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적 위치정보 기록을 위한 지오코딩 방안 연구

        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1

        The record of the ruins excavation area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Geocoding method is needed to map the address of an archaeological site. In this study, a method to geocode relic data was proposed. Since the excavation address is local data, it is effective to use the parcel-based address rather than the road name address. Therefore, I proposed a method to convert the address to the parcel based address and to extract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center ofthe parcel. I also proposed a method of extracting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entire area after integrating the parcels when they are spread over several lots. Also, since the archaeological data can be stored in various coordinate system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ordinate system and the parameters of the representative coordinate systems used in Korea are clarified.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geometry errors by checking the geocoding method for converting the address to the coordinates in the relic data constru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ordinate system for integrating the diverse archaeological data. 유적 발굴지역에 대한 기록은 위치에 대한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주소를 지도화하기 위해서는 지오코딩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적 데이터를 지오코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발굴 주소는 지역 데이터이므로 도로명주소보다는 지번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주소를 지번주소로 변환하고 해당 지번의 필지에서 중심 경위도 좌표 및 TM 좌표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러 지번에 걸쳐 있는 경우 필지를 통합한 후 전체지역의 중심 좌표를 추출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또한 유적자료는 다양한 좌표계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 좌표계들에 대해 좌표계별 매개변수와 좌표계간의 차이를 명확히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적 데이터 구축에 있어서 주소를 좌표로 변환하는 지오코딩 방법과 다양하게 구축된 유적 데이터 통합을 위해 좌표계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좌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Management Process for National GIS Project in the U.S.

        최진무,김보라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4

        This paper provided information on the National GIS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ir GIS project management process in the U.S. Eight Bureaus in the Department of Interior (DOI) were investigated as the Federal agencies related to national level GIS project including NPS, BIA, USFW, BLM, OSMRE, MMS, USGS, and BR. Among these agencies, NPS, BLM, and USGS were most actively using spatial data and launching national level GIS. Also, NOAA and Census Bureau were other agencies that produce spatial data. Especially, almost all academic projects were performed by USGS. To conduct GIS projects, in-house projects requires user requirement analysis, developing requirements, determining products and services, system design, system design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and out-sourcing project requires user requirement analysis, project design, developing the procurement document, receiving bids, evaluating bids, and bid selection and testing. Since most of national level projects are centered on data collection, these standardized processes can remove data redundancy and overlapping investm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gives guidelines for building standardized process for national GIS project management in Korea.

      • KCI등재후보

        Accuracy improvement of land use cover data classified by supervised fuzzy method

        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04 국토지리학회지 Vol.38 No.1

        In remotely sensed images, a pixel may contain mixed land use/covers because of spatial resolution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Fuzzy classification can be used to classify land use/cover because the fuzzy theory can help interpret a mixed pixel. This paper describes a way to improve the accuracy of land use/cover classification in supervised fuzzy classification. Supervised fuzzy classification is performed on Landsat ETM plus data. ISODATA classification is used only for the training data to derive fuzzy initial membership. Conditional overlay operation is used to reduce the confusions which occur when two or more different land use/cover categories have very similar spectral characteristics. Modal filtering is used to reduce the boundary errors which occur at class boundaries due to the occurrence of spectral mixing within a pixel. Both overlay operation and modal filtering improve the accuracy of classified data. The result of supervised fuzzy classification is compared to that of a conventional supervised classification using maximum likelihood classifier. Supervised fuzzy classification may be better in complex area such as residential areas or areas with water boundary although the overall accuracy and Kappa index of the classific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a conventional maximum likelihood supervised classification.

      • KCI등재

        지형적 요소를 고려한 MODIS 적설 분포 자료의 공간적 특성 분석

        최진무,박선엽,이상원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3

        The snow distribu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winter is closely related to the spring drought and forest fires, so continuous observation is needed. However, due to limited location and number of weather st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direct acquisition of data from North Korea, highlands and mountainous areas is difficult.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now distribution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MODIS snow data. The local Moran’s I index was used to identify snow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winter and compared them with topographical factors such as altitude and forest rates. The analysis revealed a wide snow distribution in highland and high forest rates, as generally expected. In particular, despite the lack of snow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summer,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IS snow data produced errors in areas with high altitude, forest rate and slope.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wide snow distribution in mountainous regions in the mid and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winter. If we continue to observe snowy distribution and changes on the Korean Peninsula, it will be very useful as a basis for estimating regional drought and fire outbreaks in spring. 겨울철 한반도 적설 분포는 봄철 가뭄 및 산불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반도적설 자료는 기상관측소 위치 및 개수 제한으로 북한 지역과 고지대, 산지 등에서 직접 취득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MODIS 적설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반도 적설 분포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지적 Moran’s I 지수를사용하여 겨울철 적설 분포 특성을 확인하고 고도 및 산림 비율 등 지형적 요소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예상과같이 고지대와 산림 비율이 높은 지역에 적설 분포가 넓게 나타났다. 특히, 여름철 한반도에는 적설 현상이 나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여름철 MODIS 적설 데이터에서 고도, 산림 비율이 높고 사면 방향이 남쪽인 지역에서 오류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겨울철 한반도 중북부 산간지역에 넓은 적설 분포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한반도의 적설분포와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면 지역별 봄철 가뭄 및 화재 발생을 추정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매우 유용할 것이다.

