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강수술로 호전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 례

        최지호,이흥만,권순영,이상학,신철,이승훈,Choi, Ji-Ho,Lee, Heung-Man,Kwon, Soon-Young,Lee, Sang-Hag,Shin, Chol,Lee, Seung-Hoon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이비인후과영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질환 중 하나로 수면 중에 상기도의 폐쇄로 인한 호흡정지가 주요한 병인이며 상기도를 구성하는 비강, 구강, 인두, 후두 중 어느 한 부분에서 폐쇄가 일어나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비폐색의 가능한 원인들로는 주로 비중격 만곡, 비용, 기포성 갑개, 후비공 폐쇄, 종양, 이물, 술 후 또는 외상 후 발생한 유착, 여러 가지 비염, 기타 질환 등이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수술적 치료에는 비강수술, 구개인 두수술,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설부 축소수술, 기관절개술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문헌들을 고찰한 결과 지금까지 성인에서 수면무호흡증 치료로 시행한 비강수술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상태이다. 최근 저자들은 비폐색과 동반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비폐색과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비중격 만곡증 및 비후성비염을 교정하기 위해 비중격 교정술 및 하비갑개 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수술 전, 후의 증상 및 수면 다원검사 비교에서 뚜렷한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is a common disease in the field of otorhinolaryngology and is characterized by repeated upper airway occlusions occurring during sleep. OSAS can occur due to various etiologies of the nasal, oral, pharyngeal and laryngeal airway in adults. Nasal obstruction can be caused by septal deviation, nasal polyps, concha bullosa, choanal atresia, neoplasms, foreign body, postoperative/post-traumatic synechiae, various rhinitis and so on. There are various kinds of surgical treatment of OSAS including nasal surgery, LAUP, UPPP, surgery of tongue base, tracheostomy and so on, but the effect of nasal surgery on snoring and OSAS is controversial. The authors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ho had experienced nasal obstruction, moderate snoring and OSAS and who improved after septoplasty and turbinoplasty.

      • KCI등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병인 및 기전

        최지호,이승훈,신철,Choi, Ji-Ho,Lee, Seung-Hoon,Shin, Chol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2

        The pathogenesis and mechanism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has been under investigation for over 25 years, but its etiology and mechanism remains elusive. Skeletal (maxillary and/or mandibular hypoplasia or retrodisplacement, inferior displacement of hyoid) and soft tissue (increased volume of soft tissue, adenotonsillar hypertrophy, macroglossia, thickened lateral pharyngeal walls) factors, pharyngeal compliance (increased), pharyngeal muscle factors (impaired strength and endurance of pharyngeal dilators and fixators), sensory factors (impaired mechanoreceptor sensitivity, impaired pharyngeal dilator reflexes), respiratory control system factors (unstable respiratory control) and so on facilitate collapse upper airway. Therefore, OSA may be a heterogeneous disorder, rather than a single disease entity and various pathogenic factors contribute to the OSA varies person to person. As a result, patients may respond to different therapeutic approaches based on the predominant abnormality leading to the sleep-disordered breathing.

      • 부항으로 인해 발생한 철분결핍성빈혈 2례

        최지호,이상현,Choi, Ji-Ho,Lee, Sang-Hy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2

        연구배경 : 철분결핍성빈혈은 매우 흔하며 그 원인이 다양하므로 근본 원인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여야만 한다. 저자는 소화기관 출혈, 임신, 과다월경 등의 원인 외에 우리 나라의 의료 특성상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부항에 의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였으므로 부항으로 인해 발생한 철분결핍성빈혈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의 행위는 설명모델로 이해될 수 있다. 증례 1 : 27세 여자 환자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10년 전부터 있었던 건선을 치료하기 위해 부항요법을 빈번하게 실시하였고 이로 인한 실혈로 철분결핍성빈혈이 발생하였다. 증례 2 : 70세 남자 환자가 식욕부진과 어지러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9개월 전에도 같은 증상이 있어 철분결핍성빈혈로 진단을 받고 치료 받았으나 5년 전부터 족부 무좀에 대해 실시한 부항요법을 지난 번 빈혈치료 후에도 반복해 실시한 결과 철분결핍성빈혈이 발생하였다. 결론 : 철분결핍성빈혈의 원인으로 우리나라 의료의 특성상 부항요법도 고려하여야 한다. Background : Iron deficiency anemia(IDA) is a very common condition, and its underlying causes are diverse. Gastrointestinal blood loss, pregnancy, menorrhagia are known as common causes of IDA. However, especially in the IDA case of unknown origin, we must consider the culture specific cause of IDA as a possible cause of IDA. As I found an unusual cause of IDA related to a cultural behavior, I would like to report two cases of IDA occurred by negative therapy in Korea.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se cases by explanatory model. Case 1 : With a chief complaint of dyspnea, a 27-year-old woman visited our clinic. She had multiple treatment histories of negative therapy for her psoriasis. The blood loss during this procedure is the cause of present IDA. Case 2 : A 70-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anorexia and dizziness. The history of treatment showed that he had an IDA 9 month ago. The IDA developed again because of repeated negative therapy after previous treatment of IDA. He has used the negative therapy intermittently to treat tinea pedis for 5 years. Conclusion : We must consider the negative therapy as a possible cause of IDA in Korea.

