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한 진동하중의 액상화 시험을 통한 동적 과잉간극수압에 대한 상세분석

        최재순,장서용,김수일 한국지진공학회 2007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1 No.2

        지진시 발생하는 지반 액상화 현상은 지진피해예측시 가장 중용하게 평가해야 하는 항목으로 실내에서 액상화 현상을 시뮬레이션하는 경우, 불규칙성의 지진을 제어하기 어려운 이유로 등가반복형태의 정현파 또는 쐐기파를 이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그러나, 90년대 이후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한 신호처리 및 제어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동역학분야에서의 실험연구에 큰 도움을 주었으며 지반진동분야의 경우, 진동대 및 원심모형기와 같은 대형지진모의시험에서 실지진하중을 이용한 연구사례들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실지진하중재하가 가능한 요소시험결과에 대한 연구사례가 발표되는 등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실지진하중 시험결과로부터 실지진하중하에서의 과잉간극수압의 변화가 정현하중시험에서의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발표되어 현재까지 지반동역학분야에서 지진하중의 불규칙성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던 통상적 가정사항들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가의 정현파 및 쐐기파와 증가형태의 쐐기파, 그리고 실지진파 등 다양한 진동하중을 재하할 수 있는 삼축압축시험기를 이용하여 기존의 유효응력개념에서 사용하는 과잉간극수압관련 매개변수인 소성일, 전단소성 변형률 상각궤도, 그리고 액상화 상태전환선의 기울기를 비교분석하였으며 하중변화에 따른 토립자의 변형과 간극수압의 변화를 상세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토립자의 변형, 간극수의 동적흐름, 동적흐름 속도수두의 압력수두로의 전환, 그리고 과잉간극수압의 증가로 표현되는 새로운 개념의 액상화 발생이론을 제안하였으며 그 타당성 검토를 위해 과잉간극수압과 동적흐름의 압력수두(흐름속도의 제곱값)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었다. 석분슬러지의 SiO_2 함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현상을 보이는 것은 그 입도가 매우 작기 때문에 시멘트계 재료와의 수열반응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 결과 실험 실적으로는 기포 콘크리트의 원료로 규사를 석분슬러지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見解), 병진행료교감화교주(幷進行了校勘和校註), 재가어료현토급국어주석(再加於了懸吐及國語注釋), 이기갱유조어정확지리해원문적본의(以期更有助於正確地理解原文的本意). 보고하는 바이다. 관련된 부작용(ADR)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UDB는 본 임상연구 기준에서 포함하는 모든 병력의 만성 간질환에서 ALT 수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있는 경우 효과적이고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제제로 생각된다. pH는 4.4이었으며 최적온도(最適溫度)는 30^{\circ}C이었다. 3. CHS-3 균주(菌株)의 specific growth rate는 0.23\;h^{-1}, generation time 은 3.01h이었다. 4. CHS -13균주(菌株)의 기질소비율(基質消費率)은 81%이었다. 5. CHS-13 균주(菌株)의 형태학적(形態學的) 배양학적(培養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Candida guilliermondii var. guilliermondii 로 동정(同定)되었다. 6. CHS-13 균주(菌株)를 당화액(糖化液)에 배양(培養)시켰을 때 Lowry-protein 함량은 0.72\;mg/m{\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 In most experimental researches on the liquefaction phenomenon, an earthquake as a random vibration has been regraded as a sinusoidal wave or a triangular wave with an equivalent amplitude.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in the part of signal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dynamic experimental equipments in the soil dynamics have also developed rapidly and further more, several real earthquakes have been simulated in the large model test such as shaking table tests and centrifuge tests. In Korea, several elementary laboratory tests to simulate the real earthquake load were performed. From these test results, it was reported that the sinusoidal wave cannot reliably reflect the soil dynamic behavior under the real earthquake motion. In this study, 4 types of dynamic motions such as the sinusoidal wave, the triangular wave, the incremental triangular wave and several real earthquake motions which were classified with shock-type and vibration-type were loaded to find something new to explain the change of the excess pore water pressure under the real earthquake load. Through the detailed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n all test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dynamic flow is generated by the soil plastic deformation and the velocity head of dynamic flow is changed the pressure head in the un-drained condi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hange of the excess pore water pressure is related to the pressure head of dynamic flow. Lastly, a new hypothesis to explain such a liquefaction initiation phenomenon under the real earthquake load is also proposed and verified.

