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계일관성을 반영한 감가속도 프로파일 개발- 지방부 다차로도로를 중심으로 -

        최재성,이종학,정상민,조원범,김상엽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5 No.6

        PURPOSES: Previous Speed Profile reflects the patterns of speeds in sections of tangents to curves in the roads. However these patterns are uniform of speeds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In oder to supplement these shortcomings. this study made a new profile which can contain factors of Acceleration/Deceleration through theories of Previous Speed Profiles. METHODS : For sakes, this study developed the speed prediction model of Rural Multi-Lane Highways and calculated Acceleration/Deceleration by appling a Polynomial model based on developed speed prediction model. Polynomial model is based on second by second. Acceleration/Deceleration Profile is developed with the various scenarios of road geometric conditions. RESULTS: The longer an ahead tangent length is, The higher an acceleration rate in curve occurs due to wide sight distance. However when there are big speed gaps between two curves, the longer tangent length alleviate acceleration rate. CONCLUSIONS: Acceleration/Deceleration Profile can overview th patterns of speeds and Accelerations/Decelerations in the various road geometric conditions. Also this result will help road designer have a proper guidance to exam a potential geometric conditions where may occur the acceleration/deceleration states.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양방향 2차선 도로의 용량 및 서비스 수준 체계에 관한 연구

        최재성 대한교통학회 1991 大韓交通學會誌 Vol.9 No.1

        Two-Lane, two-way roads account for approximately 92% of total road length in Korea and accomplish the majority of regional transport activities. Nevertheless not too many research have been made on two-lane roads particularly efficiency related topics such as capacity and travel time studies. In this study a full scal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video equippments on rural two-lane roads to determine capacity Passenger Car Equivalents(PCE) and Level of Service criterion. Various PC programs were utilized to reduce traffic data and Walker ME? and Headway Method were employed to determine PCE's for heavy vehicles. The reseach has shown that capacity and PCE's for two-land two-way roads in Korea are 3200 pcph and 1.1∼1.9 resectively. In addition percent time delay was used as the basis of developing Level of service criterion on two-lane roads in Korea.

      • KCI등재

        장애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 패턴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최재성,김명일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4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of social welfare service us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 the trajectory effects of each individual latent class classified in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on quality of life. This Study uses data from 'A Study on the Short/Long-term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y: the Case of Seongnam-si, Gyeonggi-do'. A total 188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inly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 distinct classes for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s for disabled people were identified. They were named here as follows; ‘intensive use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 ‘intensive use of medical service', ‘intensive use of financial support service', ‘intensive use of supportive living service'. Second, the results from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sex,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were determining factors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 Finally, the disabled in the 'intensive use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 is more likely to have high-level quality of life than those in 'intensive use of medical servi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the disabled.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의 동태적인 변화와 그 집단 유형을 파악하고 하위집단별 유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실시한 ‘성남시 장애인 권리증진을 위한 장애인복지정책(장‧단기계획) 수립 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188명의 자료를 잠재계층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사회자원 이용 유형은 사회참여지원서비스 집중형, 경제지원서비스 집중형, 의료서비스 집중형, 생활지원서비스 집중형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네 잠재계층으로 구분된 ‘사회참여지원서비스 집중형’, ‘경제지원서비스 집중형’, ‘의료서비스 집중형’, ‘생활지원서비스 집중형’을 구별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장애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가구소득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자원이용 유형이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료서비스 집중형에 비해 사회참여지원서비스 집중형이 삶의 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사회자원 이용의 유형에 따른 체계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고 장애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우수등재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일관성 평가모형의 개발

        최재성 대한교통학회 1998 大韓交通學會誌 Vol.16 No.4

        본 연구는 새로운 설계일관성 검토기법의 정립을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속도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차량의 주행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 요소를 고려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즉 평면곡선에서는 운전자의 시각적 판단을 기초로 등판차량의 주행속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속도추정이 승용차뿐만 아니라 트럭의 경우로 나누어 이루어짐으로써, 차종별 고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결과이다. 평면곡선에서는 승용차와 트럭의 속도가 같게 추정되었으며, 시거를 통해 산정된 추정속도는 곡선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종단선형에서 승용차의 속도는 구배의 영향을 받지 않으나, 트럭은 구배의 영향으로 속도가 감소한다. 이 때 트럭에 작용되는 가속도는 모두 세 종류로써, 첫째, crawl speed에 도달할 때까지 작용한 가속도$(a_1)$와 둘째, crawl speed 이후 작용한 가속도$(a_2)$ 그리고 셋째, 하향구배 주행시 작용된 가속도$(a_3)$로 구분된다. Watanatade가 제시한 것과 같이 평지에서 나타나는 평면곡선의 주행속도와 구배지에서의 속도를 단순 비교 함으로써, 작은 속도의 궤적을 따라 평지에서 나타나는 평면곡선의 주행속도와 구배지에서의 속도를 단순 비교함으로써, 작은 속도의 궤적을 따라 합성선형의 속도를 추정하는 것은 합성선형이 차량의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모형에서는 합성선형의 영향을 고려하여 승용차와 트럭의 주행속도를 추정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으로 주행속도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로의 설계일관성을 검토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며 향후 운전자의 희망속도 결정, 감속율의 산정, 교통류의 고려, 도로설계의 전산화 자료와 연결 등을 통해 보다 실용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민간부문 긴급복지지원사업 사례연구: A재단 SOS 복지지원사업 성과를 중심으로

