troeltsch, als auch von der theozentischen Christologie bei Paul Knitter beeinflusst ist. Ausgehend von dieser Grundthese stellt der Autor dar, wie Pyun auf den absoluten dogmatischen Wahrheitsanspruch der traditionellen Christologie verzichtet und in Bezug auf die asiatischen Christologien aufs Neue seine Christologie herausgebildet hat. Zu diesem Zweck-s o l l e n Entsprechung zu Troeltschs historischer Methode der Analogie, der Kritik und der Korrelation-die Methoden des Vergleiches, der Darstellung des Bildungsprozesses und der Kritik und der Kritik auf diesen Aufsatz angewendet werden. Der Darstellung des Bildungsprozesses der Christologie Pyuns wird dabei besonderes Gewicht beigemessen. Im Blick auf die undogmatische Hermeneutik des historischen Jesus versteht Pyun nicht mehr als den alleinigen Christus in der Geschichte, sondern stellt die mannigfaltigen Bilder Christi vor, die die asiatischen Theologen im Hinduismus, im Buddhismus und im Konfuzianismus gefunden und interpretiert zu haben meinen. Unter dem Einfluss der Entkerygmatisieung bei Fritz Buri bezeichnet Pyun das Bild des historischen Jesus als ein Symbol der moglichen Existenz des Menschen, der sich als die von Gott geschenkte Existenz versteht und sich fur die Existenz der Verantwortung entscheidet. Dabei versteht Pyun den historischen Jesus nicht mehr als den alleinigen Christus in der Geschichte, sondern stellt die mannigfaltigen Bilder Christi vor, die die asiatischen Theologen im Hinduismus, im Buddhismus und im Konfuzianismus gefunden und interpretiert haben. In der Begegnung mit den asiatischen Theologen erkennt Pyun sowohl die Aufgabe der Befreiung der "Minjung" von der Situation der politischen Unterdruckung und der Artmut, als auch die Aufgabe der Befreiung der Religion vom Aberglauben in den asiatischen Landern. Indem er den gemeinsamen Boden der Praxis fur die Befreiung des Minjung und der Religion im Dialog mit den asiatischen Theologen bildet, will er wie Knitter die Offenbaung Christi als die Endgultigkeit Christi herausarbeiten. Das ist das Ergebnis der undogmatischen Hermeneutik des historischen Jesus bei Troeltsch und das Ergebnis der Praxis der Befreiung bei Knitter. Nach Pyun vollendet sich die Endgultigkeit Christi im Christentum in der Praxis der Befreiung. Hier erweist sich seine theozentrische und nichtnormative Christologie als einen Ausgangspunkt zum religiosen Dialog fur die Befreiung des "Minjung" und der Religion und als ein Ziel der Kooperation der Religionen im Pluralismus. Die so fomulierte These soll die Behauptung stutzen, dass Pyuns theozentrische und nichtnormative Christologie sowohl zur Bildung der Gemeinschaft der Verantwortung zum Humanismus, als auch zur koreanischen selbstandigen Theologie einen wichtigen Beitrag leisten kann. Aber Pyuns theozentrische und unnormative Christologie losst sich auch kritisieren. Denn Pyun beansprucht noch die Endgultigkeit Christi gegen die asiatischen Religionen. Dabei ist Troeltschs Position ein Vorbild fur die theozentrische Position der Christologie, da Troeltsch Jesus Christus nicht mehr als ein absolutes, normatives Bild der Offenbarung Uber die anderen Weltreligionen, sondern als den Gegenstand des christlichen Glaubens im Christentum versteht. Deshalb ist das Bild Jesu Christi nicht in den andern anderen Weltreligionen goltig, sondern nur im christlichen Glauben. Dabei ist es zu vermuten, dass Pyun einen Dialog mit den Kirchengemeinden zu fuhren versuchte, um auf diese Weise die Bedeutung der Theologie der Religion und der Befreiung in der koreanischen Situation des religiosen Pluralismus bekannt zu machen.

