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친화제도에 대한 인식과 활용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은옥 ( Choi Eunok ),배정아 ( Bae Jungah )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구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4 No.4

        본 연구는 여성친화제도에 대한 인식이 조직 구성원의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최근 공공기관에서는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각종 여성친화적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도들이 얼마나 실효성을 가지고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또한, 기존 연구는 일-가정양립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여성친화제도 전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여성친화제도가 조직 구성원들의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여성친화제도에 대한 인식은 조직 구성원들의 양성평등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성친화제도의 활용과 조직 구성원들의 양성평등의식의 영향 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남성보다 여성이, 직급이 낮을수록, 근무지는 본사나 지역본부일수록, 미혼일수록 양성평등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여성친화제도의 효과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남성이나 기혼자 혹은 직급이나 근무지에 따라 맞춤형 여성친화제도를 발굴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women-friendly policies on gender equality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Recently, public institutions have implemented various women-friendly policies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policies. However,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how effective these policies are. In addition, existing studies mainly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study the overall women-friendly policies. This study empirically studied the effect of the women-friendly policies implemented by public institutions on gender equal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erception of women-friendly polices had a positive effect on gender equal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women-friendly policies and gender equality among members of an organization could not be confirmed. Thir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gender equality. These finding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women-friendly policies and suggest the need to find women-friendly policies for the attributes of organizational members.

      • SCOPUSKCI등재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밀의 기울과 배아에서 추출한 기름의 광산화 과정 중 천연산화방지성분의 변화

        최현기(Hyunki Choi),최은옥(Eunok Choe)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1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DNS)밀의 제분 중 발생하는 기울과 배아로부터 추출한 기름(WBG oil)을 5℃, 1700 Lux로 12일 동안 광산화시킬때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인지질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 이들과 WBG oil의 광산화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인지질은 WBG oil의 광산화 중 분해되었으며 DNS밀 WBG oil이 금강밀 WBG oil에서보다 토코페롤의 분해가 빨랐으나, 카로티노이드와 인지질 분해 속도는 느렸다. WBG oil의 광산화 정도와 산화방지성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으며 인지질이 WBG oil의 광산화에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금강밀 WBG oil에 비해 리놀레산 함량이 낮고 올레산 함량이 높았던 DNS밀 WBG oil은 지방산 조성은 물론 인지질의 높은 함량과 낮은 분해 속도에 기인하여 높은 광산화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빛의 존재하에서 DNS밀 WBG oil보다는 금강밀 WBG oil이 토코페롤 source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Naturally present antioxidants, tocopherols, carotenoids, and phospholipids in the bran and germ oils from Keumkang (K-WBG oil) and Dark Northern Spring wheats (DNS-WBG oil) were determined during storage under 1700lux light at 5℃ by HPLC. Oil oxidation was monitored by peroxide values (POV) and conjugated dienoic acid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antioxidants were degraded during storage of the WBG oils under light, with higher degradation rates for carotenoids and phospholipids in the K-WBG oil compared to the DNS-WBG oil. Light increased oil oxidation and the rate of oxidation was higher in K-WBG oil than in the DNS-WBG oil.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OV and residual amounts of antioxidants during photo-oxidation, with phospholipids showing the greatest effects on POV. This study suggests that a higher amount and lower degradation rate of phospholipids in the DNS-WBG oil contributed to its higher photo-oxidative stability compared to the K-WBG oil.

      • SCOPUSKCI등재

        금강밀과 dark northern spring밀의 기울과 배아에서 추출한 기름의 자동산화 안정성 및 미량성분 비교

        최현기(Hyunki Choi),최은옥(Eunok Choe)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6

