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세월호의 귀환, 그 이미지가 원하는 것 : 미첼의 이미지론을 중심으로

        최종철 ( Jong-chul Choi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8 美學·藝術學硏究 Vol.55 No.-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를 통해 구체화 된 이미지 재난의 본질과 그러한 이미지들이 관객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의 시각문화 이론가 미첼(W.J.T. Mitchell)이 그의 저서 『그림은 무엇을 원하는가? - 이미지의 삶과 사랑』 (2005)을 통해 전개한 독특한 사유실험을 바탕으로 탐구해 본다. 이러한 탐구는 특히 재난을 재현하는 시각예술의 윤리성에 매우 중요한 논점을 제공할 것인데, 이는 본 탐구가 ‘이미지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혹은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라는 관습적인 질문으로부터 이미지는 ‘무엇을 원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전환함으로써, 담론의 중심을 이미지의 외부에서(이미지의 사회적, 정치적 역할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이미지의 내부로 혹은 이미지로 육화된 고통 받는 타자의 요구로 옮기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간 세월호 참사를 재현하려는 예술적 시도는 이미지의 피상성과 타인의 고통을 예술의 소재로 삼는 것에 대한 윤리적 금기 사이에서 갈등해 왔다. 그러나 우리가 세월호 참사에서 목격했듯, 정작 재난의 당사자들은 자신들의 이미지를 만들고 전달하기 위한 필사적인 투쟁(침몰하는 배 안에서 기록되고 전송된 이미지들)을 멈추지 않았는데, 이는 그러한 이미지들이 절멸의 위기에 처한 타자들의 가시성과 존재성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미지를 보고, 그 이미지가 살아 있다고 믿으며, 이미지가 원하는 것, 혹은 그 고통에 주목하는 일은, 타자의 요구에 반응하는 매우 진지하고 몰입적인 감상행위의 일부이며, 이는 또한 ‘예수 고통상(Christus patiens)’의 전례와 같이 매우 긴 역사적/종교적 배경을 갖는 자기 구원의 행위이다. 논자는 미첼에 의해 정초된 실험적인 이미지론을 라캉과 마이클 프리드, 그리고 한스 벨팅의 이론을 빌어 확장하고, 이를 통해 이미지에 깃든 타자의 욕망과 이 욕망이 주체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을 밝힘으로써 이미지학의 새로운 윤리적 지평을 그려보고자 한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life and death of image, its pain and pity culminated by the Sewol Ferry Disaster, a ferry boat sunk in 2014 with over 200 high school students and many other civilian victims on board. The quest into image's painful life will be supported by W. J. T. Mitchell's profound discussion, What picture want: the life and love of image in which the author argues that ‘images are not dead but living subalterns demanding what they want, transfixing or paralyzing the viewer in their gaze’. This idea makes a shift in our inquiry - from what images do to us, to what they want from us; from image's impact on society to its affect over beholders. For the past few years in Korea, artistic attempts to visualize the pain of Sewol disaster have been trapped in image's hazier, reified sanctum that incubates moral taboos for beautifying the other's pain. However, as we have seen from the disaster, despite the moral concerns, the victims aboard never ceased to make their images (with their own mobile phones, cameras, etc). to let others know they are alive, to bring a rescue in time, or to be remembered forever - all to prove their ontic certainty and visual right. Therefore, to look at images, to believe in image's life, and to pay attention to what they want is a way to reach at the deepest chasm of visual desire that has in fact a rich history in western iconological traditions. Anchoring on Mitchell's study on image, I will also discuss this desire through the insight of Lacan, Michael Fried and Hans Belting whose studies at certain degree point to this inter-subjective demand and desire that will map out a new direction of image ethics.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 다큐멘터리` : 예술과 정치 사이에서

        최종철 ( Jong-chul Choi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7 美學·藝術學硏究 Vol.51 No.-

