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소방시설공사의 분리발주 의무화에 따른 공사 보증에 관한 고찰; 국외 보증 제도를 중심으로
최지은,김원창,이태규 한국화재소방학회 2024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4 No.10
소방시설공사업법 분리발주가 시행되기 이전에 소방시설공사는 저가 공사를 수주하여 부실 시공으로 이루 어졌고 전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리발주를 추진하였으며 2020년 9월에 의무화가 시행되었다. 그러나, 전문소방시설공사 회사는 대부분 소규모로 대⋅중소 시공 회사와 전문성을 비교했을 때, 미흡한 실정이다. 공사이행보증제도는 계약 상대자가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때, 보증기 관이 대신하여 그 의무를 이행하는 것을 보증하는 제도를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외 보증 제도를 분석하여 공사이행보증의 개선 방향 및 소규모 소방시설공사 회사의 시공능력 증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사이행보증은 국가계약법 시행령에 따라 시공사가 계약내용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이를 대신하 여 보증기관에서 계약이행의무를 부담하거나 의무이행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계약금액의 40/100 이상을 납부한다는 공사이행보증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계약집행기준에 따라 보증이행업체를 지정할 시 입찰 참가 시의 자격과 동등한 자격을 요구하고 있다. 이때 잔여 공사의 규모, 기술적 난이도 등 일률적인 요구사항으 로 인해 보증이행업체의 선정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Miller Act에서 보증기관은 신인도(Character), 시공능력(Capacity), 자금력(Capital)을 평가하여 시공사 는 증서를 발급받아야 하고 발주자와 협의로 이뤄진다. 다른 계약자 고용, 작업 범위 축소, 인력 보충, 재정적 보상 등 국내보다 보증 범위가 다양하다. 보증 이행과 관련하여 Surety Bond 제도를 통해 보증기관이 잔여 공사가 작고 기술적 난이도가 높지 않을 경우, 적절한 평가를 통해 소규모 시공사가 보증이행업체로 선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보증이행사 선정 이외의 보증 범위의 다양화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소규모의 소방시 설공사 회사의 시공능력 향상을 위해 잔여 공사가 작고 기술적 난이도가 어렵지 않을 경우, 입찰 참가 시의 자격과 동등한 자격에 미치지 못하여도 보증이행업체로 선정하는 완화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관측네트워크에서 얻은 공간자료들을 활용한 계층모형 구축
최지은,박만식,Choi, Jieun,Park, Man Sik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1
Geostatistical data or point-referenced data have the information on the monitoring stations of interest where the observations are measured. Practical geostatistical data are obtained from a wide variety of observational monitoring networks that are mainly oper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When we analyze geostatistical data and predict the expectations at unobservable locations, we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ediction by utilizing some relevant spatial data obtained from different observational monitoring networks and blend them with the measurements of our main interest.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hierarchical spatial linear model that enables us to link spatial variables from different resources but with similar patterns and guarantee the precision of the prediction. We compare the proposed model to a classical linear regression model and simple kriging in terms of some information criteria and one-leave-out cross-validation. Real application deals with Sulfur Dioxide($SO_2$) measurements from the urban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and wind speed data from the surface observation network.
