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몬드 첨가 설기떡의 저장성 및 노화 특성

        백승연(Seung Yeon Baek),최창업(Chang Up Choi),김미리(Mee R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6

        본 연구는 불포화 지방산과 단백질, 식이섬유가 풍부한 아몬드를 첨가하여 설기떡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아몬드를 6%, 12%, 15% 첨가한 설기떡을 제조하였다. 제조 당일에 실험군들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저장일수가 증가했을 때 대조군은 수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15% 첨가군의 수분 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아몬드 15%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며, 제조당일에 비해 저장 3일 차에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색도 중 L값은 아몬드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졌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P<0.05). 저장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색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경도, 검성, 씹힘성은 아몬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했으며, 저장일수에 따라 모든 군에서 경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탄력성은 저장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P<0.05). 응집성은 제조 당일에는 아몬드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나 저장 3일 차에는 대조군이 가장 낮았다(P<0.05). 회복력은 아몬드 첨가량이 높을수록 낮아졌으나 저장 3일 차에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제조 당일 호화개시온도는 아몬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엔탈피 변화량은 낮아졌으며(P<0.05), 저장 3일 후에는 모든 군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엔탈피 변화량이 증가하였다. 강도 검사의 항목 중 색은 아몬드 12%와 15%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아몬드 향은 15%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아몬드 맛에서는 12%와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단맛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짠맛은 대조군에서 가장 낮았다(P<0.05). 경도와 씹힘성은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촉촉한 정도는 아몬드 12%와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조밀성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기호도 검사에서 외관, 향은 아몬드 12%와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맛은 15% 첨가군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12% 첨가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조직감은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아몬드 12% 및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아몬드 12% 및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매의향은 15% 아몬드 첨가군에 비해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설기떡에 아몬드를 첨가하면 저장 중 수분 손실과 조직감이 단단해지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노화를 지연시켜 저장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lmonds on the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rice cake. Sulgidduk was added with almond powder (6, 12, and 15%) and stored for 3 days at 20°C. Moisture contents of rice cakes 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s storage time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trol decreased. However, the reduction range in moisture content of almond powder-added Sulgidduk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almond powder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Soluble solid contents (°Brix) of Sulgidduk added with 15% almond powder was the lowest. As the amount of almond powder increased, the L value decreased, whereas the a and b values of Sulgidduk increased in the Hunter color system. During storage, the L, a, and b values of Sulgidduk decreased. Textural properties by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showed that hardness of almond powder-added Sulgidduk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3 days. Then the hardness of Sulgidduk added with 15% almond powder showed the lowest valu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howed that the enthalpy of Sulgidduk containing almond powder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lmond powder increased. In the sensory preference test, Sulgidduk with 15% almond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almost characteristics. From this result, addition of almond powder to rice cake improves storage quality by delaying retrogradation.

      • KCI등재

        고려엉겅퀴 에탄올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의 항염효능과 정상 및 ovalbumin 감작 Balb/c에서 혈청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효능

        김지은(Kim, Ji Eun),최창업(Choi, Chang Up),이선영(Ly, Sun Yung) 한국생활과학회 2017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6 No.6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irsium setidens ethanol extract on raw 264.7 cells and effect on serum immunoglobulins in normal and ovalbumin-sensitized Balb/c mouse. In animal experiments, the Balb/c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to five groups, which may or may not be ovalbumin-sensitized. Mice were administered AIN-93G basal diet (for control groups, NC or SC) or AIN-93G diet mixed with 2.5%(G-2.5), 5%(G-5), and 10%(G-10) Cirsium setidens extracts (treated groups) for 7 weeks. The serum IgE and IgG1 levels and the degree of oxidative DNA damage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 release from raw cell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the Cirsium setidens ethanol extract, whereas the levels of TNF-α and IL-1β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500 and 250 μg/mL, respectively. In non-sensitized animal experiments, the serum IgE concent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s was dose-depende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 tail length and moment resulting from DNA fragmentation of blood white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in G-5 and G-10 groups. In the OVA-sensitized animal experiment, the serum OVA-specific Ig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s fed with Cirsium setidens extract. The tail DNA and tail moment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decreased compared with the SC group. Cirsium setidens is a vegetable with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ing properties, which warrant additional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