      • KCI등재

        중해상도 ASTER GDEM 데이터의 정확도 및 공간적 특성 분석

        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1

        This study showed the degree of errors (RMSE) of the ASTER GDEM data that can be utilized in a variety of terrain-related applications. The ASTER GDEM were compared with elevation point data extracted from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s. The resulting RMSEs for entir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were analyzed and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m were also investigated. The vertical RMSE of the ASTER DEM was the national average of approximately 19m, which is very close to the maximum permissible error of 18m. Al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MSEs in Daejeon showed that the horizontal RMSEs on the plains were considerably smaller than those on the slopes. As a result, the ASTER DEM is enough to be used for terrain-model especially for inaccessible areas. However, research on the ways to compensate for large errors on the steep areas should be carried ou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형관련 응용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ASTER GDEM에 대한 오차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 해상도 30m ASTER GDEM에 대해 전국 1:5,000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고도측량 데이이터와 비교하였다. 전국 광역시도별로 ASTER DEM의 오차정도를 분석하였고 오차의 공간적인 분포도 확인하였다. 평가결과 ASTER DEM 자료는 수직정확도에 있어서 전국 평균 약 19m로 수치표고모델의 최대 허용오차인 18m에 대해서는 매우 근사한 수준이었다. 또한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오차의 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평야지역이 경사지역보다 상당히 작은 오차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ASTER DEM은 표고측량이 불가능한 지역에 대한 지형정보 구축을 위해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급경사 지역에 대해 비교적 큰 오차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Object-Orientation with Visual Basic for Feature Data Model Design

        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05 국토지리학회지 Vol.39 No.1

        Object-orientation can support effective representation for complex world phenomena. Geographic features including geometry and attributes are very complex to be represented in digital environment. So, object-orientation would be the best method for develop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urrent object-oriented programming tools are mainly C++, Java, C#, and so on in many academic textbooks. However, commercial GIS developing environment can support easy programming method to building GIS such as MapObject and ArcObject with Visual Basic, which is easy to use even for a novice user in programming language. Therefore, in this paper, the key concepts in object-orientation including abstraction, encapsulation, hierarchy, polymorphism, and modularity are discussed in Visual Basic environment. Objects and classes are also discussed to design feature classes in a feature data model.

      • KCI등재

        토지피복변화와 사회경제적 변화의 관련성 및 시계열 변화의 공간 검색 방안 연구 - 새만금 지역을 사례로 -

        최진무,박우정,김민준 국토지리학회 2014 국토지리학회지 Vol.48 No.3

        This study examines the relevance of land cover change and socio-economic change in the surrounding area due to the Saemangeum reclamation. We also propose a method of spatial query to search these land cover changes occurred. Drastic reduction of farmland and rapid expansion of the urban area was confirmed through analyzing the Saemangeum land cover maps produced in 1990, 2000, and 2010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the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surrounding area, the population shows the structure of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economy has been changed to a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due to the urbanization from the primary industries of agriculture and fishing.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 cover change due to reclamation project and the socio-economic change in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a spatial query method for land cover change areas was provided, which is based on the similarity query over an array of land cover change. The suggested query method will be used in varous time-series analysis for change detection.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지역에 간척사업으로 인한 토지피복변화와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 변화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토지피복변화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공간적 검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새만금 지역의 1990년, 2000년, 2010년 기준으로 작성된 토지피복도를 분석하여 농지의 급격한 감소와 도시역의 급격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관련하여, 인구는 고령화 구조를 보였고 경제는 어업과 농업 중심의 1차 산업에서 도시화에 따른 2차 및 3차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이는 간척사업으로 인한 토지피복변화가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시계열 변화에 따른 토지피복변화 배열의 유사도 검색을 통해 토지피복변화 지역에 대한 공간 검색 방법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지피복변화 공간 검색 방법은 다양한 시계열 변화 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정보배열분석법을 이용한 시계열 토지피복 변화 추출 방법 연구

        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14 국토지리학회지 Vol.48 No.1

        To extract land cover change, land cover data for two periods were usually overlapped. This study proposed a novel change detection method to extract land cover change for multi-temporal land cover data, which could extract both contextual information and spatial locations for the change. Detail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land covers are classified from satellite imagery and the unique patterns of land cover change are derived from time-series land cover data. Similarity between those patterns are derived by a sequence alignment method. Based on the similarity, land cover patterns are clustered and analyzed. The proposed method is a time-series analysis of land cover change, which can provide not only the contextual information but also the spatial location of the land cover changes. This method can be used to analyze various time-series data. 토지피복 변화 추출을 위해 기존에는 두 시기의 토지피복 데이터를 중첩하는 이분위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시기의 시계열 토지피복 데이터의 변화 분석에 대해 그 변화과정과 더불어 변화가 발생한 공간적인 위치도 도출할 수 있는 새로운 시계열 토지피복 변화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위성영상으로부터 시기별 토지피복을 분류하고 시계열 토지피복으로부터 고유의 토지피복 변화 패턴들을 도출한다. 도출된 토지피복 패턴들 간의 유사도를 정보배열비교법을 이용하여 도출한다. 토지피복 패턴간 유사도를 바탕으로 패턴들을 군집화하고 그룹별 토지피복 변화 형태를 해석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계열 토지피복 분석 방법은 토지피복의 변화에 대해 맥락적인 변화 과정을 제시함과 동시에 해당 토지피복 변화가 발생한 공간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토지피복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의 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