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기상인자와 코로나 확진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추경수(KyungSu Choo),최정렬(JungRyel Choi),김병식(ByungSik Kim),최진영(Jinyoung Choi)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2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3 No.1

        전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의 유행으로 인해 위험성이 급증하고 있고 2021년 10월 25일 기준으로 누적확진자 354,355명과 사망자 2,788명을 발생시켰다. 이로 인해 방역지침들이 강화되고 우리나라 국민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 확산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면 대비책과 더불어 사회 · 경제적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VID-19의 발생은 사회적 인자도 있지만 기상적 인자도 유의미한 결과가 존재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인자가 아닌 기상인자가 코로나 확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기상인자로는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 일교차, 평균습도, 강우량, 운량, 일조량 등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인자를 수집하였고 확진자와 상관분석결과 기온인자 및 습도에서 확진자와 상관성이 있다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상관성 있는 인자를 활용하여 모델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e risk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worldwide epidemic of the coronavirus (COVID-19), and as of October 25, 2021, there were 354,355 cumulative confirmed cases and 2,788 deaths. As a result, quarantine guidelines have been strengthened and the Korean people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If the spread of the corona virus can be predicted, it is judged that social and economic damage can be reduced along with countermeasures. The occurrence of COVID-19 is not only a social factor, but also a significant weather factor. So,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weather factors, not social factors, affect corona confirmed. As weather factors, factors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uch as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average temperature, daily temperature difference, average humidity, rainfall, cloudiness, and sunlight were collected. beca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tilize the correlated factors for model develop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설치를 위한 유형결정 방안에 대한 연구

        강건국(Kang, KeonKuk),지용근(Jee, YongKeun),최정렬(Choi, JungRyel),김병식(Kim, ByungSik)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4

        극한강우와 토석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소하천 상류에서 토석류 유출 저감 및 저수를 통한 용수 확보가 가능한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나, 기존 산지부에 설치하는 사방댐은 기능적 측면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사방댐 설치 기준을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적 및 필요 기능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적지선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적지선정을 위해 산사태위험도 분석, 토사유출량 분석, 자연 휴양적 이용등급 분석, 인구밀도 분석, 소하천 홍수범람위험구역 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분석결과를 통합 및 표준화하여 해당유역에 대한 적지선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향후 소하천에 지속적으로 설치가 될 것으로 판단되는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지선정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damage caused by extreme rainfall and debris flows occurred continuously, a Multi-purpose Debris Flow Mitigation Module(MudM2) reducing the depletion of debris flows and Securing water through water storage in the small river has been install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tandard for installation of debris barrier on mountain part because it differs in function from debris barrier. Therefore,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the type determination of MudM2 which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required function.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sites, we conducted landslide risk analysis, soil runoff analysis, natural recreational utilization grade analysis, population density analysis, and flood flood hazard zone analysis for small watersheds. The analysis results were integrated and standardized, Respectively. The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f MudM 2 that are expected to be installed continuously in a small r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