        본 논문은 최근 국제 미술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다큐멘터리의 예술적 전회를 다룬다. 이러한 현상을 대표하는 룩 델라헤이, 줄 온디어스, 리처드 모세, 짐 골드버그 등과 같은 사진가들은 객관성과 진실성이라는 사진의 전통적 가치에 얽매이지 않고, 민감한 정치적 주제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다양한 미학적 형식으로 재해석한다는 점에서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포스트 다큐멘터리` 작가들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들의 `미학적` 사진은 디지털의 상호적, 몰입적, 가상적 경험을 통해 관객성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하는데, 이는 타인의 재난을 재현하는 것에 대한 다큐멘터리의 오랜 윤리적 고민에 전환적 대안을 제공한다. 즉, 포스트 다큐멘터리는 타인의 재난을 `단지 볼거리`로 만드는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인 보기의 대상`으로 만드는데, 이는 사진 속의 타자와 보는 관객 사이의 시각적/감성적 연관을 강조하고, 보기를 적극적인 인식행위로 치환함으로써 윤리성을 증대시킨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장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논자는 미학과 정치학 사이의 근본적인 상관성을 `감각의 분할`이라는 용어로 설명하는 프랑스 철학자 자끄 랑시에르, 그리고 최근 사진 이론에서 보기와 몰입에 의해 매개되는 사진적 관객성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한 미국의 이론가 마이클 프리드의 이론을 참조할 것이다. 이 두 이론가는 특히 `사진의 연극적 경험`에 관한 논의(프리드)에서 그리고 `(플라톤적) 관객의 인식론적 해방`에 관한 고찰(랑시에르)에서 이미지 세계에 갇힌 관객의 한계와 가능성을 고찰하고 있는데, 이러한 관객성의 새로운 지평은 포스트 다큐멘터리를 기존의 사진-윤리 담론과 구분짓는 이론적 기반이 된다. 논자는 이러한 주장들을 통해 미학과 정치학, 그리고 나아가 윤리적 영역을 포괄하는 다큐멘터리사진 예술의 진보적 향방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aesthetic turn of social documentary` that has been a noticeable phenomenon in the recent art world. Represented by artists such as Luc Delahaye, Juul Hondious, Richard Mosse and Jim Goldberg, this new turn of documentary is characterized by the frequent use of digital technologies and other aesthetic measures (pictorial composition, appealing color and size, etc.) that provide a deeper visual experience on political disasters around the world. It challenges documentary`s dubious myth of objectivity and authenticity by accepting all the post-protocols nurtured in digital paradigms; thus it deserves the name, `post-documentary` as a new terrain of photographic art in this digital era. Post-documentary`s inter-subjective, immersive, and virtual (or `poetic`) experiences construct a new spectatorship that subsumes both political awareness and aesthetic pleasure. Philosopher Jacques Ranciere`s notion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nd his claims on the fundamental unity between the aesthetic regime and the political regime will be discussed in the paper to ensure post-documentary`s sensorial appeal and its interdisciplinary role between art and politics. Critic Michael Fried`s new photo-theory will also be discussed as the theory, despite its explicit modernist and aesthetic stands, elaborates the inseparable connection between a photographic image and its viewer. Although seemingly irrelevant, the two theorists make a harmonizing voice in their discussion of theatre: for both, it is a space of `emancipation` where the spectator ― `ignorant, disinterested` ― finds its genuine potentials in the world of image. With this theoretical frame, this paper aims to map out a new direction of documentary art that would bring all the previously unmediated fields ― art, politics and ethics ― together.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성인학습자 관점을 반영한 사이버대학 교육프로그램 평가준거 연구