      • 초대그리스도교의 종교성에 나타난 ‘역사적인 것’의 의미 - 하이데거의 종교적 삶의 현상학적 해명 -

        최태관 ( Choi Tae-kw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4 존재론 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종교적 삶의 현상학’에 나타난 ‘역사적인 것’의 현상학적 해명과 이해에 대해서 살펴본다. 현사실적 삶의 경험에서 출발하는 그의 현상학적 방법은 ‘태도선취’에서 비롯된 전통형이상학의 인식론에 대한 비판이면서, 현실적 대안으로서 ‘형식적 고지’ 방법을 취한다. 형식적 고지에서 드러난 현사실적 삶의 근거로서 ‘내용’, ‘연관’, ‘실행’의 상호관계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시간성에 대한 종교적 의미를 드러냈다. 현존재의 시간성은 존재근거로서 신 앞에 선 인간의 본래적 현실성에 대한 직관에서 구체화된다. 하이데거는 그의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 인간 현존재의 종교적 삶의 차원을 분명히 드러낸다. 트뢸치의 종교사적 인식과의 비교과정에서 드러난 하이데거의 현존재의 역사성에 대한 인식은 역사적 대상을 본질의 ‘개념사’로 환원하려는 역사철학적 인식론에 저항하는 그의 철학의 ‘독특성’과 ‘유의미성’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첫 번째, 바울의 선포에서 드러난 ‘된 것’에 대한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면서, 데살로니가 교인이 됨, 신과의 존재연관에서 드러난 연관의미로서 ‘새롭게 됨’, 실행의미로서 ‘믿음’의 현상을 인식한다. 이 세 가지 현상에는 우상숭배로 인해 신과 멀어져 있던 데살로니가 교인이 ‘섬김’과 ‘받아들임’을 이해하게 된 신과의 본래적 관계 회복이 함축되어있다. 두 번째, 현상학적 분석에서 하이데거는 유럽의 종교사에서 드러난 서구형이상학이 직면하고 있는 사변적 신학의 비본래성을 비판한다. 또한 ‘파루시아’의 경험에서 그는 일상의 비본래적 삶에 얽매인 채일시적 안정성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비본래성을 드러낸다. 세 번째, 인간의 실존적 비본래성을 극복하기 위해 그는 그리스도인의 현사실적 삶에서 선포를 받아들이고, 하나님을 섬기고 결단하는 실행연관에서 비롯된 신앞에서 서 있는 인간의 현존재 이해를 감행한다. 따라서 하이데거는 신과의 관계에서 ‘성령’을 수용하면서 얻게 된 신의 지식과의 실행연관에서 비롯된 ‘시원의 완성’으로서 ‘그리스도의 현실성’에서 초대그리스도교적 종교의 근원성을 인지하게 된다. 결국 인간의 되어감은 인간의 유한성이 빚은 시간성의 위기를 극복해가면서 구체적인 실행연관, 즉 신앙을 통해 신의 영원성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마지막으로, 트뢸치의 종교사신학에서 비롯된 문화사적 자기이해와 구분되는 특징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성이 아닌’ 영적현실성으로서 철학적 자기이해의 근간을 삼고 역사적인 것의 종교적 의미를 본래적인 종교적 삶의 재현에서 찾았다는 사실이다. 본래적인 종교적 삶을 재현을 재현하면서 하이데거는 존재사건을 은폐하고 존재를 망각하며, 현존재의 시간성을 이해하지 못한 서구 형이상학에 기반을 둔 종교사신학에 대해 저항한다. 실제로 하이데거의 저항은 종교사의 해체로 나타난다. 하지만 하이데거의 종교사 해체는 근본적으로 의미의 파괴가 아닌, 초대그리스도교적 종교성에 나타난 유의미성의 회복을 의미한다. 그의 종교사 해체작업은 현대적 의미의 종교사 신학에 대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준다. Dieser Aufsatz behandelt Heideggers phänomenologische Explikation des Historischen und Seinverständnis. Durch Seine phänomenologischen Methode, die von der faktischen Lebenserfahrung ausgeht, kritisiert Heidegger an den erkenntnistheoretischen Philosophen, die mit der Kenntisnahme das Historischen begreift. Er stellt die formale Anzeige in den Vordergrund, weil er die Bedeutung des menschlichen Daseins als seine Zeitlichkeit versteht, die auf den Gehalt als den Grund des Seins, den Bezug, Vollzug aus dem faktischen Leben bezieht. Im Vergleich mit der historischen Methode von Troeltsch enthullt Heidegger die Wirklichkeit des Daseins als die Zeitlichkeit. Die Zeitlichkeit bedeutet das “Gewordensein”, das “neue Werden”, den “Vollzugszusammenhang” als Glauben. Aus der phänomenologischen Explikation des ersten und zweiten Briefs an die Thessaloniker betont Heidegger die Eigentlichkeit des menschlichen Daseins. Erstens liegt in der Situation des Menschen, der zwar sich von Gott entfernt, aber zu Gott hinwendet und sein Wort annimmt. Zweitens, nimmt Heidegger die Uneigentlichkeit des menschlichen Daseins wahr, das in Alltäglichkeit als das Mann lebt. Deshalb nimmt Heidegger in seiner faktichen Lebenserfahrung die Verkundigung von Paulus an, wendet zu Gott hin, versteht sich als Dasein im Vollzugszusammenhang. Heidegger versucht die Bedeutung des Historischen in der Repräsentation des religiösen Lebens zu verstehen. Aus diesem Grund versucht Heidegger die Religionsgeschichte zu dekonstruieren. Aber Dekonstruktion der Religionsgeschichte bedeutet nicht die Vernichtung des Sinnes des Historischen, sondern das Verstehen der Ursrunglichkeit des Sinnes des Historischen.