      • KCI등재

        인터넷 쇼핑몰 방문행동과 구매행동간의 관계에서 제품 유형의 조절효과

        최지호(Ji Ho Choi),이영승(Young Seung Lee),한상만(Sang Man Han) 한국마케팅학회 2004 마케팅연구 Vol.19 No.2

        지금까지의 인터넷 쇼핑몰에 관한 연구는 주로 페이지뷰나 체류시간과 같은 인터넷 쇼핑몰 방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의 규명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왔으나,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의 방문행동이 과연 실제 구매행동으로까지 이어질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708명의 온라인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페이지뷰나 체류시간과 같은 방문행동이 실제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4개의 제품군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관계가 제품유형에 의해 달라지는가를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페이지뷰와 체류시간과 같은 방문행동은 제품의 구매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 방문행동과 제품 구매빈도간의 관계는 제품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ether visit behavior such as page view and duration time is related with actual purchasing behavior in internet shopping mall. Also, this research is empirically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ty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 behavior and actual purchasing behavior, using a set of online panel data. The results show that visit behavior and actual purchasing frequency in four product categories are causally connected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 behavior and actual purchasing behavior is moderated by product type. Finally,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시판누룩 사용 별 석탄주의 품질특성

        최지호 ( Ji Ho Choi ),전진아 ( Jin A Jeon ),정석태 ( Seok Tae Jung ),박지혜 ( Ji Hye Park ),박신영 ( Shin Young Park ),이충환 ( Choong Hwan Lee ),김택중 ( Tack Joong Kim ),최한석 ( Han Seok Choi ),여수환 ( Soo Hwan Ye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39 No.1

        고문헌에 기록된 사라진 우리술을 발굴하는 전통주 복원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시판 누룩 5종을 사용한 석탄주(惜呑酒)를 제조하여 이들의 양조적성을 구명하였다. 석탄주 발효 중 품온변화 등 일반성분을 분석하였고 완성된 석탄주(발효기간 10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술덧의 품온변화는 실내온도 변화에 상응하였다. pH는 전체적으로 발효 0~3일차까지 급격히 떨어졌다가 발효 중간부터 완만히 증가(3일: 3.13~3.57, 6일: 3.35~3.80)하였고, 발효 종료 시, pH 3.60~4.05로 상승하였다. 산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0.45~0.59%) Nuruk-B의 수치가 가장 높았다. 이는 누룩에 생육하는 유기산 생성 곰팡이와 젖산균이 술덧의 적절한 온도, 원료 조성, 효모 수에 따라 유기산 생산능에 차이가 있는것으로 보여진다. 환원당과 당도는 Nuruk-C로 제조한 석탄주에서 가장 높았으나(5.36%, 23o) 알코올 함량(8.6%)은 가장 낮았다. 5종의 시판누룩으로 발효시킨 석탄주에서 Nuruk-A가 알코올 함량(19.4%)이 가장 높았고 휘발산은 발효 3일째 가장 높은 수치(132.6~263.7 ppm)를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5.25~5.94 ppm)하였다. 관능평가는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으며 Nuruk-D로 제조한 석탄주가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4.0), Nuruk-A의 경우 가장 낮았다(2.77). We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ktanju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which was fermented using five kinds of Korean commercial Nuru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what effects on the quality of Seoktanju by using different Nuruks. We analyzed general component such as each mash`s temperature change patterns, pH, titrable acidities, reducing sugar contents, volatile acids, and sugar contents during fermentation periods and studied sensory evaluation of produced Seoktanju (10 days). On the whole, temperature change patterns in the each mashes were depend on room temperature. All Seoktanju`s pH was reduced rapidly up to three days after first mashing (pH 3.13-3.57) and after that was increased gradually. The end of fermentation pH was pH 3.6-4.05. Mostly, acidities were indicated high(0.59%) and Nuruk-B was showed highest acid value. These results seems to be different as occasion organic acids producing activity depend on the number of yeast, material contents, optimal temperature in the each mashes by fungi and lactic acid bacteria in Nuruks. In reducing sugar contents and sugar contents, Nuruk-C treatment were showed the highest value with 5.36%, 23o brix, respectively and alcohol content was lowest with 8.6%. In the five kinds of reproduced Seoktanju, alcohol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treated Nuruk-A group. Volatile acid value was the highest with 132.6~263.7 ppm at the 3 day after first mashing day but as the fermentation time goes on, it was reduced sharply by 5.25~5.94 ppm.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5 point scale, the Seoktanju using Nuruk-D was presented by 4 point, while Nuruk-A was presented lowest by 2.77 point on overall acceptability.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Topical Formulation of Carbonized Pine Cones

