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란만의 해수 및 굴의 세균학적 연구

        최종덕(Jong Duck Choi),정우건(Woo Geon Jeong),김풍호(Poong Ho Kim) 한국수산과학회 199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1 No.3

        A bacteriological study of sea water and oyster in Charan Bay was conducted to evaluate sanitary conditions of the bay and compliance of waters with the recommended bacteriological criteria for the designated area of shellfish cultivation.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23 sampling stations(Fig. 1 and Fig. 2) established once a month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7. During the study period, temperature ranged from 4.7 to 25.6℃, transparency ranged from 3.3 to 6.2m, chemical oxygen demand ranged from 1.67 to 2.18 ㎎/ℓ, dissolved oxygen demand ranged from 5.4 to 10.0 ㎎/ℓ, dissolved nitrogen ranged from 1.65 to 7.88㎍-at/ℓ, phosphate ranged from 0.15 to 1.16㎍-at/ℓ, Chlorophyll-a ranged from 0,95 to 12.69 ㎎/ℓ, respectively. The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MPN`s of sea water were ranged from <1.8∼1,600 and <1.8∼540, respectively. The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MPN`s of oysters were ranged from <18∼16,000 and <18∼1,400, respectively. The viable cell counts in oyster ranged from 1.5×10^2 to 7.5×10^7. The bacteriological criteria of sea water in shellfish growing area should be less than 70 per 100 ㎖ of sea water for median value of coliform MPN, and below 10% of the samples .which contain over than 230 for coliform MPN or over than 43 for fecal coliform MPN. The sea water from 432 samples were complied water coliform criteria recommended far designated shellfish growing area, The coliform group, fecal coliform, classification of coliform group with IMViC reactions and pathogenic vibrios were analyzed. During the study period, infectious bacteria such as Vibrio cholerae, Salmonella sp. and were not detected from the samples, but detection ratios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cus were 7∼17% summer months.

      • KCI등재

        전갱이의 알칼리 수리미 겔 제조를 위한 전분 및 비근육 단백질의 최적화

        최종덕(Jong-Duck Choi),최영준(Yeung Joon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7

        전갱이 육으로 제조한 알칼리 수리미의 가열 겔 강도 증강을 위한 최적 전분 및 비근육 단백질의 선정과 이들 성분의 최적 첨가량을 설정하기 위해 2수준 fractional factorial과 mixture design을 실시하였으며, 반응 값은 punch test에 의한 물성과 색차계로 색을 측정하였다. 감자, 옥수수 및 밀전분은 파괴 강도 값을 감소시키지만 변형 값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혈청 단백질은 파괴강도 값을 크게 증가시킨 반면 분말 난백 단백질은 다소 효과가 인정되었고 유장단백질과 대두 농축 단백질은 효과가 없었다. 그리고 소 혈청 단백질은 변형값을 다소 증가시킨 반면 분말 난백 단백질을 크게 감소시켰다. 감자와 옥수수 전분과 비근육 단백질은 백색도를 다소 개선하였다. 파괴강도 110 g 이상, 변형 값 4.2 mm 이상, 백색도 22.5 이상을 보이는 수리미, 옥수수전분 및 소혈청의 최적 혼합 비율은 각각 89.5~90.0%, 4.6~6.0%, 4.3~5.4%의 범위였다. 전분과 비근육 단백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전갱이 알칼리 수리미의 가열 겔이 수세 수리미 겔에 비하여 균일한 단백질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The two-level full factorial and mixture design were used to screen ingredient typ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gredients on properties of surimi gel from jack mackerel using measurements of breaking forces, deformation values and color. The addition of starch decreased breaking force significantly (p<0.05), but did not affect deformation. The bovine plasma protein (BPP) among non-muscle proteins increased a breaking force and deformation value. However, the dried egg white increased slightly a breaking force, and decreased greatly a deformation value. The breaking force of gel was increased, but deformation valu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p<0.05) with adding BPP. The whiteness of gel was slightly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corn starch and BPP. At 78% moisture, the optimum ratios of ingredients were 89.5~90.0% for alkali surimi, 4.6~6.0% for corn starch and 4.3~5.4% for BPP to obtain above 110 g for a breaking force, 4.2 mm for a deformation, and 22.5 for a whiteness.

      • SCOPUSKCI등재

        숙시닐화가 Aspergillus fumigatus 균체단백질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종덕(Jong-Duck Choi),김정균(Jeong-Gyun Kim),조성환(Sung-Hwan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1 No.5