      • KCI등재

        종교신학의 관점에서 본 틸리히의 존재의 힘으로서 ‘신의 창조성’ 이해

        최태관(Tae-Kwan Choi)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89 No.-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Tillich’s divine crea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igionstheology. This paper aims to recognize the ‘creation of God’ and ‘divine creativity’ in Tillich’s systematic theology as an important foundation of his Religionstheology. First, this study is to examine divine creativity as the power of being that emerges from Tillich’s ultimate concern. This creativity of Tillich is the power of being that causes self-understanding and self-transformation. Second,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reation of God as a basis for interreligious dialogue. Because God’s creation is a religious symbol that signifies the inter-subjectivity of religions. Third, this paper explains the three dimensions of divine creativity, divine life, and divine love manifested in God’s creation. Fourth, thesis tries to examine New-Being as the historical basis of self-criticism and self-transformation of individual religions. New-Being is a transformative power of being that overcomes the divisiveness of the essence and existence. In Conclusion, this paper defines ‘love of God’ as a creative manifestation of divine creativity. Tillich’s love of God is a common place of religion that has been revealed to be divine. Therefore, this paper explains the ultimate power of individual religions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ir own religious experiences and exclusiveness to other religions and to bring them to the convergence point of history as divine creativity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Tillich’s divine crea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igionstheology. This paper aims to recognize the ‘creation of God’ and ‘divine creativity’ in Tillich’s systematic theology as an important foundation of his Religionstheology. First, this study is to examine divine creativity as the power of being that emerges from Tillich’s ultimate concern. This creativity of Tillich is the power of being that causes self-understanding and self-transformation. Second,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reation of God as a basis for interreligious dialogue. Because God’s creation is a religious symbol that signifies the inter-subjectivity of religions. Third, this paper explains the three dimensions of divine creativity, divine life, and divine love manifested in God’s creation. Fourth, thesis tries to examine New-Being as the historical basis of self-criticism and self-transformation of individual religions. New-Being is a transformative power of being that overcomes the divisiveness of the essence and existence. In Conclusion, this paper defines ‘love of God’ as a creative manifestation of divine creativity. Tillich’s love of God is a common place of religion that has been revealed to be divine. Therefore, this paper explains the ultimate power of individual religions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ir own religious experiences and exclusiveness to other religions and to bring them to the convergence point of history as divine creativity

