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계열 자료에서의 특이치 발견

        최정인,엄인옥,조형준,Choi, Jeong In,Um, In Ok,Choa, Hyung Jun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5

        This study suggests an outlier detection algorithm that uses quantile autoregressive model in time series data, eventually applying it to actual stock manipulation cases by comparing its performance to existing methods. Studies on outlier detection have traditionally been conducted mostly in general data and those in time series data are insufficient. They have also been limited to a parametric model, which is not convenient as it is complicated with an analysis that takes a long time. Thus, we suggest a new algorithm of outlier detection in time series data and through various simulations, compare it to existing algorithms. Especially, the outlier detection algorithm in time series data can be useful in finding stock manipulation. If stock price which had a certain pattern goes out of flow and generates an outlier, it can be due to intentional intervention and manipulation. We examined how fast the model can detect stock manipulations by applying it to actual stock manipulation cases. 본 논문의 목표는 분위수 자기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시계열 자료에서 특이치를 발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기존의 방법들과 그 성능을 비교하여 실제 주가 조작 사례에 적용해 보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특이치 발견 연구는 대부분 일반적인 데이터 형태에서만 있어왔기 때문에 시계열 데이터에서의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또한 모수적인 방법에만 제한되었는데, 모수적 모형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분석 시간도 길기 때문에 편리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위수 자기회귀모형을 활용한 특이치 발견 알고리즘을 새롭게 제시하고, 다양한 경우의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하도록 한다. 특히 시계열 자료에서의 특이치 발견은 주가 조작을 적발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시간에 따라 관측되던 주가가 갑자기 그 동안의 흐름에서 벗어나 특이치로 발견되었다면 혹시 인위적인 개입으로 조작된 것은 아닌지 의심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 주가 조작 사례에 적용해 봄으로써 얼마나 빠른 시일 내에 주가 조작을 적발해 낼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이혼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감소와 부모-자녀 간 관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최정인,김상철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이혼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S시 G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여자 청소년으로 높은 우울 성향을 보인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4년 4월 7일과 2014년 4월 8일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2014년 4월 14일 ~ 2014년 9월 25일까지 1회 60분으로 총 15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는 2014년 9월 30일에 실시하였다. 우울과자아존중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검사(KMPI 간편형 검사도구),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 행동변화, 가계도 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과 자아존중감 변화양상에서 우울점수가 50점 감소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67점이 증가하였다. 둘째,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에서우울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셋째, 행동관찰에 의한 변화 양상에서는 원만한 교우관계등으로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알 수 있었다. 넷째, 가계도 변화 양상에서 가족 간의 친밀도가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이혼가정 청소년의 우울감소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art therapy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anadolescent from a divorced family.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second year female student whoshowed a high tendency of depression. She was attending a high school in an urban setting. After a pretestwas given on April 7th and 8th, 2014, the participant received a total of 15 art therapy sessions from April14th, 2014 through September 25th, 2014. Each session lasted one hour. A posttest was given on September30th, 2014. For an analysis, a questionnaire (a mini version of KMPI), the House-Tree-Person test, behaviorchange, and the family tree test were given to the participant before and after the art therapy programfor a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ecrease of 50 points in the depressionwas found along with an increase of 67 points in th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Second, theHouse-Tree-Person test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Third, the analysis ofbehavior change showed good peer relationship, an indication of a positive change in the depression andself-esteem. Fourth, the family tree test showed family intimacy impro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 from a divorced family.

      • KCI등재

        영어와 한국어 종결성 인식 비교: 명사구의 한정성을 중심으로

        최정인 언어과학회 2019 언어과학연구 Vol.0 No.90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Korean English learners and native English speakers perceive telicity in English and Korean. Two hundred and forty-one Korean English learners and thirty seven native English spea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types of telicity experiment(a reading test and a writing test) were conducted o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three groups of Korean English learners who were classified by their English proficienc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how Korean English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distinguish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noun phrase types, and showed that the way most Korean English speakers interpret the English verb phrases is influenced by the Korean language. In addition, Korean learners in the beginner group have more difficulty acquiring English verb phrases by the definiteness of noun phra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relevant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등급 함축 해석에 관한 연구 -‘some’과 ‘all’을 중심으로-