        최종철(Choi Jong-Cheol),김영화(Kim Young-Hwa)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 관점을 반영하여 사이버대학 교육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평가준거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사이버대학, 성인학습, 사이버교육 평가준거 관련 선행연구 검토 및 사이버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차적 요구조사를 통하여 여덟개의 잠정적 평가준거를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평가준거에 포함되는 69개의 예비평가문항으로 구성된 조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사이버대학 재학생 239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조사도구를 수정한 후, 8개 사이버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682명의 유효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유익성, 편의성, 친밀성, 학습자 존중성, 외형성, 자기주도적학습 지원성, 학습평가의 적절성, 상호작용 증진성, 실생활 지향성, 자아효능감 증진 성과 같이 10개의 평가준거와 56개의 평가지표가 추출되었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기초로 설정한 사이버대학 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모형은 높은 구성타당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cyber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in Korea, considering that a majority of learners in cyber universities are adults in their late 20s and over unlike students of traditional colleges. First, through literature analyses and a survey for demands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eight tentative areas of evaluating cyber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and 69 preliminary evaluation items were drawn. Second, developing a questionnaire containing preliminary evaluation items, we conducted a survey to students in eight cyber universities and collected 682 responses. Third, Employ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 extracted ten evaluation criteria and 56 evaluation indicators. Ten evaluation criteria are: (1) usefulness; (2) conveniency; (3) intimacy; (4) respect for learners; (5) the appropriateness of physical condition; (6) the supportiv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7)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ing learners; (8) promoting interactions among learners and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9) utilizing instruction materials from learners" life; and (10) improving learners" self-efficacy.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factor were found to have very high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a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itness of an evaluation model also proved that the model had a high level of construct validity.

      • KCI등재후보

        디지털 아카이브 그리고 파라-인덱스: 왈리드 라드의 아틀라스 그룹

        최종철 ( Jong Chul Choi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2

        본 논문은 레바논 출신의 미디어 작가 왈리드 라드(Walid Raad)의 아카이브프로젝트, < 아틀라스 그룹 (the Atlas Group, 1989-2004) >을 중심으로 오늘날 새로운 예술 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예술적, 정치적, 기술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라드의 < 아틀라스 그룹 >은 1975부터 1991년까지 대략 15년간지속된 레바논 내전에 관한 기록이다. 레바논 국내외의 다양한 기록물 보관소에서 수집된 아카이브의 사진, 텍스트, 비디오 등은 그러나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그러한 사실들을 다양한 상상의 인과관계 속에서 재구성한허구적 내러티브에 기반한다. 라드는 이 조작된 아카이브를 통해 레바논 내전에대한 역사의 오인과 망각, 비극과 외상의 지속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라드의 허구적 아카이브에서 사진 이미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사진들은 고유한 매체적 특성인 인덱스성(지시/지표적 기호기능)에 의해 라드의 역사적 상상물들에 어떤 사실적 개연성(현전적 지시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개연성은 <아틀라스 그룹>이 소통되는 디지털적 공간에서 더욱 유의미하고 광범위한 파급력을 생산한다. 반복과 확장, 상호성과 가상성에 기반하는 디지털 기술-이미지들은 라드의 조작된 기억들을 무한한 데이터의 연접기능에 편입시킴으로써, 허구를 그럴듯한 것으로, 소통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조르쥬 디디-위베르만이 ‘지시성의 환상(fantasy of referentiality)’이라고 부른이러한 인덱스의 디지털적 확장이 라드의 아카이브 전반에 드러난다. 논자는 실재보다 더한 실재감으로 망실된 역사적 외상을 집요히 지시하는 이러한 디지털적인덱스들을 파라-인덱스(para-index)라는 용어로 부를 것이다. 파라-인덱스란 디지털이라는 기호 체계의 보다 큰 몸 안에 기생(parasite)하는 지표적 기호이자, 사진-인덱스의 분열과 편집증적(paranoid) 귀환 속에서 기능하는 심리적 기호이다. 논자는 이 용어를 통해 라드의 디지털 아카이브가 어떻게 레바논의 역사적외상을 망각과 오인으로부터 귀환시키는지, 그리고 이러한 귀환이 어떻게 한 국가의 여전한 외상을 징후화하고 치유를 예기하게 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Focusing on the Atlas Group (1989-2004), a digital archive project created by Lebanese American media artist, Walid Raad, this paper explores artistic, political, and technological possibilities of the digital archive that has risen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mediums in the 21st century art world. The Atlas Group deals mainly with the Lebanese Civil Wars lasting from 1975 to 1991. Using various pictures, notes and videos collected (and fabricated) from in and outside of Lebanon, the archive constructs an imaginary architecture based on fictional narratives about the country’s traumatic past. This fictional archive thus reveals, with more intense emotional impacts, ruptures in history deepened by oblivion, misunderstanding, and perpetual trauma. Photography (or photographic imagery) tak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Raad’s fiction: photographs turn the fiction into something more than a fiction through the proximity of their indexical force, or through ‘the mystic alchemy’ of what Roland Barthes called “there-has-been,” the noema of photography. Digital, where Raad’s archive perches on, enlarges this proximity, because the digital makes the fictions plausible and communicable by repeating them, circulating them, proximating them, or virtualizing them. What George Didi-Huberman calls as “the fantasy of referentiality,” now expanding even further in digital, is shown all over the Raad’s archive. Such fantasy-indexes fixed in digital can arguably be called the ‘para-index,’ as an indexical sign hatching and living in the bigger body of digital sign system (like a parasite), or as a psychic reference to what has been gone that functions in its paranoiac return. With this para-indexical framework, I will examine how Raad’s digital archive brings back the forgotten history in its fictional return, and how this return symptomizes (and thus prefigures the remedy) the unfinished trauma of Lebanon.