      • 다종교 상황에서 본 트뢸치의 문화통합의 현재적 의미

        최태관 ( Choi Tae-kwa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존재론 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한국의 다종교 상황에서 ‘문화적’ 혹은 ‘사회적’ 통합을 지향하는 종교간 만남과 종교적 실천에 대한 구체적 과제와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그 과제를 위해서 독일의 문화철학자 에른스트 트뢸치의 “문화통합”1)을 연구했다. 그의 “문화통합”은 ‘유럽적 종교사’를 기반으로 하고, 유럽적 ‘문화종교’를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문화가치를 통합적으로 인식하고 구성하는 학문적 시도이다. 또한 교회중심적인 문화구성원리를 비판하면서, “우리존재” (Unser eigenes Dasein)<sup>2)</sup>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의미의 윤리적인 문화가치의 통합을 지향한다. 한편으로, ‘유럽적 문화사’는 유럽인들 사이에 공유된 역사적 현실성으로서 종교적 “우리존재”의 발현과정에 대한 인식의 결과이다. 다른 한편으로, 트뢸치의 ‘문화통합’은 종교의 사회학적 본질로서 “우리존재”의 구체적 현실성으로서 나타난다. “우리존재”에 대한 트뢸치의 인식은 다른 문화에 존재하는 ‘문화종교’에 대한 인정과 동시에 유럽 안에 존재하는 ‘이웃종교’와의 타협과 공존의 방법을 모색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트뢸치의 이웃종교에 대한 인정, 타협과 공존의 모색이 한국적인 다종교 상황에서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 먼저 한국적 신학은 ‘한국적’이라는 표현 안에 다양한 종교적 가치를 함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편으로, 서구적 기독교와 구분되는 한국적 기독교의 정체성을 인식하면서, 동시에 한국 전통종교와의 관계에서 ‘한국적 종교사’를 기반으로 하는 ‘우리존재’의 현실성에 대한 인식을 한국의 종교적인 정체성 인식의 과제로서 제시한다. 다른 한편으로, 트뢸치의 “문화통합”은 한국의 다종교적 상황에서 개별적인 종교들이 배타적인 자기중심적 태도에서 벗어나 종교적인 교제적 관계에서 서로를 인정하고 때로는 공존하고 타협하면서 연대를 추구하는 실천적 과제를 제시한다. 더 나아가 우리는 그의 “문화통합”에서 한국교회와 유럽교회의 만남과 교제를 문화신학의 핵심적인 과제로 인식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Ernst Troeltsch’s cultural synthesis for the meaning of religionstheology. His central thesis is that the European religious history implies religious and cultural identity of European and the European with this identity constitute various religious communities. First, with concept of religious history as the principle of cultural synthesis tries Troeltsch to constitute whole history of european culture and to recognize a synthetic religiousness of christianity in european culture. Indeed, his synthetic religiousness is christian, but today in the pluralistic culture ist to constitute as pluralistic religiousness of various religions in european culture and in other culture. For the purpose of constitution of pluralistic religiousness emphasizes Troeltsch not only the recognition of religious identity of christianity, but also the acknowledgement of other religions and their Truth. Second, Troeltsch regards the basis of european religious history as ‘our Being’. The Concept of ‘our Being’ by Troeltsch is not only the reality of our synthetic religiousness, but also the reality of solidarity of religions people in the european culture. With the Concept of ‘our Being’ develops Troeltsch the european Theology. According to Troeltsch, European Theology can be regarded as the Cultural Theology of Europe by many theologian. Third, European Theology has not a exclusive attitude against the other religions, but try to compromise und associate with other religions for social solidarity und cooperation. Troeltsch maintains that, the christian and the people of other religions must acknowledge difference between the christian truth and the other religions, and this is the realization of the social essence of religions. Finally, Troeltsch’s cultural Synthesis, european religious History and european Theology show us, that asian culture and korean culture have the same work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religious History and their cultural Theology.

      • KCI등재

        종교사적 시각에서 본 신의 “자기묘사”로서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의 감정이해

