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chinacea angustifolia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항주름 및 보습효과 최인정 meeth 기업부설연구소, 서울, 한국 목적:

        최인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2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0 No.4

        Purpose: Echinacea angustifolia (E. angustifolia ) extract’s usefulness as a cosmetic ingredient was examined. This study confirmed its skin improvement effects through a moisturizing and elasticity test and clinical trials. Methods: Cell ability of E. angustifolia on HaCaT and CCD986sk cells was measured by MTT assay respectively. And hyaluronic acid in HaCaT cells and pro-collagen acid productions in CCD986sk cells were measur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cytotoxicity test on CCD986sk and HaCaT cell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cytotoxicity at a concentration of 200 μg/mL or less. At a concentration of 200 μg/mL, both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produc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eanwhile, the skin improvement test performed in the clinical trials revealed high scores compared to a control group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especially in moisturizing and wrinkle-care effects (p <0.001, p <0.01). Conclusion: With the potential of E. angustifolia extract, this study confirmed its promise as a cosmeceutical cosmetics ingredient. 목적: 본 연구에서는 Echinacea angustifolia (E. angustifolia) 추출물이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보습 및 탄력세포실험과 임상을 통한 피부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HaCaT와 CCD986sk세포에 대해 MTT assay를 통한 세포독성 분석, HaCaT에 대한 hyaluronic acid 측정 및 CCD986sk에 대한 pro collagen acid를 측정하였다. 결과: CCD986sk과 HaCaT를 이용한 세포 독성 실험결과, 200 μg/mL이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200 μg/mL에서 hyaluronic acid, 콜라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임상을 통한 피부개선 실험에서는 수분, 유분, 모공, 색소침착, 주름, 포르피린 영역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냈었으며, 특히 보습 및 주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각각 p<0.001, p<0.01)가 나타나 E. angustifolia 추출물이 함유한 화장품이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E. angustifolia 추출물은 보습 및피부 탄력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열수추출 Geranium Maculatum extract(와일드제라늄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염효과

        최인정 중소기업융합학회 2022 융합정보논문지 Vol.12 No.3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Geranium maculatum extract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For this, DPPH, ABTS and FRAP assays were performed to asses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o evaluate antioxidant substances, in addition, polyphenol and flavonoid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Furthermore, cytotoxicity,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tests were conducted, using B16F10 and RAW 264.7 cell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In the DPPH and ABTS assays, 265.8 mg ascorbic acid/g and 168.5 mg ascorbic acid/g of antioxidant capacities were foun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FRAP assay, 1 mg Geranium maculatum extract was same with ascorbic acid 229±9 μg in terms of reducing power. In polyphenol and flavonoid concentrations, 32.989±1.610 mg/g and 11.098±0.261 mg/g were observed each. The above results show that cells survived in the test concentrations more than 80 percent, confirming the low toxicity of Geranium maculatum extract. According to whitening testing, melanin synthesis was reduced depending on concentration, and at the same time, 40.62±2.07% of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was found at 100 μg/mL. In anti-inflammatory testing, inflammation was reduced depending on concentration, and 27.86±2.82% of inhibition of inflammation was detected simultaneously, confirming the applicability of Geranium maculatum extract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본 연구에서는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FRAP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포실험에서는 B16F10 cell과 RAW 264.7 cell을 사용하여 세포독성 실험과 미백실험, 항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DPPH에서는 265.8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168.5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와일드제라늄 추출물 1 mg의 환원력과 ascorbic acid 229±9 μg의 환원력이 같음을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농도는 32.989±1.610 mg/g이었고,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11.098±0.261 mg/g이었다. 세포실험에서는 실험 농도 범위에서 80% 이상의 세포가 생존하여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은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백활성 실험에서는 농도에 따라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100 μg/mL에서 40.62±2.07%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였다. 항염활성 실험에서도 농도에 따라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100 μg/mL에서 27.86±2.82%의 염증 억제능을 보여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FE-SEA 하이브리드 기법을 이용한 비행 중 발사체 페어링 내부 음향하중 저감에 관한 연구

