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참여형 공간설계방법론

        최재연,김은형,Choi, Jae-Yeon,Kim, Eun-Hyung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6 지적과 국토정보 Vol.46 No.2

        본 연구는 공간설계의 전반적인 참여를 위해서 가상현실을 적용시키는 방법론에 대한 논문이다. 현재의 공간설계의 참여는 일방적 정보전달의 과정, 정보이해의 어려움, 공간설계 단계의 제한적 참여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점 해결을 위해 참여사다리의 마지막 단계로 제시되었던 PPGIS와 Geodesign의 비전인 가상현실은 참여의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가상현실을 설계과정에 활용시키는 참여형 설계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참여와 가상현실에 대한이론 고찰을 통해 가상현실이 참여를 지원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설계과정에서 가상현실이 수행해야 할 역할의 도출을 위해 설계과정과 참여과정을 비교하였다. 이 과정의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을 활용한 참여형 공간설계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방법론의 증명을 위해 설계과정에 적용하여 각 단계별 가상현실을 구현하고, 각 단계별 역할의 수행여부를 확인하여 방법론을 증명하였다. 증명의 결과로, 가상현실 체험을 통한 경험이 설계안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고 또한 가상현실을 통한 상호작용이 가능함을 증명하였고 이는 설계과정에서의 전반적인 참여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This paper is on a participatory spatial design methodology using Virtual Reality, which can be applied to the overall spatial design process. Participation in the current spatial design has several limitations: one-sided communication process, difficulty of understanding the given information and partial participation in the design process. Virtual Reality can be an ideal visualization tool for Geodesign and PPGIS(Public Participation GIS), which is presented as a highest step at the participation ladder. A participatory methodology is proposed to take advantage of Virtual Reality. In order to support participation through Virtual Reality in spatial design process, theories about the participation are compared to derive the new roles of Virtual Reality and the roles are formulated in the participatory spatial design methodology. By applying the methodology to the design process and implementing each stage through Virtual Reality, the design performance of each step can be verified in the methodology. As a result, design ideas can be effectively understood through Virtual Reality experience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s in Virtual Reality and participation are possible in the entire design process.

      • KCI등재

        Lipopolysaccharide를 투여한 흰쥐 콩팥에서 iNOS 발현과 NADPH-diaphorase 활성의 비교

        최재연(Jae youn Choi),이소영(So yeong Lee),차정호(Jung-ho Cha) 대한해부학회 2009 Anatomy & Cell Biology Vol.42 No.4

        유도성 산화질소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는 다양한 생리작용에 관여함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형태학적 연구보고는 연구자에 따라 매우 달라서 iNOS의 발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개 회사(Chemicon, CH; Sigma, SI; Transduction Laboratorie, TL; Upstate, UP)의 iNOS 항체의 면역염색결과를 비교하고, 모든 아형의 NOS에 대한 염색이 가능한 NADPH-diaphrase에 대한 광학적 및 전자현미경적 효소조직화학법을 병용함으로써 iNOS 발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SD계 흰쥐에 LPS를 투여하고 iNOS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LPS 투여군에서 NADPH-d 전자현미경적 효소조직화학법의 결과 반응산물의 위치가 세포질기질에 있는 세포와 사립체에 있는 세포로 구별되었다. 반응산물이 세포질기질에 있는 세포는 치밀반점, 내림가는세관(DTL), 주머니상피(CE) 및 사이질의 유주세포(WC)이며, 대부분 세뇨관의 세포에는 사립체에 반응산물이 위치하였다. LPS 투여군에서 DTL, CE 및 WC가 염색된 항체는 TL과 UP이나, 사립체에 반응산물이 있는 세뇨관세포도 일부 염색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서 NDAPH-d 효소조직화학법을 병용하면 iNOS를 발현하는 세포를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has been known to be involved in the various physiological metabolim and has been attracting topic. However, there are extensive differences in the reports about the localization of iNOS expression. To resolve this discrepancy, we compared immunohistochemical data from four iNOS antibody produced by different company(Chemicon, CH; Sigma, SIl Transduction Laboratories, TL; Upstate, UP), and NADPH-diaphorase(NADPH-d) enzyme-histochemical results using light- and transmission electorn-microscope in the lipo-polysaccharide(LPS)-treated rat kidney. Electron microscopical examination revealed two different distribution of the NADPH-d reaction product. In the majority of NADPH-d reaction-positive cells, reaction depositions were restricted to the mitochondia, and in the cells of macula densa, descending thin limb(DTL), capsular epithelium(CE) and interstitial wandering cells(WC), NADPH-d positivities were found in the cytoplasm. In immunohistochemical results from LPS-treated animal, DTL, CE and WC were positively stained with TL and UP antibodied but with CH and SI antibodies. We conclude that NADPH-d histochemistry may be usefull for identifing the iNOS-positive cells morphologically.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흰쥐 콩팥에서 허혈-재관류에 의한 손상시 Nestin의 발현