        최태관 ( Tae Kwan Choi ) 한국해석학회 2014 해석학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신의 자기묘사의 관점에서 교회공동체가 지닌 종교적 실정성의 표현으로서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의 감정’을 살펴본다. 신의 자기묘사는 인간과 세계와 관계하는 신이 그의 종교사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경륜적 행위를 의미하는데,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의 감정은 신의 경륜적 행위가 드러나는 종교적 장소이다. 그 감정은 역사적 예수의 직관에서 근원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예수가 선포한 구원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에게 확장된다. 그 때 슐라이어마허는 우리존재의 현실성을 성서적 텍스트와 역사적이고 교의학적인 텍스트의 상호관계에서 형성된 ‘경건성’으로 이해한다. 경건성이란 우리의 현존재의식에 드러난 공동체적 종교성의 실증적 표현이 된다. 한편으로, 절대의존의 감정은 우리가 나사렛 예수의 직관을 역사적 사건으로 설명하고, 그의 우주에 대한 직관을 우리의 실존적 삶에서 재현하고, 교의학적 진술과의 관계에서 기독교적 삶의 실정성을 표현하는 우리존재의 사건이다. 그 종교의 실정성은 상호인정과 소통을 통해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종교적 신앙은 더 이상 개인적인 종교경험에 배타적으로 스스로를 가두는 신비체험이나 종교적 배타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신이 묘사하는 현실성과 관계하면서 이해의 지평을 넓혀가고, 다른 종교적 개인과의 상호관계에서 종교적 실정성을 확보하는 해석학적 공동체의 형성에 있다. 또한 슐라이어마허가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말하는 교회를 우리는 더 이상 제도권적 교회의 제한적 의미에서 이해할 수 없고, 다양한 교제공동체의 도래가능성을 함축한다. 슐라이어마허의 의미 공동체로서 공동체성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이 지향해야하는 의미가능성이다. 더 나아가 그의 공동체성은 다양한 종교적 전통에서 다차원적인 종교적 정체성과 공동체성으로서 우리존재에 대한 인식의 근본토대가 된다. 이제 종교간 해석학적 만남은 신의 자기묘사가 드러나는 지평확장을 의미하면서, 동시에 모든 종교인이 그 만남을 종교적 교제의 장으로 인지할 수 있는 대화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 또한 신의 자기묘사는 다양한 문화구조에서 그의 종교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슐라이어마허의 절대의존의 감정이해는 신의 부재적 상황에서 인간실존의 근원으로서 신의 현존사건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데에 있다. 또한 그 이해는 전통형이상학이 은폐해왔던 관계 안의 존재로서 신이 세계 안에서 자신의 현실성을 드러냄을 강조하는 데에 있다. Dieser Aufsatz beschreibt das Problem der Selbstdarstellung Gottes bei Schleiermacher, wobei sich unser Sein als das fromme Selbstbewusstsein und die Kirche als die Gemeinschaft der Frommigkeit zum Ausdruck bringt. Als sich Gott als Sein-in-Beziehung darstellt, erweitert Schleiermacher das Selbstbewusstsein des Unendlichen bis zum gemeinschaftlichen Selbstbewusstsein. Dabei versteht er die Wirklichkeit unseres Seins im Verhaltnis zwischen den biblischen Texten und den historischen und dogmatischen Texten als die Frommigkeit. Unser Sein versteht sich als die soziale und religiose Kraft, wobei sich Gott in Religionsgeschichte und in Gegenwart als "Sein in Beziehung" darstellt. Schleiermacher erkennt in der Anschauung Jesu von Nazareth die unsprugliche Selbstdarstellung Gottes als die Positivitat des Christentums und verwirklicht diese Positivitat als die Frommigkeit im Bewusstsein unseres Daseins. Das schlechthinige Abhangigkeitsgefuhl bedeutet ein Ort der Selbstdarstellung Gottes und der Kommunikation mit dem Menschen in Gegenwart. Auf der einen Seite ist das Abhangigkeitsgefuhl ein Ereignis unseres Seins, das wir die Anschauung Jesu von Nazareth als geschichtliches Ereignis erklart und reprasentiert und im Zusammenhang mit den dogmatischen Aussagen die Positivitat des christlichen Lebens bildet. Die Positivitat der Religion last sich durch die mutuale Anerkennung und Kommunikation verwirklichen. Aus diesem Grund besteht der religiose Glaube nicht mehr in der mystischen Erlebnis, womit sich ein Individuum exklusiv bedeckt, sondern auch in der Bildung der offenen hemeneutischen Gemeinschaft, wobei man sich auf die Selbststdarstellung Gottes bezieht und den Horizont des Verstandnis erweitert. Denn ein religioser Mensch druckt im Zusammenhang mit einem anderen Individuum die Positivitat der Religion aus. Auf der anderen Seite ist das Abhangigkeitsgefuhl ein Ereignis der Sein-in-Kommunikation, wobei man an der Abwesenheit der Positivitat der Religion kritisiert und sich auf die Erneuerung der Kirche richtet. Dabei handelt es sich um die Erkenntnis der Positivitat der Religion, wobei ein Mensch nicht mehr Uberlegenheit der eigenen Religion an den anderen Religionen in Anspruch nimmt, sondern die konkrete Gemeinschaft mit den anderen Religionen bildet. Zum Schluss ergibt es sich, dass Schleiermacher durch das Abhangigkeitsgefuhl die Anwesenheit Gottes als seine Selbstdarstellung zeigt und Sein-in Beziehung als die Wirklichkeit Gottes in der Welt betont. Sein Abhangigkeitsgefuhl ist ein historischer und religioser Grund, weshalb wir uns mit der hermeneutischen Begegnung zwischen den Religionen beschaftigen und die Selbstdarstellung Gottes in einer Kultur als ein Ereignis des Seins-in Kommunikation, d. h. unser Sein versteht.

