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농어촌표준형주택 단위세대와 실의 규모 및 치수구성 특성 연구 - 1995년 이후 보급되고 있는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를 중심으로 -

        최일,조성진,유창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1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는 설계비의 절감과 건축허가절차 간소화 그리고 부재규격화 및 부품 화를 통한 시공 표준화를 기함으로써 농어촌 주택의 경제적 이익과, 질적 향상을 기하고 있 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급된 농어촌 표준형주택은 명확한 설계기준 없이 개발되어 단위세대 의 규모나 및 개실 규모가 규격화 내지는 부품화에 유리하지 않다는 새로운 문제점을 보이고 있어,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농어촌표준주택 설계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5년 이후 보급되고 있는 79개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의 단위세대와 각 실의 규모 및 치수구성 특성의 조사·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합리적인 현대 농어촌표준형주 택 설계기준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농어촌표준형주택의 단위세대와 각 실 규모의 출현 빈도분석 하고 둘째, 단 위세대 규모별 실별 치수구성의 특성분석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도출된 결과를 제도화 되어 있는 ‘주거기준’ 및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 주거수준과 상호 비교분석을 통해 농어촌표준형주 택의 주거수준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rural-house standard design is designed for economic and qualitative betterment of housing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by inducing frame standardization and modularization and pursuing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However, the current standardized housing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is not being used actively because there is no fixed design standar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basic design data that can be used as a helpful reference in preparing the design standard of standardized rural housing through characteristic research on the unit plan characteristics of the rural-house design standard that came into wide use in South Korea since 1995. To do so, Firstly this study categorized 79 housing units into 10 type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loor planning by calculating average, smallest, and largest total floor area by type. Secondly, this study calculated the area of living room, kitchen, master bedroom, bedroom, entrance, bathroom, utility room, and boiler room by type and the side measurement data of long and short sides. The smallest, largest, average, and mode values of calculated data found, and these measurements, area distribution, and floor plann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lso, this study verified the propriety by comparing the housing standard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prepared a framework of basic design data for setting the design criteria of rational standard housing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 KCI등재후보

        황토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최일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effects of loess (0%, 1.5%, 3% and 5%) on th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of broiler chicks. A total of 320 broiler chicks at 1 day of age were divided into 4 groups to feed basal diet (control) and basal diet plus 1.5% to 5.0% loess respectively for 6 weeks. The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crude fat of mea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reatments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but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pH values of meat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water holding capacity was higher in all treated groups than the control. The L of meat color was also in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but a and b of meat color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meat were higher in the treated groups than the control. The concentrations of 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treated groups than the contol (P<0.05). Finally, the contents of moisture of excret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treated groups than contol (P<0.05). Taken together, it was concluded that loess did not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but had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meat quality. 본 연구는 황토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황토의 첨가수준을 0, 1.5, 3.0 및 5.0%로 4개의 처리구로 6주간 실시하였다.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은 모든 황토 첨가구 보다 대조구에서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계육의 수분 함량은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높았고,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낮았으나, 조단백질 함량과 조회분 함량은 처리구간의 차이가 없었다. 근육내 pH는 모든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보수력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높았다. 계육의 육색 중에서 명도는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증가한 반면, 적색도와 황색도는 차이가 없었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황토-3%와 황토-5% 첨가구에서 높았다. 혈액성분 중에서 HDL-cholesterol과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계분의 수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육계사료에 황토를 첨가하였을 때 생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육질개선에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선계 문학(鮮係文學)’: ‘만주국’에 있어서 조선인 문학의 존재 양상 ‒‘내선만문화좌담회’의 안과 밖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최일,왕수원 만주학회 2023 만주연구 Vol.- No.35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of Seon-Kei, or Korean literature in Manchuria and the efforts made to construct the Seon-Kei literary identity amidst the Japanese colonial context. Specifically, the paper focuses on the Inner Manchuria Culture Symposium, where Japanese, Manchu, and Seon-Kei writers engaged in dialogue on whether to write in Japanese or their own mother tongues. The paper reveals the Seon-Kei as a fictive identity of a colonized ethnic group and analyzes the group’s rejection of the Japanese writing system as a form of resistance. This sentiment grew out of a desire to recreate and reimagine Manchuria as a new country, distinct from both China and colonial Korea. However, due to the semi-colonial status of Manchuria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is desire failed to build political and cultural foundations and eventually subsumed within the discourse of colonial power. 1932년 3월~1945년 8월 사이 일제가 강점한 중국 동북(東北) 지역에존속했던 괴뢰정권 ‘만주국’에서 한국 이주민들은 ‘선계(鮮系)’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이들이 문학은 ‘선계 문학’으로 불렸다. 이러한 계열화는 일제의 ‘만주국’ 국가 만들기의 일환이었던 바, 거주자들을 새로운 ‘국민’으로재편하여 다민족국가로서의 ‘만주국’이라는 특수성을 표방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선계 문학’은 ‘만계 문학’, ‘일계 문학’, ‘아계 문학’ 등과 함께 ‘만주국 문학’을 이루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선계문학’과 ‘만계 문학’, ‘일계 문학’의 첫 번째 접촉이었던 ‘내선만문화좌담회’에서 ‘선계’ 문학자들이 ‘일계’, ‘만계’ 문학자들과 일본어 글쓰기와 일본어 번역, 한국어의 글쓰기 등 문제를 둘러싸고 진행하였던 논의와 그와관련된 내적, 외적 상황들을 고찰하였다. ‘선계’와 ‘일계’, ‘만계’의 ‘협화’ 를 표방한 이 좌담회에서 ‘일계’는 ‘선계’에 글쓰기 언어를 일본어로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만계’는 일본어 글쓰기에 반대하면서 ‘선계’가자기 작품을 일본어로 번역함으로써 ‘선계’, ‘일계’ 양측이 교류하기를 희망했고, ‘선계’는 일본어 글쓰기와 번역 모두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있다. ‘선계’의 이러한 입장은 ‘만주국’을 중국도 아니고 식민지 한국도 아닌 하나의 새로운 국가로 상상하고, 이 새로운 국가에서 새로운 기원이되고자 하는 자기 정체성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일제 식민지인 ‘만구국’에서 이러한 욕망은 정치적, 문화적 기반을 가질수 없었기 때문에 자칫하면 식민주의 담론에 포섭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다.