        Ji Ho Choi(최지호),Si Woo Sung(성시우),Eun Seok Lee(이은석),Jong Hyun Nam(남종현),Young Wook Choi(최영욱) 한국고분자학회 2018 폴리머 Vol.42 No.6

        미분화된 솔방울 탄화물(CPC)을 함유한 외용제로서 고분자 하이드로젤 기반 크림과 오일 기반 유기젤을 개발하였다. 현미경 관찰을 통해 유상 전반에 걸쳐서 CPC가 균질하게 분산되었다. 원심분리 조건(1000-20000×g, 10분, 20도) 하에서, 유기젤에 비하여 수화젤 기반 제제의 물리적 안정성이 더 컸다. 수화젤 기반 고보습 크림 2(HUMC2)와 라우르산/바셀린 기반 젤2(LV2)는 각각 수성 및 유기젤의 대표 제제로 선택되었으며, 두 제제 모두 전단박화의 유동학적 거동특성을 나타내었다. 별도로, ‘가상 집기력 시험법’을 설정하여 제제의 실질적 적용 시 흐름특성을 평가하였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관능 평가에서 HUMC2가 퍼짐성, 보습성, 수세성 측면에서 LV2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나, 광택성 점수는 LV2가 HUMC2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평가에서 HUMC2가 LV2보다 우수했다, 그러나 HUMC2가 제한적인 CPC 탑재능력(10% w/w 미만)을 보인 반면 LV2는 높은 CPC 탑재능력(약 40% w/w)을 나타내었다. Polymeric hydrogel-based creams and oil-based organogels were formulated to develop a topical preparation containing carbonized and triturated powder of pine cone (CPC).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homogenous dispersion of CPC throughout the oil phase. Under centrifugal stress (1000-20000×g, 10 min, 20 ℃), the physical stability of the hydrogel-based formulation was greater than those of organogels. Hydrogel-based ultra-moisturizing cream2 (HUMC2) and lauric acid/Vaseline-based gel2 (LV2)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aqueous and organogel formulations, respectively, and both showed shear-thinning behavior in rheograms. A simulated pinch strength test was established to evaluate flow properties of the formulation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human sensory evaluation, HUMC2 showed a higher score than LV2 regarding spreadability, moistness, and removal capacity, whereas the shininess score of LV2 was higher than that of HUMC2. In conclusion, HUMC2 was superior to LV2 in most evaluations, but had limited CPC-loading capacity (< 10% w/w), compared to the high loading capacity of LV2 (approximately 40% w/w).

      • KCI등재후보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눈물막 및 안구표면장애에 대한 0.15%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액의 효과

        최지호(Ji-Ho Choi),박영명(Young-Myoung Park),정진구(Jin-gu Jeong),조남천(Nam-Chun Cho),유인천(In-Cheon You) 대한검안학회 2021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20 No.1

        Purpose: To confirm the effect of 0.15% sodium hyaluronate on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disorders after vitrectomy surgery. Methods: The control group 19 patients and the test group 20 patients who underwent vitrectomy were enrolled. The control group took only antibiotics and steroids eye drops after surgery for 1 month, and the test group used 0.15% sodium hyaluronate eye drops for 2 months additionally.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tear film break-up time, Schirmer test, corneoconjunctival staining and meibomian gland seretion test were evaluated before surgery (baseline), 1 day, 1 week, 1 month, and 2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rial group at 1 week in Schirmer test (p = 0.038). In OSDI, the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2 months after vitrectomy in the control group (p = 0.021). However, the test group recovered at 2 month after surgery. In control group, TBU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t 1 month (p = 0.022) and Schirmer test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t 2 months (p = 0.048) compared to the baselin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est group. Corneoconjunctival staining showed early increase and then progressive decreasing tendency at postoperative period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corneal staining at 2 months (p = 0.007) compared to the baseline only in the test group. Conclusions: Tear film and ocular surface disorders that occurred after vitrectomy worsen after surgery and then mostly recover. Postoperative 0.15% sodium hyaluronate instillation can alleviate the dry eye symptoms and is thought to contribute to early improvement of clinical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