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한 한국 해양산업 성장기여요인 분석

        최종일 ( Jong Il Choe ),이영수 ( Young Soo Lee ),양현석 ( Hyun Seok Yang ),서환주 ( Hwan Joo Seo ) 한국질서경제학회 2021 질서경제저널 Vol.24 No.2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6년까지의 장기 해양수산표를 작성하여, 해양수산업의 총산출 증가에 대한 요인별 성장기여율을 국내 최종수요, 수출수요, 최종재 수입대체, 중간재 수입대체, 기술변화(국산 중간재 수요)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성장요인을 이처럼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해양수산업의 성장은 수출수요 증대가 주도하였으며, 이어서 국내최종수요와 기술변화가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종재 및 중간재 수입대체는 해양수산업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업 세부 산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해운항만업,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업, 해양수산기자재 제조업 부문에서는 성장요인 중 수출수요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산물생산업, 수산물가공업, 수산물 유통업, 해양레저관광업, 해양수산관련서비스업 부문에서는 국내 최종수요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출수요의 성장에 대한 기여가 큰 해양수산업의 총산출 성장을 위해서는 해운항만업,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수리업, 해양수산 기자재 제조업 부문의 경우에는 수출증가를 위한 국제 경쟁력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반면에 국내최종수요의 성장에 대한 기여가 큰 수산물생산, 가공, 유통업, 해양수산레저관광업, 해양수산 관련 서비스업, 해양자원개발 및 건설업 등의 경우에는 내수 진작을 위한 정책이 마련되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prepared an input-output table for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from 1995 to 2016, and analyzed the contribution rates of five factors for the increase in total output of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domestic final demand and export demand, import substitution for final goods, import substitution for intermediate goods, and technological change (demand for domestic intermediate good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of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was led by the increase in export demand, followed by the final domestic demand and technological change. However, import substitutions for final goods and intermediate good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growth of the maritime and fisheries industry. Looking at the sub-industry of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export demand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ies, building and repair of Ship and offshore plant industries, and the marine and fishery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es. However, in the aquatic product industry, aquatic processing industry, aquatic distribution business, marine leisure tourism industry, and marine and fishery-related service industry, the final domestic demand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total output of the marine and fishery industry, it is judged that the first industrial group needs a policy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increase expor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group,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policy to boost domestic dema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정보화의 효과적인 추진 방안 연구: 지역정보화 기본계획의 현황과 기능강화를 중심으로

        최종석(崔鍾碩),박영민(朴英珉),이현웅(李賢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4 No.4

        지역정보화의 분야는 지방단위에서 추진하는 정보화를 총칭하는 용어로써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정보화라고 할 수 있고, 따라서 지역정보화 역시 보충성의 원칙에 입각해서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지역주민들을 위해 추진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중복투자의 방지, 예산의 효율이라는 명분아래 지역에서의 정보화가 중앙정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정부는 4차 산업혁명 그리고 한국판 뉴딜이라는 ICT 기반의 성장 축을 통해 지역의 새로운 경제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고 있다. 즉, 오히려 과거에 비해 자치단체의 현실을 더욱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사업의 발굴과 추진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정보화를 이끌어가는 지역정보화 기본계획의 중요도가 더욱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되는 환경에서 지금까지 추진된 지역정보화 기본계획의 수립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도출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NVivo 12.0을 통해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지역정보화 기본계획의 수립에 있어 법적근거의 미흡, 단체장 임기와의 불일치, 타 부서의 무관심과 비협조, 정보화업무에 대한 인지 미흡과 업무증가에 대한 우려가 업무 자체의 문제로 나타났다. 더불어 중앙정부의 지나친 간섭, ICT 기술의 급격한 변화, 4차 산업혁명과 같은 중앙정책의 이해 부족 등이 외부 환경적 제약으로 나타났다. 정보화를 통한 지방의 성장기반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정보화 기본계획이 가진 기능의 실제적인 효율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몇 가지 노출된 제약들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하며, 특히 법률적 근거의 확보, 지역정보화 대상기간 및 대상범위 조정, 최신 ICT에 대한 이해 증진, 현업부서와의 협조 등 다양한 부분에서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Regional informatization is the informatization promoted by the local level, and is informatization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Therefore, regional informatization should also be promoted for local residents by itself based on the principle of supplementality. However, regional informatization is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because of prevention of duplicate investment and efficiency of budget. Recently, the central government is trying to build a new economic environment in the region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CT-based growth axis called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aster plan for regional informatization, which has been promoted so far, and suggested several measur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using NVivo 12.0.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aster plan for regional informatization,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ack of legal basis, inconsistency with the term of office of the group leader, indifference and non-cooperation of other departments, lack of awareness of informatization work, and concerns about the increase in work. In addition, excessive interfere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rapid changes in ICT technology,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central policy appeared as external environmental constraints.