      • KCI우수등재

        Bacillus circulans SJ-102 균주에 의한 농산부산물에서의 효소 활성에 관한 연구

        최일,장형수,유제열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0 한국축산학회지 Vol.42 No.4

        A cellulose-producing microbe isolated from soil was identified as a strain of Bacillus circulans SJ-102. Optimum incubation condition for the highest enzyme production was glucose 4.8%, skim milk 1.8%, ZnSO₄ 0.02% and pH 6.3 at 35℃ for 72hrs. The optimum physical condition for the highest crude enzyme production was pH 5.5 and 55 ℃ at 30min. of treatment, and the highest crude enzyme activity was obtained at 60 min, of treatment in rice stra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cillus circulars SJ-102 can be used for the microbial study on roughage digestion in ruminant animal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알칼리처리가 저질조사료의 발효율 및 발효속도에 미치는 영향 1 . 옥수수대

        최일,정태영,맹원재 ( Il Choi,Tae Y . Chung,Won J . Maeng ) 한국축산학회 1983 한국축산학회지 Vol.25 No.3

        Effects of alkali treatment on the digestibilities and rates and extents of fermentation of dry matter of com stover was determine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ies of corn stover marked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NaOH treatment and the extent of increase was much higher at 100℃ for 1 hour treatment than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reatment, Dry matter digestibility of untreated com stover was 35.96% and of treated com stover with 4, 8% NaOH were 50.44%, 70.20%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53.55%, 79.53% at 100 ℃ for 1 hour aeatment, respectively. Fermentation rate constants and fermentation time of dry matter of untreated corn stover were 0.00438 he 1, 228 hr and of treated com stover with 4, 8% NaOH were 0.00831 hr^(-1) ; 0.01382 hr^(-1) and 120 hr. 72 h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0.0100 hr^(-1), 0.02186 hr^(-1) and 99 hr, 46 hr^(-1) at 100 ℃ for 1 hour treatment, respectively.

      • KCI등재

        김창걸 해방 후 소설에서 보이는 ‘국민(nation) 상상’

        최일 만주학회 2015 만주연구 Vol.- No.19

        Kim Chang-geol has been left the distinctive effect on the Manchu-Korean literature and the Chinese Korean literature. First, his works were continuously published in the Manseon Daily News(滿鮮日報) and came to be recognized in literature. So his work of fiction has been included in The Budding Earth, which was the only collection of short stories in the Manchu-Korean literary scene. Second, Kim didn’t return to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and this kind of behavior was rare in those times. After all, he turned over the “n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from one member of the colonial ethnic group, the Manchu-Korean. His two short stories, The New Village and The People Knowing Happines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se were published in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the ‘nation and ethnic’ group, the Korean Chinese(朝鮮族).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state imagination’ and ‘nation imagination’ in Kim Chang-geol’s works, including the analysis on the locality discourse in the Manchu-Korean literature. 김창걸은 ‘만주조선인문학’과 ‘중국조선족문학’ 모두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작가이다. 우선, 김창걸은 만주조선인문단에서 등단하여 『만선일보』를 통해 꾸준한 창작 활동을 하였고 만주조선인문학에 유일한 소설집 『싹트는 대지』에 작품이 수록될 만큼 문단의 인정을 받았다. 다음, 김창걸은 만주조선인문단에서 활발할 활동을 하던 문학인들 중 해방 이후 한국으로 귀환을 하지 않은 몇 되지 않는 문인이었다. 김창걸은 만주의 조선인 즉 민족(ethnic group)에서 국민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민(nation)로 거듭나게 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창립된 직후 창작된 김창걸의 단편소설 「새로운 마을」과 「행복을 아는 사람들」은 ‘조선족’이라는 ‘nation+ethnic’그룹이 형성되어 가던 시기에 나온 유수의 작품 중 두 편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만주조선인문학’에서 있었던 ‘로컬리티담론’에 대한 분석을 곁들여 김창걸의 상기 소설에서 보이는 국가상상과 국민상상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