        숙시닐화가 균체 단백질 (Aspergillus fumigatus)의 여러가지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균체 단백질은 succinic anhydride 2.5와 10% 첨가에 20.7과 85.3%가 숙시닐화되었다. 숙시닐화된 균체 단백질은 흡광도, 핵산 및 탄수화물의 양은 감소하였으나 단백질소, 단백질 추출율은 증가되었다. 숙시닐화된 균체 단백질의 질소용해도는 milk casein과 soy flour보다 32와 51% 증가되었다. 유화활성도와 유화 안정성은 균체 단백질의 숙시닐화 비율에 따라서 증가 되었으며, 80% 숙시닐화된 균체 단백질은 약 8.4배 증가융율을 나타내어 숙시닐화를 증가시킴에 따라 유화활성도와 유화안정성이 증가 되었다. 숙시닐화 시킨 균체 단백질은 숙시닐화 시키지 않는 균체 단백질, milk casein 및 soy flour에 비하여 향상된 기능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The influence of succinylation on several functional properties of fungal protein (Aspergillus fumigatus) was investigated. Fungal protein was succinylated to 20.7 and 85.3% by addition of 2.5 and 10% succinic anhydride, respectively. Succinylated fungal protein decreased the absorbance at 260㎚, nucleic acid and carbohydrate, but increased the proteinous nitrogen and protein extraction in fungal protein. Succinylation had an enhancing effect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as much as the degree of it was increased. Oil retention of succinylated fungal protein was higher about from two to five times than those of milk casein. Nitrogen solubility of succinylated fungal protein was increased to 32 and 51% than that of milk casein and soy flour. Emulsifying activity and stability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uccinylated degree of fungal protein. As the result of succinylation increase more than 80%, emulsifying activity increased about 8.4 times. In conclusion, succinylated fungal protein improved functional properties, compared with nonsuccinylated fungal protein, milk casein and soy flour.

      • SCOPUSKCI등재

        Aspergillus fumigatus균체의 화학적 성분과 영양학적 평가

        최종덕(Jong-Duck Choi),조성환(Sung-Hwan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Aspergillus fumigatus균체의 화학적 성분조성을 분석하고, 이들 균체단백질과 숙시닐화시킨 균체단백질을 공시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가축사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일반성분은 건조 중량으로 조단백질 48.5%, 조지방 2.9%, 탄수화물 44.7% 및 조회분 3.4%로 나타나 다른 곰팡이들의 성분과 비슷하였다. 지질의 조성은 중성지질 95.7%, 당지질 2.1% 및 인지질 2.2%로 대부분 중성지질이었고, 구성지방산은 linoleic acid 27.9%, oleic acid 24.6%, palmitic acid 15.4% 및 linolenic acid 10.6%였다. 균체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methionine과 cystem은 다소 적었으나,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및 lysine은 많은 편이었으며, 동물의 성장에 필요한 제반 주요 성분들을 고루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사양실험에서 사료 소비율은 식이 후 2, 3일 동안 공급된 사료의 20% 이하에 지나지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소비량이 증가하여 5일째 되는 날에는 80%에 달하였고, 30일의 사양말기에 실험사료를 공급받는 쥐들은 대조구 사료를 식이한 쥐들의 체중증가와 비교할 만한 정도로 체중증가를 보여, 새로운 사료와 숙시닐화시킨 단백질에도 쉽게 적응하여 좋은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단백질 효율비는 대조구의 3.42±0.15에 비하여 균체 및 숙시닐화한 균체단백질이 각각 3.40±0.43 및 3.38±0.11로 나타나서, 단백질효율은 균체단백질 사료를 식이한 쥐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며, 고단백질 공급원으로서 대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s was designed to evaluated the chemical components and nutrition of Aspergillus fumigatus cells. This dried fungal mycellia was consist of crude protein 48.5%, crude lipid 2.9%, carbohydrate 44.7% and total ash 3.4%,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 of total lipid were 27.9% of linoleic acid, 24.6% of oleic acid, 15.4% of palmitic acid and 10.6% of linolenic acid. Amino acid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otein was rich i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but poor in cystein, methionine, histidine. The fungal cake of Aspergillus fumigatus, when dried and specially processed, has been found to serve as a source of protein in place of soybean meal in the diet of experimental mice. Animal were fed a control diet first, and an in cease in weight proved the formulation to be satisfactory. At the end of a 30-day period, the experimental mice showed increases in weight comparable to those of the control animals. The net protein efficiency ratio for the control diet was 3.42±0.15 and the fungal protein and succinylated fungal protein with DL-methionine they were 3.12±0.39 and 2.98±0.06 respectively. This supports the view that dried and succinylated fungal protein can be substituted as a protein source.