유구치 치관 및 기성금속관의 크기에 관한 계측학적 연구
최지은,정태성,김신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28 No.3
치아의 크기는 유전적으로나 비교해부학적, 치과 임상적인 면에서도 중요하다. 치아의 크기는 주로 복합적인 유전에 의해 결정되며, 다른 인종간에 차이가 나므로 인류학적 조사를 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특히 유치의 크기는 치과 임상적인 면에서 중요한데, 교합의 변화와 공간분석에 큰 역할을 한다. 소아치과 임상에서 사용하는 유구치의 수복에 주로 사용되는 금속관은 대부분 기성 제품이므로 수복시에는 치아 크기에 맞추어 선택해 사용한다 유치 치관 크기는 인종에 따른 차이가 많은데 현재 임상에서 사용중인 기성금속관은 한국인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므로,기성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국 아동 유치의 형태학적 특성을 정립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한국 아동의 유구치의 인종적 특성과 좌우 비교,성별을 비교하고,소아치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성 금속관의 크기와의 비교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부산 ·경남지역 아동 235명의 경석고 모형을 채득하여 유구치의 근원심경과 협설경을 digital calipers로 측정하였다. 또 시판중인 2종의 기성금속관의 근원심경과 협설경을 측정하여 , 모형에서 계측한 유구치의 측정치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구치 치관의 크기에 있어서 좌우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모든 유구치에서 남아의 경우가 여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 2. 회귀분석을 통한 비교결과 상, 하 제1유구치와 그 기성금속관간에는 다른 유구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Data derived from odontometric studies are useful in many areas. Especially crown diameter of primary teeth is important in not only anthropology but also clinical dentist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diameters of primary molars of Korean children with those of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and examine raci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molars of Korean children. The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ameters of primary molars were measured on dental casts taken from 235 children(male 105, female 131), with digital calipers. And the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s. The results were as fo11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members of antimeric teeth. and all primary molars of male were larger than those of female 2. The diameters of primary molars of Korean are smaller than those of Austrailian aborigine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ance between diameters of primary molars of Korean and those of other populations. 3. There were size differences between diameters of maxillary. mandibular first molar and preformed stainless steel crown than other primary molars, relatively
최지은,양규호,최남기,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5 No.1
소아의 구강 악안면 부위의 감염은 부비동, 근막간극, 타액선, 악골, 치아 등의 다양한 해부학적 구조물과 연관되어 발생하며 적절히 치료되지 않는다면 짧은 시간 내에 치명적인 상태로 진행될 수 있어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요구된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부분이 치성 원인으로서, 괴사된 치수로 인한 치근단 병소, 화농성 치주질환, 치관주위 감염 등으로부터 유래된다. 소아의 치성 감염은 치아우식증이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병원성 균이 치수를 통해 인접 조직으로 확산되어 치근단 감염 및 농양, 봉와직염, 골수염, Ludwig’s angina, toxic shock syndrome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근막간극이란 느슨한 결체조직으로 채워진 근층 사이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공간으로 일반적인 근막간극 농양의 진행과정은 괴사 치수 염증이 치조 농양 형태로 치근 주위로 퍼지고 점차 근막을 침투해 피질골을 통해 잠재적 간극을 이환시킨다. 구강 악안면 부위의 감염이 연조직으로 침투할 경우, 결체조직을 통하여 그리고 근막간극을 따라 가장 조직 저항이 적은 방향으로 확산된다. 이러한 감염은 치아발치, 근관치료, 배농을 포함한 외과적 치료, 항생제 투여 등에 의해 적절히 치료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치성 원인의 견치 간극 농양 및 협부 간극 농양에 이환된 환자들에 대하여 항생제 투여 및 근관치료, 외과적 배농 등을 시행하여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nfections involved with the oral and maxillofacial area are associated with various anatomical structures. If the proper treatment is not done in an immediate period, the infections will be quite fatal. The causes of the infections are numerous, but the most common cause of odontogenic infections in children is a dental caries. It is known to lead to some kinds of diseases such as periapical abscess, cellulitis, osteomyelitis, Ludwig’s angina, toxic shock syndrome and so on. The common pathogenic sequence of fascial abscess is a necrotic pulpal inflammation in the form of dentoalvelor abscess which spreads over and gradually penetrates into the fascial membranes through the cortical bones and finally contracts the potential fascial spaces. If the infections of oral maxillofacial area were penetrated into the surrounding soft tissues, then they would diffuse into the directions of the least tissue resistance along with the connective tissues and the fascial spaces. These infections can be properly cured by tooth extraction, endodontic therapy, surgical treatment including Incision & drainage and antibiotics. The purpose of the cases is to report the satisfactory treatment results in the patients derived from the canine fascial space abscesss or buccal fascial space ones of the odontogenic ori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