      • KCI우수등재

        실지진 모사를 위한 조합형 정현하중의 적용성 검증

        최재순 대한토목학회 201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9 No.6

        Since the Gyeongju earthquake in 2016 and the Pohang earthquake in 2017, the performance of various dynamic tests for seismic design has increased in Korea. However, sinusoidal load has been continuously used in the conventional laboratory tests to evaluate liquefaction potential and determine input-parameters in the numerical analysis. However, recent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imulate excess pore water changes of the ground under earthquake load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study proposes a combined sinusoidal loading and examines its applicability to the cyclic shear and triaxial test. Also, its validity is examined through performing of shaking-table test and numerical analysis based on the effective stress mod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combined sinusoidal loading can more accurately simulate the change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in saturated soilsunder real earthquake load than the sinusoidal load. 2016년 경주지진과 2017년 포항지진이 발생한 이후, 우리나라 내진설계에 있어서 다양한 실내진동시험의 수행이 증가하고 있으나, 액상화 평가나 수치해석의 입력파라미터를 산정하기 위한 실내진동시험에서는 이전부터 사용해 오던 정현하중의 이용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정현하중으로는 지진하중으로 야기되는 지반 내 과잉간극수압의 거동을 정확하게 모사하기 어렵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며 정현하중을 대신하여 동하중의 개발에 대한 논의가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조합형 정현하중을 제안하고 주문진 표준사를 대상으로 한 진동전단실험과 진동삼축압축시험을 통해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추가로 진동대시험과 유효응력해석모델에 기초한 수치해석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제안된 조합형 정현하중이 정현하중보다 실지진하중 하에서의 포화지반 내 과잉간극수압의 거동변화를 잘 모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국내 옹벽의 성능평가와 유지관리를 위한 목표 성능 선정에 관한 연구

        최재순 한국지반공학회 2019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35 No.12

        In the revised 2019 Guidelines for Facility Safety and Maintenance, the existing safety-oriented facility evaluations have expanded from performance evaluations to added durability and serviceability. This expansion reflects the life cycle of facilities and the service abilities of facilities, which are becoming a global issue. However, since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facilities is linked to repairing and reinforcement, the related researches such as the correlation of each performance and the target performance related to the decision on priority are necessary.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historical data of existing facility safety evaluation results centered on the retaining earth wall installed in domestic road facilities, the appropriate target performance was suggest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revised performance evaluation. Also, the performances on the actual two retaining walls were evaluated for example and analyzed the verification of the target performance. Besides, new indicators were presented to add serviceability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taining earth walls consisting of safety and durability. 2019년 개정된 시설물 안전과 유지관리 세부지침을 보면, 기존의 안전성 중심의 시설물 평가에서 내구성과 사용성을 추가한 성능평가로 확대된 바 있다. 이러한 확대는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시설물의 고령화와 시설 이용측면을 반영한 점이기는 하나 실제로 이러한 시설물 평가가 유지관리와 관계된 보수보강과 연계되기 때문에 각 세부성능 간의 상관관계 및 목표 성능의 선정과 연계된 성능보강시 우선순위 결정 등 많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도로시설에 설치된 옹벽을 중심으로 기존의 시설물 평가이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선적으로 개정된 성능평가에서 적절한 목표 성능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2개의 옹벽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고 목표성능의 적절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안전성과 내구성만으로 구성된 옹벽의 성능평가에 사용성 부분을 추가할 수 있는 세부 지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실지진하중 하에서의 지반 액상화 발생을 모사하기 위한 조합 정현하중에 대한 실험적 고찰