        금강밀 또는 Dark Northern Spring(DNS)밀의 기울과 배아로부터 추출한 유지(WBG유)를 빛을 차단하고 50℃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값, 지방산조성 변화로 자동산화안정성을 평가하였고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엔올, 카로티노이드, 인지질 함량 변화도 함께 측정하였다. 금강밀과 DNS밀에서 추출한 WBG유는 초기 과산화물값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금강밀 WBG유는 DNS밀 WBG유에 비해 높은 유리지방산값을 보였다. 또한 금강밀 WBG유는 DNS밀 WBG유보다 리놀레산이, DNS밀 WBG유는 금강밀 WBG유보다 올레산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인지질 함량은 DNS밀 WBG유에서 많았으며 토코페롤과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반대 경향을 보였다. 금강밀과 DNS밀에서 추출한 WBG유는 산화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산화속도는 두 기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금강밀과 DNS밀 WBG유의 자동산화 중 카로티노이드와 인지질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분해되었고, 인지질함량이 WBG유의 자동산화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Autoxidative stability of wheat bran and germ oil extracted from Keumkang wheat (WBG-K) or Dark Northern Spring wheat (WBG-DNS) at 50℃ in the dark was compared by peroxide values (POV) and fatty acid composition by gas chromatography. Changes of minor compounds were monitored by HPLC. WBG-K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inoleic but lower oleic acid content than WBG-DNS. WBG-DNS contained more phospholipids but les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than WBG-K. POV of oils was increased during storag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xidation rates between two oils. Tocopherols, carotenoids, and phospholipids in both oils were degraded during the autoxidation. Total phospholipids conten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oxidation in WBG oils.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both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ocopherols, carotenoids, and phospholipids co-affected the autoxidation of WBG oil.

      • KCI등재

        다양한 식용유로 제조한 물속 기름 에멀션의 자동산화 안정성 평가

        최동진 ( Dongjin Choi ),임지원 ( Jiwon Im ),최은옥 ( Eunok Choe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2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7 No.3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utoxidative stability of oil-in-water (O/W) emulsions (4:6, w/w) of various edible oils manufactured by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Methods: Emulsions consisted of commercially available edible oils (40 g) and citrate buffer (pH 4.0, 60 g) with addition of xanthan gum (0.35 g) and egg yolk lecithin (35 mg), and were stored in the dark at 40°C. The edible oils included refined olive oil (ROO), extra virgin olive oil without refining (EVOO), refined, bleached, and deodorized soybean oil (RBDSO), cold pressed oil of unroasted sesame seeds (URSO), roasted sesame oil (RSO), and RBD canola oil (RBDCO). Lipid oxidation of the emulsions was spectrophotometrically evaluated based on the hydroperoxide contents and p-anisidine values (PAV). Total contents of polyphenols in the emulsions were determined by spectrophotometry. Results: The hydroperoxide content and PAV increased with storage time due to lipid oxidation. The emulsion with URSO, ROO or EVOO showed higher hydroperoxide contents than the emulsion with RBDSO or RBDCO during storage mainly due to higher initial values. However, the oxidation rate was lower in the emulsion with EVOO or RSO compared to ROO and URSO, respectively. The emulsion with RBDCO or RBDSO which was fully-refined oil showed higher oxidation rates than those with olive or sesame oils. This suggests higher oxidative stability of the emulsion with olive or sesame oils despite their higher initial value of lipid oxidation, possibly due to the higher quantities of polyphenol compounds and their stability in these oils. The Maillard reaction products could be additional contributors to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RSO emuls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variation in autoxidative stability of O/W emulsions with different oils could be attributed to more hydrophilic polyphenol compounds rather than hydrophobic tocopherols. Thus, EVOO or RSO could be a good choice of edible oil for the preparation of an O/W emulsion with high lipid oxidative stability.

      • KCI등재

        중학교 단계 진로지도가 고교 진학 후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배상훈(Bae, Sanghoon),최은옥(Choi, Eunok),장창성(Jang, Changs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단계에서 이루어진 진로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고교 진학 후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진로지도 프로그램은 진로(진학)관련 상담, 진로관련 검사, 직업체험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독립변인에는 성, 부학력, 소득수준, 부모자녀관계,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포함하였다. 전국 21개 고교에 재학 중인 816명의 1학년 학생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에서 이루어진 진로관련 검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교 단계에서의 진로성숙도가 높았지만, 진로(진학)관련 상담이나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경우도 특성화고 집단에서 진로관련 검사에 대한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교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지도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실질적으로 실제 학생들의 진로성숙 수준을 제고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areer guidance activities at middle schools and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t high schools. Career guidance activities include career & guidance counseling, career testing, and work experience program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gender, father's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level, parent-children relationship,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order to examine these relationships, samples included 816 students from 21 high school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nly found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of career testing and career maturity of students. It was only among vocational students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level of career te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