        최정인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科學硏究 Vol.47 No.-

        This study examines the scalar implicatures of Englis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y investigating whether Korean English learners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s in scalar implicative expressions. Eighty Korean students and thirteen native English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nglish proficiency of the Korean learners was evaluated through TOEIC scores, and they were divided into advanced and beginner learners. We employed a sentence evaluation task (SET) with pictures, and a time constraint was set for the task. Both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completed the SET with picture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English learners have a lower awareness of English scalar implicative expressions than native English speakers. Additionally, beginner learners with low English ability showed more difficulty than advanced learners with high English ability.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strategy of education for English scalar implicatures by examining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English learners' scalar implicatures, but also investigates the effect of time constraints on their interpretation of scalar implicatures.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등급 함축 표현에 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 참가한 실험 참여자들은 영어 원어민 화자 13명, 한국인 상급 영어 학습자 40명, 한국인 하급 영어 학습자 40명으로 모두 93명이다. 실험에 참여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능력은 TOEIC 점수에 따라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참여자의 영어 등급 함축 표현의 정확한 해석 정도를 논의하기 위해 Mazzaggio, Panizza와 Surian (2021)의 등급 함축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인 SET(Sentence Evaluation Task: 문장 평가 과제)를 사용하였고, 실험 참여자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신경 언어학적 요인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시간 제약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영어 원어민 화자보다 등급 함축 문장에서 화용론적 추론을 도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영어 능력이 낮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일수록 ‘some’을 부적절하게 사용한 문장 그룹에서 영어 등급 함축의 평가 척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등급 함축 표현에 대한 해석을 고찰함으로써 영어 등급 함축 표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및 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될뿐더러 시간 제약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등급 함축 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 잊혀질 권리의 기본권성 인정여부와 표현의 자유와의 충돌

        최정인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9 Law & technology Vol.15 No.4

        20세기 컴퓨터가 초래한 사회적 상황의 변동으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기본권으로 승인된 것처럼, 21세기에는 다양한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저장 및 공유됨으로써 발생하는 각종 피해를 구제하기 위하여 새로운 정보주체권으로서 잊혀질 권리를 기본권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 인격권으로부터 도출되는 잊혀질 권리는 타인이 인터넷상에 작성한 게시물에 대하여 명예 내지 인격을 회복하기 위하여 행사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타인의 표현의 자유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잊혀질 권리와 표현의 자유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규범조화적인 방법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음란한 표현 내지 리벤지 포르노물은 규범에 의하여 보호되지 아니하므로 잊혀질 권리가 우선한다고 할 것이고, 명예훼손적 표현에 대하여도 규범은 잊혀질 권리의 행사를 원칙적으로 보장한다. 그러나 명예훼손적 표현이라 할지라도 공적 인물이나 공적 관심사에 대한 표현으로서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국민의 감시기능이 필요하거나 민주사회를 유지하기 위하여 찬반토론이 요구되는 영역이므로 잊혀질 권리의 행사가 제한된다고 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미성년자의 신상정보를 포함하는 표현이거나 시간이 흘러 더 이상 표현을 계속할 이익이 없는 경우에는 잊혀질 권리가 행사될 수 있다. 잊혀질 권리의 행사는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관계에서만이 아니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인 개별 인터넷 사이트나 포털 사이트를 상대로도 가능하다. 인간에게는 괴로움을 잊기 위한 망각의 축복이 필요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타인의 기억과 기록을 무제한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다. 잊혀질 권리라고 하더라도 잊혀지지 않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표현의 자유에 양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는 공공의 이익이 있는 경우로만 한정될 것이고, 공익적 필요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인간은 정보로부터 자유로워질 권리가 있다. As societal changes induced by computers in the twentieth century led to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rivate information being recognized as a basic right, in the twenty-first century, a new form of information right, right to be forgotten, also needs to be recognized as a basic right in order to remedy various harms arising out of storage and sharing of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Right to be forgotten derived from general personal rights can be exercised to restore reputation and honor with regard to internet posts by others, but can conflict with others’ freedom of expression. When such conflicts occur, they should be resolved with practical concordance in mind. With regard to unprotected expressions, such as obscene speech and revenge pornography, the right to be forgotten should prevail, and with regard to libelous expression, exercise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should be permitted in principle. However, even for libelous expression, if the expression concerns a public figure or a public issue and is for a public benefit, it is an area that requires the citizens’ oversight and/or an exchange of ideas to maintain a democratic society, so an exercise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should be curtailed. In such cases, the right to be forgotten may still be exercised if the expression includes a minor’s personal information or the benefit to such expression no longer exists as a result of passage of time. The right to be forgotten may be exercised not only against individual users of internet services but also against internet website operators. Humans need the blessing of forgetting in order to move beyond past suffering, but cannot erase without limit others’ memories and records. Even the right to be forgotten may need to yield to the freedom of expression if there is a need for the subject matter not to be forgotten. However, this should be limited to when there is a public benefit, and when there is no such public need, humans enjoy the right to be free from information about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