      • KCI등재

        트루츠 렌토르프의 사회윤리의 근거로서 ‘교회성’에 대한 연구

        최태관(Tae-Kwan Choi)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4 No.-

        This thesis is the study of “kirchlichkeit” as the basis of social ethics by Trutz Rendtorff in the situation of european culture. “Kirchlichkeit” means the reality of god, which god as trinity reveals in the history of religions and in modern culture. Kirchlichkeit is the religious normativity of european culture. This concept is a event of intertextual understanding of religious and historical theology by semler, schleiermacher und of church dogmatics by k. barth. With this concept explains he, that his social ethics comes from hermeneutical theology and refers to the hermeneutical dogmatics and ethics. He tries to explain practical “kirchlichkeit”. What is practical “kirchlichkeit”? First, he regards “Kirchlichkeit” as identity. Man expresses with freedom identity and develops faith community. “Setting in Life” of christian faith is a historical and modern kontext, where church and theology the whole life of christian form. Rendtorff regards interpretation of “Setting in Life” of religious life the task of theology. Second, he defines “Kirchlichkeit” as individuality of christian faith in the european religious history and european culture. Theology is hermeneutics as localization in relation to churches dogmatics by karl barth. Here is church a room, where Gott appears as trinity. The subject of church is not mensch, but god. If god appears in the church, understands christian god as the basis of identity of christian faith. Church is a dogmatic form of freedom in society. Third is “Kirchlichkeit” the basis of social ethics. Because social ethics makes religious society with various forms to social body. It is a matter of political theology. Trutz Rendtorff emphasizes living together, mutual cognition, compromise, dissent care in public life, in order to reach consensus. Rendtorff emphasizes the interpretation of religious text and traditions and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This is a meaning of social ethics as perform of life. Finally has social ethics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Kirchlichkeit as task of korean theology.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ea must develops the korean theology the method of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for social responsibility. This thesis is the study of “kirchlichkeit” as the basis of social ethics by Trutz Rendtorff in the situation of european culture. “Kirchlichkeit” means the reality of god, which god as trinity reveals in the history of religions and in modern culture. Kirchlichkeit is the religious normativity of european culture. This concept is a event of intertextual understanding of religious and historical theology by semler, schleiermacher und of church dogmatics by k. barth. With this concept explains he, that his social ethics comes from hermeneutical theology and refers to the hermeneutical dogmatics and ethics. He tries to explain practical “kirchlichkeit”. What is practical “kirchlichkeit”? First, he regards “Kirchlichkeit” as identity. Man expresses with freedom identity and develops faith community. “Setting in Life” of christian faith is a historical and modern kontext, where church and theology the whole life of christian form. Rendtorff regards interpretation of “Setting in Life” of religious life the task of theology. Second, he defines “Kirchlichkeit” as individuality of christian faith in the european religious history and european culture. Theology is hermeneutics as localization in relation to churches dogmatics by karl barth. Here is church a room, where Gott appears as trinity. The subject of church is not mensch, but god. If god appears in the church, understands christian god as the basis of identity of christian faith. Church is a dogmatic form of freedom in society. Third is “Kirchlichkeit” the basis of social ethics. Because social ethics makes religious society with various forms to social body. It is a matter of political theology. Trutz Rendtorff emphasizes living together, mutual cognition, compromise, dissent care in public life, in order to reach consensus. Rendtorff emphasizes the interpretation of religious text and traditions and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This is a meaning of social ethics as perform of life. Finally has social ethics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Kirchlichkeit as task of korean theology.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ea must develops the korean theology the method of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for social responsibility.