      • KCI등재후보

        후기 사진 시대, 사진 예술의 향방

        최종철 ( Jong Chul Choi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4

        본 논문의 목적은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들어 더욱 첨예해진 후기 사진 시대에관한 담론들을 되짚어보고, 이를 통해 동시대의 사진 예술의 향방을 가늠해보는 것이다. 윌리엄 미첼(William J. Mitchell)이나 프레드 리천(Fred Ritchin) 등과 같은 시각 문화 이론가들에 의해 주장된 후기 사진 시대(the Post PhotographicEra)라는 용어는 디지털 이미지 구현 기술의 괄목할 만한 성장과 이 기술의 전방위적 적용 속에서, 사진가들이 진실성이나 객관성 등과 같은 사진의 전통적 가치보다, 이러한 가치들의 해체와 재정립에 몰두하는 시대를 지칭한다. 21세기의 첫 십년은 후기 사진의 담론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기간동안 사진의 전통적 가치 . 복제성, 현전성, 객관성, 인덱스로서의 기호적 가치 등 . 에 대한 해체가 다양한 디지털 기술들의 지원 속에서 더욱 활발히 진행되었을 뿐 만 아니라, 이러한 전통적 가치의 붕괴를 사진의 종말이 아닌 그것의 확장으로 재정립하기 위한 몇가지 주목할만한 담론들이 정초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후기 사진 시대의 이론과 실천들을 전통적 사진 이론과의 관계 속에서 고찰할 것이며, 이러한 고찰들을 바탕으로 후기 사진 시대의 사진 예술이 어떻게 다양한 기술적, 문화적, 역사적 요구들을 충족시키는지 살펴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oretical grounds of the post-photographic era, and through this, maps out a new direction of contemporary photographic art. The post-photographic era refers to the time in which photogrpahers attempt to deconstruct photography’s aged convention (based on authenticity and objectivity), and in turn reestablish it, in the aid of digital technologies.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was a groundbreaking moment for the post-photographic discourse: during this time, not only was the deconstruction of photogrpahy’s traditional values accelerated, but some remarkable theoretical articualtions were made, leading photography from its doom to a new expanded field. (William J. Mitchell and Fred Ritchin are the names who contributed to this expansion) This paper will introduce some of the most symptomatic changes in photographic discourses, looking specfically into the ways in which the post-photographic art fulfills such various cultural demands coming from the rapid digitalization of the world.

      • KCI등재

        홍성담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그 불편함의 미학적 정당성

        최종철(Choi, Jong Chul) 현대미술학회 2016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0 No.2