      • KCI등재

        생물학과 의학의 상관성

        최종덕(Jong-duck Choi) 한국의철학회 2008 의철학연구 Vol.6 No.-

        기관의 고유한 특징은 특정 단백질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기 때문에 생긴다. 특정 기능으로 발달할 원래 세포는 특정 기능 유전자만 풀고 나머지 유전자는 히스톤 단백질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된다. 예를 들어 심장 세포는 심장 기능 유전자 열쇠만 풀고 나머지는 단단히 잠가둔 채 있다. 그러나 그 억제가 조절기능을 벗어나 그냥 잠가둔 열쇠가 풀리면 암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된다. 거꾸로 말해서 그 억제된 열쇠를 인위적으로 풀면 모든 세포를 복제 할 수 있다는 이론적 가능성이 된다. 우리는 그 발현의 시점 그리고 발현의 조건을 발생학적 “신호”라고 부른다. 특히 나는 이 신호 개념을 공간적 신호 개념과 시간적 신호 개념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신호 연구는 암 치료와 같은 현대의 학에서 필수의 연구영역이지만 철학적으로도 중요한 인식론적 패러다임을 갖는다. 특히 진화생물학적 시간의 의미를 배태한 시간적 발생 신호 개념을 수용할 때 그 철학적 기초연구가 탄탄해질 수 있다고 본다. 그런 시간적 신호 개념을 통해서 비로소 실질적인 의료 적용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Peculiar traits of organic occurs because of difference that gene expression by specification protein is controlled. Original embryo cell to develop by specification function opened the expression key of the specification function gene and let the remainder gene be closed by histone protein. For example, heart cell opens heart function gene key and there is remainder locking hard. If the expression control is out of order, the broken expression but become cause of disease such as cancer. It furthermore deals with artificial expression. It gets into the theoretical possibility that can reproduce embryo cells to direction that own want if solve the inhibited key artificially speaking conversely. We call the visual point and conditions of revelation of expression developmental biological “Signal”. I divide the signal temporal signal and spatial signal. The temporal signal research is not only the indispensable area of the biomedicine such as cancer treatment, but also a important paradigm of philosophical epistemology.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tend the argument that the temporal signal concept could be accepted through the developmental time conceived the history of life evolution. I’ll claim furthermore that medical treatment application could be realized through such spatial signal concep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영항 해수의 세균학적 및 이화학적 수질

        최종덕(Jong Duck Choi),정우건(Woo Geon Jeong)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6

        통영항 내의 해수 및 저질의 물리 화학적 해양환경 특성과 해수의 위생지표세균을 비롯한 병원성 세균의 시험결과가 횟집의 수족관의 세균학적 수질에 적합한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조사기간중 통영항 해수는 수온 6.8℃∼25.2℃, 투명도 1.0∼2.5 m, 화학적산소요구량 1.79∼2.41 ㎎/ℓ, 용존산소 5.7∼10.1 ㎎/ℓ, 용존 질소 6.59∼10.53 ㎍-at/ℓ, 인산염 0.56∼1.01 ㎍-at/ℓ, chlorophyll-a는 1.21∼9.54 ㎎/㎥ 범위였으며 염분농도는 30.11∼31.47‰였다. 통영항 해수의 생균수는 조사기간 중 ㎖당 log수가 4.2∼6.8 (3.0×10⁴∼6.9×10^6 CFU/㎖) 범위에 평균 5.3이었다. 월별로는 1∼3월이 적었고, 7∼9월이 많았다. 통영항 내 조사해수의 84.3%와 93.1%가 패류수출해역 수질기준 중 total coliform group과 fecal coliform group의 기준치를 각각 초과하였다. 대장균군형은 Escherichia coli group이 66.1%를 차지하였고, 그 중 Type I이 56.5%, Citrobacter freundii group이 11.0%, Enterobacter aerogenes group이 9.69%, 기타 29균주로 13.3%에 해당하였다. 그런데 전형적인 온혈동물의 장관유래균인 E. coli type I이 전체의 56.5%를 차지하였다. 통영항내 해수에서 Salmonella sp. 나 Shigella sp. 및 Vibrio cholerae O1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V. parahaemplyticus, V. vulnificus 및 V. cholerae non-O1 등의 검출율은 10.4∼35.4%에 달하였다. The bacteriological and physiochemical analysis of seawater in Tongyeong harbor was conducted to evaluate sanitary conditions.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6 stations established once a month from January to December, 2000. During the study period, the ranges of temperature, transparency, chemical oxygen demand, dissolved oxygen, dissolved nitrogen, phosphate and chlorophyll-a were 6.8∼25.2℃, 1.0∼2.5 m 1.79∼2.41 ㎎/ℓ, 5.7∼10.1 ㎎/ℓ, 6.59∼10.53,㎍-at/ℓ, 0.56∼1.01 ㎍-at/ℓ and 1.21∼9.54 ㎎/㎥, respectively. The viable cell counts of seawater in Tongyeong harbor ranged from 3.0 ×10⁴ CFU/㎖ to 6.9 ×10^6 CFU/㎖. The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MPN`s of the samples were ranged 23∼4,600 MPN/100 ㎖ (means 540 MPN/100 ㎖) and 11∼1,600 MPN/100 ㎖ (means 210 MPN/100 ㎖), respectively. The coliform group was classified with IMViC reactions and pathogenic vibrios were analyzed. Two hundred eighteen strains that were obtained from seawater samples in Tongyeong harbor represented Escherichia coli group, 66.1%; Citrobacter freundii group, 11.0%; Enterobacter aerogenes, 9.6%; and unknown, 13.3%,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 infectious bacteria such as vibrio cholerae Ol, Salmonella sp. and Shigella sp. were not detected from the samples, but detection ratios of v. parahaemolyticus, v. cholerae non-Ol and v. vulnificus were 10.0∼3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