        최재순,백우현,Choi, Jae Soon,Baek, Woo Hyun 한국방재안전학회 2018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액상화를 유발시키는 진동하중의 특성을 분석하여 실지진하중 하에서의 지반 내 과잉간극수압의 거동을 잘 모사할 수 있는 표준 진동하중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실내진동시험에서 사용해 오던 정현하중이 실제 지진 하에서의 발생하는 액상화 거동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사례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해 재고찰하였다. 또한, 실지진하중 하에서의 지반 내 과잉간극수압의 거동을 잘 모사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조합형 정현하중을 제안하고 이를 실내진동시험 및 진동대시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진동대시험은 주문진 표준사를 이용하여 상대밀도 40%로 재성형하였으며 정현하중 및 조합형 정현하중 시험에서는 1 Hz의 진동재하주기로 통일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정현하중시험에서는 0.3g로 최대하중을 재하하였으며 조합형 정현하중실험에서는 최대하중 0.03 g의 1차 정현하중과 0.3 g의 2차 정현하중을 재하하였다. 또한, 1차 정현하중의 재하시간은 5 초, 10 초 및 15 초로 변화시켜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정현하중시험과 1차 정현하중을 5초간 재하한 조합형 정현하중시험에서는 과잉간극수압의 변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1차 정현하중을 10초와 15초로 재하한 경우에는 2차 정현하중이 재하되는 시점에서 과잉간극수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 실지진하중 하에서의 유발되는 지반 내 과잉간극수압을 잘 모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상대밀도가 40%인 모래지반에 대해서는 제안된 조합형 정현하중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1차 정현하중의 재하시간은 10초를 초과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comparison on the fact that the sinusoidal load, which has been used so far in the laboratory cyclic test,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 liquefaction triggering study,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henomenon that causes the soil liquefaction during the earthquake loading.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a new type of combined sinusoidal load and compares it with experimental results to load the conventional sine wave. In the comparison, the shaking table tests were carried out and the sample in the tests was remolded with the relative density of 40%, which is a condition where liquefaction is easy to occur. Firstly, the conventional cyclic test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that with the amplitude of sine wave was 0.3 g. Additionally, 3 types of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combination loads made up with 0.03 g sinusoidal load and 0.3g sinusoidal load. At that time, the loading time for the first sinusoidal load were changed with 5 seconds, 10 seconds, and 15 seconds. As a result, the test with the conventional sine wave and the test with the first sinusoidal loading for 5 seconds showed that the change of the pore water pressure gradually increased. But in the tests with the combined sinusoidal load which changed the first sinusoidal loading time with 10 and 15 seconds, it was found that the pore water pressure suddenly rose at a certain instant and liquefaction occurs. From the experimental comparison, it is judged that it is appropriate that the time of the first sine wave is over 10 seconds at the proposed combined load for the soil condition with relative density 40%.

      • KCI등재후보

        매립부지의 시설위치 선정을 위한 지진시 지반재해 영향평가 사례연구

        최재순,백우현,김장태 한국아스팔트학회 2023 한국아스팔트학회지 Vol.13 No.2

        Since 1980s, due to the rise in domestic real estate prices, it has become difficult to secure land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Instead, the necessary land has been secured through reclamation of domestic coastal areas, and such attempts have continued in recent years. Meanwhile, due to the 1995 southern Hyogoken-Nambu earthquake that struck Kobe, most of Kobe Port, built on reclaimed land, lost its port logistics distribution function due to soil liquefaction. The Korean peninsula, previously considered a safe zone against earthquake, experienced soil liquefaction in 2017. In this study, a metho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ground disasters during earthquakes was presented in selecting the locations of roads and major facilities when making construction plans on reclaimed lands, and the assessment for seismic geotechnical disaster was performed in actual reclaimed l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