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하판을 지원하는 초등 도형 학습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최지원,이용배,Choi, Jiwon,Lee, Yong-Bae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3

        수학 도형 영역에서 기하판과 같은 구체적 조작도구를 활용하여 학습하면 추상적인 기하 개념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며 학습 흥미도와 문제 해결 능력을 높여줄 수 있다. 현재까지 구체적 조작도구는 고전적인 교실학습 환경에서만 적용하고 있으며 온라인 환경에서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도형 영역에서 다각형 주제를 기하판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소프트웨어의 기본 기능은 도형 그리기와 지우기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고 학습한 내용의 도형을 맞게 그렸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델파이 분석으로 도형 영역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학습 흥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upports the idea that manipulative devices can be an effective modality tool for learning abstract concepts involved with identifying geometric shapes and enhance learners'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Until recently specified manipulative device has been adapted only in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and it has been very rare to find devices that is designed for online-basis. This study focused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ducational software which guide learners with geoboard i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g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to draw and to delete various shapes, this software helps learners immediately assess the outcome. The results of the Delphi Technique show promising evidence for it being a very efficient means to learn geometric shapes and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the subject matter.

      • Effects of plasmaspheric density structure on the characteristics of geomagnetic ULF pulsations

        최지원,이동훈,김관혁,이은상,Choi, Jiwon,Lee, Dong-Hun,Kim, Khan-Hyuk,Lee, Ensang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The structure of plasmasphe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properties of geomagnetic ULF pulsations such as Pi 2 pulsations and field line resonances (FLRs) in the Earth's magnetosphere. We have performed a 3-D MHD wave simulation to investigate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ULF waves in dipole geometry. Various 3-D density structures are assumed, which include a relatively sharp density gradient and gradually less slopes at the plasmapause. The former condition can refer to the plasmasphere from local midnight to dawn, whereas the latter represents the region near noon to dusk where it bulges out. We show how Pi 2 pulsations and FLRs differentially appear at both multi-point satellite locations and ground stations for different local times. Our results suggest that 1) the local radial density structure significantly affects the peak frequencies for Pi 2 oscillations, while the polarization changes remain similar in the radial direction, and 2) the radial location of strong FLRs varies for different density profiles. It is also suggested how multi satellite measurements and ground-based observations can confirm this differential feature in space.

      • 화상 URI 표준화를 위한 네임스페이스 구성에 관한 연구

        최지원(Jiwon Choi),김기천(Kiche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Ⅲ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네트워크를 통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등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이 점차 대용량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의 유통을 위해 쓰이는 URI는 텍스트의 한 페이지, 사운드 또는 비디오 클립, 정지 화상과 동영상은 물론 프로그램과 같은 컨텐츠를 인식하는데 쓰이고 URL을 이용하여 정보자원의 물리적 위치를 표시하는 문자열을 통해 정보자원에 접근하고 검색하게 된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단점이라 할 수 있는 입력기능의 제한으로 인해 정보이용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정보 접근을 위한 새로운 URI 체계와 서비스 환경이 필요하다. 새로운 URI 체계에 하나의 대안으로 바코드나 특정 이미지와 같은 화상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며 이를 화상 URI로 체계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 기술들을 연구하고 화상 URI 시스템에서 사용되어질 URI 체계를 현재 세계 표준으로 유력한 DOI를 따르는 네임스페이스 구성에 관하여 연구하고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축되어져야할 환경에 관해 기술한다.

      • KCI우수등재

        대체후보물질 탐색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국내ㆍ외 기술동향 조사 연구

        최지원(Jiwon Choi),박종서(Jongseo Park),서명원(Myungwon Seo),이영민(Young-Min Lee),김선미(Sunmi Kim) 한국환경보건학회 2023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9 No.1

        Background: The need to develop alternative chemicals is increasing worldwide due to the strengthening of global chemical regulations and consumer safety awareness in the marketplace. Objectives: We aimed to review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y trends for exploring alternative candidate algorithms that can be used to develop safer alternatives to strengthen global market competitiveness and protect public health in the future. Methods: We search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trends, compan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chemical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For this, we referred to research papers and websites by companies and institutes related to such alternatives. Results: Among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more studies in South Korea were focused on predicting molecular-bas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oxicity than were reporting on research exploring alternative candidates. Three web-based databases and six tools were being developed. More studies in other countries predicted information to consider in alternative development than reported on research exploring alternative candidates, and four web-based databases and three tools were being developed. Among the compan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chemicals, 286 alternatives classified as ‘EVALUATED ALTERNATIVE’ in MARKETPLACE accounted for the most significant proportion in Europe on a continent basis, and the largest number in the United States (US) on a national basis. In South Korea, only significant companies were registered.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provide public technology support platforms to explore alternative candidates considering various aspects in order to support alternative development. In conclusion, exploring alternative candidate algorithms could contribute to the response to the global trends in the chemical industry and to supporting companies and researchers developing safer alternatives in the future.