        본 논문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인물이자 민중미술의 대표적 작가인 홍성담의 최근작들에 대한 미학적 분석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의 분석 대상이 되는 홍성담의 최근작들이란 <세월오월>, <골든타임>, <김기종의 칼날>과 같이 최근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는 그림들이다. 본 논문은 그러나 이러한 그림들이 근거하는 현실 정치의 혼탁한 배경보다, 홍성담의 예술세계를 관류하는 미학적(형식적) 토대에 집중하고자 하며, 이러한 토대를 러시아의 이론가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 1895-1975)의 카니발 이론(carnivalesque)으로부터 정초하고 한다. 르네상스 시대의 소설가 프랑수와 라블레(Francois Rabelais, 1494-1553)에 관한 연구에서 시작된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은 도스토예프스키 소설의 미학적 근거를 설명하는 틀로 활용되면서 민중성에 근거하는 러시아 문예학의 한 전범이 된다. 바흐친은 특히 민중성의 근원을 중세와 초기 르네상스의 귀족적, 종교적 엄숙주의에 대항하는 민중적 의식(카니발)으로부터 찾고 있으며, 이는 또한 웃음과 조롱, 전복과 격하를 기본으로 하는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을 통해 실현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홍성담의 예술세계가 바로 이러한 카니발적 세계관과 양식으로부터 유래하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즉, <세월오월>이나 <김기종의 칼날>, <골든타임> 등에서 드러나는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들과 생물학적 몸의 재현, 권위와 질서에 대한 조롱과 파괴, 그리고 무엇보다 축제에 참여하는 민중의 모습은 동시대의 정치적 현실에 대한 비판적 풍자 형식일 뿐만 아니라, 오랜 역사를 가진 보편적 민중서사의 일부이며, 이를 통해 현실은 카니발의 대화주의와 다성성(polyphony)의 세계 속에서 사유되고 이해된다. 그러나 홍성담의 카니발적 양식은 그것이 역사적 사태들에 직언하는 만큼, 바로 그 역사에 종속될 것인데, 이는 최근 그의 그림들이, 그리고 <민족해방운동사>와 같은 그의 전작들이 처했던 수난(그의 예술의 중요한 몫이기도 한) 속에서 분명해 진다. 요컨대, 홍성담의 근작들은 파국의 카니발을 현시하며 동시에 수난을 예기하는데, 이는 민중의식의 지난한 역사와 궤적을 함께하며 오늘날 민중미술이 처한 위기와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본 논문은 정치적 논란에 의해 가려진 홍성담 예술의 미학적 배경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홍성담의 그림들에 대한 이해는 정치적 판단이 아니라 미학적 판단, 그러나 결국 그림들의 정치적인 태도까지 포괄할 것인, 바로 그러한 미학적 판단의 대상이 되어야 함을 주장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cent paintings by Hong Sung-Dam, an iconic figure of Korea’s democratic movement and a leading artist of the (Post) Minjung art.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focus on Hong’s controversial works such as <Sewol Owol (2014)>, <Golden Time 2012>, or <Kim Ki-Jong’s Slashing (2015)> that have stirred fierce debates for the painting’s overlaid political cynicism and hateful depiction of current political leaders. Distanced from the transcendental, abstractive, and minimal currency of the 80s’ mainstream Korean art, Hong’ arts from the outset have always been charged with festivity, utopianism, satirical trope, and grotesque imageries, as a way of vivifying his political consciousness. Moreover, as we can see from his early woodcut prints and large banners, there is always a depiction of people fighting yet harmonizing, furious yet cheerful, wounded yet hopeful. This ambivalence unraveled in secular festivity finds its meaningful analogy to the theory of the carnivalesque/grotesque realism Mikhail Bakhtin articulated in his remarkable study on François Rabelais (Rabelais and His World , 1968). In this study, Bakhtin seeks to recover the revolutionary force of the Renaissance secular culture – the carnival: its laughter, mockeries, abjections, and grotesques, as a way of resisting the aristocratic and religious pressure of the ages. Bakhtin claims that Rablais’ use of grotesque images in 『Gargantua and Pantagruel』 results from this early tradition, and therein prefigures a shift in Russian literature from Tolstoian elitism to Dostoevsky"s polyphony, dialogism. Based on this analogy, this paper will attempt to find the aesthetic essence of Hong’s provocative paintings that are arguably grounded in Bakhtin’s grotesque realism. It is to argue that the destructive impulse in Hong’s art bears no actual political thereat; instead it unfolds a unique expression that constructs dystopia and utopia simultaneously, in order to create a dialogue between ideologies, between classes, between politics and aesthetics, as he envisioned in the ruined yet splendid streets of Gwangju long a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