        최재연(JaeYoun Choi,),김진(Jin Kim),차정호(Jung-Ho Cha)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1

        Nestin은 중간세사에 속하는 단백질로, 줄기세포의 표지자로서 인지되고 있다. Nestin은 발생단계에서는 매우 많이 발현하지만, 성체에서는 일부 세포에서만 발현된다. 그러나 질병 또는 손상 후에는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조직의 재생 또는 세포의 생존에 관련되어 활성화되는 세포에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흰쥐의 콩팥에서 허혈-재관류 손상 후 nestin의 발현을 면역조직화학법으로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성숙한 Sprague-Dawley 계통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양쪽 콩팥동맥을 45분간 clamp로 결찰하여 허혈-재관류 손상을 유도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동맥을 clamp로 잡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재관류 후 1일, 3일, 5일, 7일, 14일의 콩팥을 periodate-lysine-paraformaldehyde 고정액으로 고정한 후 vibratome으로 50 μm 절편을 작성하였고, nestin 항체를 사용하여 포매 전 면역조직화학법을 시행하였다. 정상군에서 nestin은 토리의 발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토리의 모세혈관을 제외한 거의 모든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서도 nestin 양성 반응이 관찰되었으나 겉질에서는 발현정도가 약하고 속질에서는 양성반응이 증가하였다. 콩팥세관사이의 사이질세포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속속질의 특이한 사이질세포인 지질함유사이질세포는 음성반응을 보였다. 허혈-재관류 후 전반적으로 nestin의 발현이 1일군부터 7일군까지는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14일군에는 발현이 감소하여 정상군의 반응정도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발세포와 모세혈관 내피세포에서의 발현정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1일군부터 7일군까지 nestin 발현의 증가는 사이질세포에서 양성반응세포의 수가 많아지고 반응성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정상군에서는 3일군으로부터 14일군까지 nestin 음성반응이었던 콩팥세관세포중 일부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세관주위의 사이질은 더욱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콩팥의 허혈-재관류 손상 시 nestin은 사이질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며 재생 중의 콩팥세관세포에로 발현되는 것으로 보아, 콩팥에서 epithelial-mesenchymal transformation에 관련된 표지자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Nestin, a type VI intermediate filament, is a marker for stem cells. Although it is expressed abundantly in various organs during development, its expression in adults is restricted to certain types of cells. However, nestin is reinduced in activated cells involved in the regeneration and survival of injured tissues.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nestin in the ischemia-reperfusion injured rat kidney by immunohistochemistry using anti-nestin antiserum. Kidneys were preserved from normal adults and at 1, 3, 5, 7 and 14 d after ischemia-reperfusion injury, and processed using pre-embedding. In the normal adult kidney, nestin was expressed strongly in the glomerular podocyte. Capillary endothelial cells, except for those of the glomeruli, showed nestin positivity. Fibroblast-like interstitial cells were also nestin positive except for lipid-laden interstitial cells of the inner medulla. After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e renal expression of nestin increased progressively to 7 d and then returned almost to a normal level by 14 d. These changes of nestin expression were attributed mainly to changes in the number and staining intensity of immunostained interstitial cells. The podocytes and endothelial cells showed no change in immunoreactivity throughout any stage in the experimental animals. Interestingly, nestin-positive tubular cells, which were nestin negative in normal kidney, were observed from 3 to 14 d. Nestin immunostained cells were increased in the interstitium around these nestin-positive tubu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stin is induced in both interstitial cells and regenerating tubular cells and that it can be used as a histological marker related to epithelial-mesenchymal transformation in the injured kidney.

      • KCI등재

        도시효과를 고려한 일 최저기온의 월별 평년값 분포 추정

        최재연 ( Jae Yeon Choi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mov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s embedded in the interpolated surface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the Korean Peninsula. Fifty six standard weather stations are usually used to generate the gridded temperature surface in South Korea. Since most of the weather stations are located in heavily populated and urbanized areas, the observed minimum temperature data are contaminated with the so-called urban heat island effect. Without an appropriate correction, temperature estimates over rural area or forests migh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actual values. We simulated the spatial pattern of population distribution within any single population reporting district (city or county) by allocating the reported population to the urban pixels of a land cover map with a 30 by 30 m spacing. By using this digital population model (DPM), we can simulate the horizontal diffusion of urban effect, which is not possible with the spatially discontinuous nature of the population statistics for each city or county. The temperature estimation error from the existing interpolation scheme, which considers both the distance and the altitude effects, was regressed to the DPMs smoothed at 5 different scales, i.e., the radial extent of 0.5, 1.5, 2.5, 3.5 and 5.0 km. Optimum regression models wer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distance-altitude interpolation to predict monthly normal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South Korea for 1971-2000 period. Cross validation showed around 50% reduction in terms of RMSE and MAE over all months compared with those by the convention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