      • KCI등재
      • J. 몰트만과 W. 판넨베르크에게서 나타나는 하나님 자유로서 메시아적 교회론의 종말론적 의미

        최태관(Tae-Kwan Choi)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본 논문은 몰트만과 판넨베르크의 하나님 백성으로서 메시아적 교회론을 비교하고, 그의 종말론적 의미를 해명한다. 바르트의 삼위일체론에서 시작된 하나님 자유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들은 하나님 미래의 시각에서 메시아적 교회론을 새롭게 전개한다. 종말론적 관점에서 해명될 메시아적 교회론은 세계를 억압하는 정치 권력과 자본 권력에 대한 교회의 저항과 동시에 타자에 대한 돌봄과 헌신을 강조한다. 그 교회론을 위해서 몰트만과 판넨베르크는 바르트가 주장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활동성으로서 자기 전달을 ‘자기 제한’과 ‘자기 구분’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창조론의 시각에서 역사적이고 현재적인 교회가 지닌 메시아적 잠정성을 드러낸다. 메시아적 잠정성은 역사적이고 현재적 교회가 임박한 하나님 나라의 도래라는 종말론적 미래를 지시하고, 하나님의 활동성을 바탕으로 다른 교회들과의 일치를 이룸으로써 하나님의 종말론적 통치를 앞당기는 힘을 뜻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의 맥락에서 형성된 바르트의 하나님 백성으로서 교회의 종말론적 의미와 그의 중심개념으로서 하나님 자유를 고찰한다. 하나님 자유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창조행위에서 시작되고, 역사적이고 현재적 교회에서 가시화되는 하나님의 활동성이다. 둘째, 본 논문은 몰트만과 판넨베르크의 메시아적 교회론에서 가시화된 하나님의 구체적인 활동성-자기 제한과 자기 구분-을 해명한다. 셋째, 하나님 자유의 종말론적 실현으로서 메시아적 교회의 종교적이고 신학적 의미를 해명하려고 한다. 현재 교회의 메시아성은 교회의 공적 활동과 교회 안에서의 성만찬의 반복을 통해 가시화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활동성을 지시하고 있고, 복음화와 세계해방을 현실화되고 있음을 밝힌다. 지속되는 세계창조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활동은 세계에 대한 그의 사랑과 국가 공동체안에서 정의를 성취한다. 마지막으로 몰트만과 판넨베르크의 메시아적 교회론의 차이를 해명한다. 그 차이는 하나님 미래가 ‘창조적 안식’이나 혹은 하나님의 종말론적 통치, 즉 ‘궁극적 일치’를 지향하는가에 있다. 하나님 창조행위를 바라보는 두 사람의 신앙의 차이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하나님 창조에서 가시화된 메시아적 교회를 바라보는 것은 현재적 교회가 자신에게 내재된 메시아적 잠정성을 인정하고 철저하게 하나님의 자기 활동성으로 자신의 신학적 방향을 전환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코로나19의 시대를 직면하여 교회는 지금까지 갇혀있는 교회중심주의의 한계를 넘어 하나님의 창조에 동참하는 책임적이고 공적 공동체로 거듭나야함을 주장한다. This paper compares and studies the Messianic ecclesiology of Moltmann and Pannenberg as the people of God. Based on Barth"s perception of God"s freedom, which began with the Trinitarianism, they newly understand the messianic church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future. The Messianic ecclesiology, which will be elucidated from God"s eschatological point of view, aims for the church"s service for the oppressed world and the church for others. For that ecclesiology, Moltmann and Pannenberg interpret self-transmission as the activity of the triune God, which Bart argues, from the perspective of"self-limiting" and"self-organization", and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ism, reveal the potential of the historic and present church. Therefore, the Messianic church has an open nature of the essence that the historic and present church is the eschatological achievement of the kingdom of God, and it is based on God"s activity rather than its own will, and through the unity with other churches, The eschatological reign of Therefore, this thesis reveals the eschatological meaning of the church as Barth"s people of God formed in the context of God"s self-revelation and the concept of God"s freedom as its center. God"s freedom begins with the creative act of the triune God and becomes visible in the historical and present church. Second, by elucidating the problem of the acceptance of the Messianic Church as the people of Moltmann and Pannenberg as the people of God, he tries to reveal that the center of ecclesiology is no longer human but the triune God. third. As an eschatological realization of God"s freedom, we try to clarify the religious and theological meaning of the messianic church. The current messianic reality of the church indicates the activity of the Triune God, which is visible through the public activity of the church and the repetition of the Holy Communion within the church, and also reveals that evangelization and liberation of the world are realizing in relation to this activity. In the lasting creation of the world, the work of the Triune God achieves his love for the world and justice within the national community. Finally, the difference between Maltmann"s and Pannenberg"s Messianic ecclesiology is elucidated. The difference is whether God"s future is aimed at creative rest or God"s eschatological rule, that is, ultimate unity. It is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liefs of the two who look at the creation of God. In the end, looking at the Messianic church based on God"s creation theory shows that the theology must change its direction as God"s self-activities thoroughly acknowledge the potentiality of the present church. In the face of the era of Corona 19, the church mus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hurch-centeredism that have been confined until now, and be reborn as a responsible and public community that participates in God"s cr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