      • KCI등재

        높은 주파수대에서 사용 가능한 고품질 능동 인덕터 개발에 관한 연구

        최종은,이상호,박정훈,나극환,박익모,신철재 한국전자파학회 200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논문에서는 MMlC 설계에서 필요한 능동 인덕터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가변 능동 인덕터는 궤환 커패시터와 궤환 저항을 가진 종속접속된 2개의 FET로 구성을 하였다. 제안된 가변 능동 인덕터는 낮은 직렬 저항을 가져서 상대적으로 높은 Q 값을 얻을 수 있고 높은 주파수대에서 사용이 가능한 우수한 동작 특성 을 가진다. 인덕턴스 값은 궤환 커패시터와 궤환 저항 및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변화되어지며 궤환 저항과 회 로내 병렬 저항을 가변하였을 때 1 GHz에서 15 GHz까지 범위에서 인덕턴스 값이 0.2nH에서 L7nH까지 변화하 였다. 또한 제안된 능동 인덕터를 사용하여 대역통과 필터를 설계하였을 때 삽입손실은 약 0.4 dB이고 반사 손실은 20dB 이상의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method of designing an active inductor for MMIC is proposed. The proposed tunable active inductor is composed of a cascade FET with feedback capacitors and resistors. Because of a very low series resistance in the proposed inductor, a very high Q factor can be obtained. Also it has an excellent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high frequency band. The inductance value can be changed by controlling feedback capacitors, resistors and a bias voltage respectively. When the feedback resistor and parallel resistor within circuits are varied, the inductance value is changed from 0.2 nH to 1.7 nH in the range 1 to 15 GHz. Also we designed bandpass filter using the proposed active inductor and it shows the insertion loss of 0.4 dB and return loss, 20 dB.

      • KCI등재

        행정문서 재구성을 통해본 일본군 ‘위안부’제도의 성립과 운용

        최종길(崔鐘吉)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1 No.-

        문서의 수·발신 관계를 통해 위안소 설치와 일본군 ‘위안부’ 모집에 관한 내용을 합리적으로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하급부대는 현지 사령부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위안소 설치를 신청한다. 이러한 신청이 있으면, 사령부는 이를 심의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위안소 설치를 허가한다. 이어서 사령부는 이러한 내용을 육군성 징모과장에게 보고하고 협조를 구한다. 그러면 파견군 일본군 ‘위안부’ 문제 담당자와 육군성 징모과장은 내무성과 외무성에 일본군 ‘위안부’ 모집 알선과 도항에 관련된 협조와 편의를 부탁하고 실무자 즉 현지 사령부와 참모 본무 제1과 제2부의 일본군 ‘위안부’ 담당자에게 이러한 업무를 추진할 것을 명령한다. 그러면 군의 실무 담당자들은 헌병대나 경찰을 통해 민간업자에게 일본군 ‘위안부’ 모집을 위탁한다. 한편 협조를 요청받은 내무성이나 외무성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담당자는 군에서 전달한 협조사항을 상부에 보고하고 처리지침을 상신한다. 이러한 내용을 보고받은 내무성과 외무성의 상급자는 지침을 검토하고 수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모집과 도항업무에 관련된 협조를 실행할 것을 지시한다. 그러면 양성의 담당자는 군의 실무 담당자인 참모본무 제1부 제2과와 현지 사령부 실무 담당자에게 결과 통지와 함께 관련 연락을 취한다. 이처럼 위안소 설치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군이 신청하고 심의하여 결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일본군 ‘위안부’를 모집·도항시키는 업무는 내무성과 외무성이 협조하였다는 사실을 합리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즉, 위안소의 설치와 일본군 ‘위안부’ 모집·도항은 일본정부의 행정체계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본정부의 법적 책임이 존재한다.

      • (영상 기반) 백혈구 감별 기기 개발

        최종호(Jongho Choi),이주선(Jusun Lee),김영기(Youngki Kim),정평수(Pyeung-Soo Jeong)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본 논문은 (영상 기반) 백혈구(WBC, White Blood Cell) 감별 기기 개발을 제안하며, 기기는 영상 인터페이스, {검출, 감별}부로 구성한다. 먼저, 영상 인터페이스 부 내에, {고속, 고해상도} 산업용 카메라와 트리거(Trigger) 조명을 이용하여 백혈구 영상의 분해능을 향상 시키고, ISP(Image Signal Processing)을 적용하여, 영상을 보정한다. 백혈구 검출은 {저,고}배율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저배율 내에) 백혈구 후보를 검출한 후에, 고배율로 이동하여 최종적인 백혈구를 검출한다. 여기서 최종적인 백혈구는 AR(Artifact Cell)을 제외한 {정상, 비정상} 백혈구를 의미한다. 크로핑(Cropping)된 백혈구 영역 내에, 단일기반 영역 분할을 수행하고, (분할된 영상 내에)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1]와 Random Forest[2]을 이용하여 14-클래스의 백혈구를 감별한다. 성능 검증은 TPR(True Positive Rate)방식으로, 정확도를 평가하였고, 처리시간은 (S/W 기준) 각각의 모듈 별로 측정하였다. 결론적으로, 95% 이상의 성능으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