        최재성,최상미,김용득,오유경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2 동서연구 Vol.34 No.2

        Emergency assistance program (EAP) is not only operated separately from public welfare system for the low-income vulnerable, but also distinguished from disaster management support program, which is designed to respond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hurricane, tornado, and COVID-19, etc. EAP is usually targeting to support all vulnerable populations at crisis, who are on the borderline of blind spots in public welfare system. In addition to public sector, private sector has also carried out EAP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is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 of A Foundation’s ‘SOS Emergency Welfare Support Program’, and deduce explanatory implications. Thus, this study is a kind of program outcome evaluation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of content analysis and related literature review. As data sources, this study used two types of reports: the ‘On-site Verification Report’ and ‘Support-Result Report’ for the program. After analyzing the contents of those reports, the cases were quantitatively converted for analysis. A total of 657 cases were analyzed for three years, from 2018 to May 2021. One of findings is that economic and housing problems were the main reasons for crisis. Many cases had complex problems such as mental health issues and domestic violence. As for performance indicators, problem-centered target efficiency, client-centered target efficiency, contribution to problem-solving, speed of the process, and positive side effects were measured. They present the program has positive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 of EAP has been discussed even in relation to the public sector. 긴급복지지원은 기존의 저소득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부조 중심의 복지제도와는 별도로 운영되며, 자연재해나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에 대응하는 정부의 재난지원사업과도 구별된다. 주로 복지사각지대의 경계선 상에 놓여있는 취약계층 및 잠재적 취약계층이 주요 지원대상이다. 민간에서도 긴급복지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시도된 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긴급복지지원사업 민간부문 사례로서 A재단의 ‘SOS 복지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관련 함의를 탐색적으로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성격은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내용분석과 관련자료 검토로 구성된다. 데이터 출처로서 긴급복지지원 신청 ‘현장확인보고서’와 ‘지원결과보고서’의 두 가지 보고서를 내용분석 한 후, 부호화되어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사례수는 2018년부터 2021년 5월까지 지원한 전체 사례 총 657건 이다. 분석결과, 대표적 위기상황은 경제문제와 주거문제이고, 정신건강 및 가정폭력 등의 복합적 문제를 가지는 경우가 상당수로 나타났다. 성과지표로 설정된 ‘문제중심 표적효율성’, ‘대상 중심 표적효율성’, ‘위기극복 문제해결기여도’, ‘지원과정의 신속성’, ‘부수적 효과’에서 긍정적인 분석결과가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공공 민간의 긴급복지지원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 KCI우수등재

        Development of no-overtaking Model and Analysis of fundamentals of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on Two-Lane Highways

        최재성 대한교통학회 1996 大韓交通學會誌 Vol.14 No.2

        본 논문의 목적은 2차선 지방지역도로에서 사용가능한 No-overtaking Model의 개발과 현장조사를 통한 우리나라 2차선 도로의 교통류 특성의 규명이었다. No-overtaking Model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미 개발된 바 있는 Slow moving Vehicle Model의 이론적 틀을 근거로 하되 중차량을 따라 피동적으로 주행하는 일련의 차량군에 또다른 중차량이 포함된 경우에 대해서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경기도 일원에서 약 3개월동안 조사한 현장조사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2차선도로의 교통류 특성은 첫째로, 2차선 교통류의 주요 MOE(Measures of Effectiveness)들은 교통량에 의해 비교적 정확하게 산정가능하다는 것과, 둘째로 우리나라의 주요 MOE값은 외국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대체로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 평균속도의 경우 최소 5㎞/h 최대 15㎞/h 정도와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 그리고 셋째로 차량군의 선두차량 85%의 경우 그 속도는 100.4㎞/h이고 추월에 필요한 반대편차선 차량과의 여유 거리는 754.8m이라는 것이었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중차량의 속도분포를 확률분포식으로 나타내는 경우의 지체시간, 추월율 등의 2차선교통류 MOE를 산출할 수 있는 Model을 개발하는 것이며 현재 5분교통량으로 표시된 교통량을 보다 많은 현장수집자료를 통해 1시간 단위의 교통량을 기준으로 하여 MOE를 산정해보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