      • 전자구조의 양자역학적 계산을 위한 밀도범함수이론 개념 요약

        최지원 ( Jiwon Choi ),강창종 ( Chang-jong Kang )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2022 충남과학연구지 Vol.39 No.1

        In this article, we briefly review density functional theory and its current status on computing the electronic structure in solid-state systems. In a weakly correlated system, density functional theory explains the electronic structure observed in angle-resolved photoemission spectroscopy measurements. Hence, density functional theory is a typical method to compute the electronic structure of a solid and we introduce the basic concept of the theory.

      • KCI등재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입문교육 경험 및 반성적 교수능력 발전

        최지원 ( Choi Jiwon ),안경자 ( Ahn Kyungja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2

        본 연구는 6명의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입문교육 경험에 대해 탐구했다. 또한 반성적 교수활동을 통한 초등영어 신규교사들의 교수능력 발전에 대한 인식을 분석했다. 나아가 신규교사들이 영어 교수능력 발전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 및 영어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했다. 각 교사별로 5회의 교수일지와 2회의 심층면담 자료가 수집되어 내용분석으로 분석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용 예정인 신규 초등교사들을 위한 공식적인 직무연수에서 영어교과와 관련된 연수는 거의 없었다고 회고했다. 따라서 신규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공식적인 입문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했다. 한편, 신규교사들은 학교에 적응해 나가며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영어교수능력 발전을 위한 연수 및 학습공동체 등에 참여하기도 했다. 또한 임상장학은 멘토 교사와 관리자들의 지원 양상에 따라 유용성에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임상장학이 영어교과 개선에 초점을 두어 보다 체계적이고 의미있게 향상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했다. 교사 및 관리자와의 교류를 통해서도 교사들은 비공식적인 입문교육을 경험했고, 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도 교사들의 입문교육경험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신규교사들은 원활한 수업운영, 수준차 고려, 다양한 상호작용, 목표어와 모국어의 사용 측면의 성찰을 통해 교수 능력을 발전시키고 있었다. 교사들은 본인들의 영어능력 신장 및 영어교수방법 개선을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왔다. 나아가 그들은 보다 효율적인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 지도 및 평가 매뉴얼 및 자료 제공 등 제도적인 지원, 예비교사교육기관의 영어 교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강화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영어 신규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인 입문교육과 관련해 교사, 교사교육가 및 정책입안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duction experiences of six no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and their reflections on their teaching. It also examines their efforts to improve their instructional skills and their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data included five journal entries and two interviews for each participant and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expressed their induction experiences should be more effective to support their development. They had few experiences in formal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novice teachers. However, the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English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y thought they needed for their teaching. They commen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linical supervision should be more systematic and meaningful, focusing more on English language teaching. Due to interactions with peer and supervising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teachers had diverse informal induction experiences. Their induction experiences were also related to students and parents. Second, through reflections on their teaching, the teachers developed their instructional skills in classroom management, adapting lessons to students’ different English abilities, diverse classroom interactions, and use of L1 and L2. The teachers made efforts to enhance their own English abilities and English teaching methodology. In addition, they displayed their needs for substantial support as novice English teachers including needs for effectiv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for being provided with materials and manuals for teaching and evaluating students. This study provides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induction programs for novice English teachers.

      • 뇌파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실시간 뇌파 정규화 방법

        최지원(Jiwon Choi),성연식(Yunsick Sung),이창숙(Changsook Lee),조경은(Kyungeun Cho),엄기현(Kyhyun U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1

        뇌파를 이용한 뉴로피드백 훈련은 주로 치매나 주의력 결핍 아동, 과잉 행동장애 환자의 치료에 이용된다. 최근에는 치료목적이 아닌 집중력 향상이나 뇌 이완 훈련에 이용할 수 있도록 게임 콘텐츠 형태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뇌파는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파형을 가지므로, 이를 모두 반영하여 콘텐츠를 만들기는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의 특징적 뇌파를 고려하지 않고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파형을 정규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된 뇌파를 정규화 하여 사용자의 특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정규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맞는 변환 공식을 만들어 냄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한 뇌파를 빠르게 정규화 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 VANAS: 신경망 구조 탐색을 위한 시각적 분석 시스템

        최지원(Jiwon Choi),홍권(Gwon Hong),조재민(Jaemin Jo)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 구조 탐색(Neural Architecture Search, NAS) 알고리즘의 탐색 결과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시스템인 VANAS를 제안한다. 방대한 탐색 결과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간선의 중요도 및 기여도를 정량화하는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구조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탐색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오버뷰와 심층 신경망 구조를 설계하고 분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였다. VANAS 를 통하여 NAS 분야의 표준 벤치마크 데이터 중 하나인 NAS-Bench-101을 분석한 결과, 신경망을 구성하는 정점 및 간선의 중요도를 확인하고, 시스템이 제안하는 간선을 추가하여 정확도를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