        최인정,박서룡,이수갑 한국음향학회 2020 韓國音響學會誌 Vol.39 No.4

        발사체는 비행 중 공기역학적 현상에 기인하는 음향하중의 영향을 받는데, 특별히 천음속 영역에서 그 영향이증가된다. 음향하중으로 인한 페어링 내부 소음진동은 탑재물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어 이를 예측하고 저감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사체 외부에 작용하는 공기역학적 음향하중에 의한 페어링 내부 음향 진동환경을예측하고, 음향 블랭킷과 헬름홀츠 공명기를 이용하여 소음저감 설계를 구현하는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음향하중예측은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RANS) 유동해석 결과와 난류 경계층 내부 압력섭동에 관한 준 경험식을이용하였고, 음향진동 연성해석은 ANSYS APDL과 VA One SEA의 Finite Element Statistical Energy Analysis (FE-SEA) 하이브리드 해법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절차를 천음속 해머 헤드형 발사체에 적용하여 음향하중 저감효과를 확인하고 개발된 절차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절차는 타당한 수준의 정확도로 신속한 결과를얻을 수 있어 발사체 초기설계 단계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aunch vehicles are subject to airborne acoustic loads during atmospheric flight and these effects become pronounced especially in transonic region. As the vibration due to the acoustic loads can cause malfunction of payloads, it is essential to predict and reduce the acoustic loads. In this study, a complete process has been developed for predicting airborne vibro-acoustic environment inside the payload pairing and subsequent noise reduction procedure employing acoustic blankets and Helmholtz resonators. Acoustic loads were predicted by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RANS) analysis and a semi-empirical model for pressure fluctuation inside turbulent boundary layer. Coupled vibro-acous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VA One SEA’s Finite Element Statistical Energy Analysis (FE-SEA) hybrid module and ANSYS APDL. The process has been applied to a hammerhead launch vehicle to evaluate the effect of acoustic load reduction and accordingl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The presently developed process enables to obtain quick analysis result with reasonable accuracy and thus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initial design phase of a launch vehicle.

      • KCI등재

        수소수를 이용한 피부 개선 효과연구

        최인정,강상모 한국미용학회 2019 한국미용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experiment with tap water and electrolyzed hydrogen water to verify whether the facial cleansing with hydrogen water affects facial skins. The experiment tested twenty four men and women, who are from twenties to forties, using tap water for twelve people in the control group and hydrogen water for twelve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four weeks. After the four-week experiment,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the hydrogen water facial cleans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ap water facial cleansing for removing skin wastes while sustaining skin moisture from the test results of skin changes thirty minutes after facial cleans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acial skin moisture was 3.71%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p<0.05). The amounts of sebum were 51.33% lower (p<0.005) for the experimental group, pH was 8.36% lower (p<0.005) and TEWL was 2.75% lower (p<0.005), respectively. In the case of checking skin changes for two hours after facial cleansing, similar results were fou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acial skin moisture was 19.48%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p<0.05). The amounts of sebum for the experiment group were 36.16% lower (p<0.005), pH was 4.27% lower (p<0.005) and TEWL was 23.82% lower (p<0.005), respectively. Thus, it was shown that the hydrogen water facial cleansing had better cleansing compared to the tap water facial cleansing.

      • KCI등재

        Echinacea angustifolia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효과

        최인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2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0 No.3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chinacea angustifolia extract. Methods: For analysis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PPH, ABTS and FRAP were performed. To analyze antioxidant properties, in addition, polyphenol and flavonoid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cell-based assays, cytotoxicity and anti-inflammatory assays were performed, using RAW 264.7. Result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DPPH and ABTS assays revealed 27.98% and 20.29% respectively in terms of antioxidant activities when compared to ascorbic acid. In the FRAP assay, E. angustifolia extract (1 mg) showed 0.412±0.013 μg of reducing power (ascorbic acid). Polyphenol and flavonoid concentrations were 104.42±3.21 mg/g and 62.86±2.26 mg/g each. In terms of cytotoxicity, more than 80% cells survived after the assays, confirming the low toxicity of E. angustifolia extract. In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e extract reduced the inflammatory response and, at the same time, showed 51.07±4.58% inflammationinhibiting effects at 200 μg/mL, confirming the potential of E. angustifolia extract as an ingredient of cosmeceuticals.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rmed the potential of E. angustifolia extract as an ingredient of cosmeceuticals. 목적: 본 연구에서는 Echinacea angustifolia (E. angustifolia)열수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능및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방법: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FRAP 실험,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포실험에서는 RAW 264.7 cell을 사용하여 세포독성 실험과 항염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결과 DPPH 실험에서는 ascorbic acid와 비교 시 27.98%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ascorbic acid와 비교시 20.29%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E . angustifolia 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0.412±0.013 μg의 환원력을 보였다. 폴리페놀 농도는 104.42±3.21 mg/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62.86±2.26 mg/g으로 나타났다. 세포실험결과 세포독성의 경우 80% 이상의 세포가 생존하여 E. angustifolia 추출물이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항염 활성 실험에서도 농도에 따라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200 μg/mL 농도에서 51.07±4.58%의 염증 억제능을 보였다. 결론: E. angustifolia 추출물의 코스메슈티컬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건강검진 문진표를 활용한 2차 건강 검진자 판별을 위한 통계적 모형 구축

        최인정,이승수 강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3 기초과학연구 Vol.14 No.-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에서 문진표만을 이용하여 2차 건강 검진자를 판별하기 위하여 수량화 Ⅱ류와 판별분석을 활용한 통계적 모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