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론소기』에 인용된 『성실론』 주석서逸文의 사상적 고찰

        최은영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My paper focused exclusively on the explanations of a Chengshi (成實) master named Master Cong and his Commentary on the Chengshilun (成實 論疏), which contained the largest number of anecdotes. No accurate evidence exists to confirm the years he was born and died, nor his works or theories. I couldn’t find the records about him by the historical biography. But through a careful survey of quotations in Commentary on the Chengshilun, I determined that Master Cong was one of those who made extra effort to prove that the Chengshilun is a Mahāyāna text. It is remarkable that Master Cong used Śrīmālāsiṃhanāda sūtra and Mahāparinirvāṇa sūtra as his canonical proof to demonstrate that the Chengshilun is tied to Mahāyāna. Nevertheless, it is inevitable that Chengshilun never took the Mahāyānic no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into account. That might be one of the main reasons that Chengshilun was denigrated as a Hīnayānan text later on, despite all the efforts of Master Cong and his colleagues. Meanwhile, Master Cong’s creative annotations on the two different concepts of “Two Kinds of Sunyata” and the “Twofold truth,” which are not found in other texts, influenced later studies on Tiantai and Chinese Buddhism. Based on my research the categories of research documents on Sanlun studies and Chengshi studies were expanded, and new approaches to Satyasiddhiśāstra and research on the perspectives of Chengshi scholars were proposed. In the future, I anticipate expanded research into such subjects as Master Cong and the Chenshi masters. 구마라집의 역경이후 위진남북조시기에 『성실론』은 중국에서 매우 유행한논서였다. 많은 주석서가 지어졌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최근에 돈황본 단편이발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온전하게 전하는 것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천태와 삼론의 문헌 속에 남겨진 대표적인 성실사들의 이해를 통해서 연구되었다. 그런데 安澄(763~814)의 『中論疏記』는 오늘날전하지 않는 성실사들의 逸文을 많이 보존하고 있어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이 가운데 聰法師 『成實論章』 일문에 나타난 성실사의 견해를고찰해본 것이다. 총법사라는 인물은 현존하는 자료들을 통해서는 정확한 생몰시기와 저술, 사상적 특징을 확인할 수 없다. 그동안 연구된 적이 없었던남겨진 문장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법사는 『성실론』의 大乘義나 四 諦說을 『승만경』 등 대승경전의 經證을 들어서 설명하는 특징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총법사의 문장은 성실대승의를 밝히는 곳에 대한 구체적인 인용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의 성실사들이 『성실론』을 대승이라고 여기고, 그렇게 설명하려고 노력했던 방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총법사의 이러한설명은 『성실론』 자체의 일반적인 사제설을 고려하지 않은 편중된 이해방식이라고 지적할 수 있으며, 후대에 삼론가에게 소승이라고 평가를 받게 되는데 근거를 제시하는 일면이라고 논자는 생각한다. 한편 人法二空과 二諦에 대한 다른 문헌에서 발견되지 않는 총법사의 독창적인 주석 속에서 이후 중국불교사상에 수용되고 변형되었을 자취가 발견되기도 하여 흥미를 이끈다. 대표적인 예로 방광(론자)에 대한 견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길장이 적극적으로 배척하는 대표적인 한 부류에 들어가며, 공을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여 二諦의 뜻을 상실한 사람들을 지칭한다. 총법사의 해석은 삼론가에게도 그대로 수용되었을 가능성을 남겨둔다. 또한 『중관론소』 에서 성실사들이 四諦平等에 대한 견해가 있었다는 것을 밝혔는데, 그에 관련된 성실사의 입장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서 일문연구가 향후 성실학 관련 연구영역을 확장시킬 수있음이 잘 드러났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총법사와 같은 성실사 발굴 영역이확대되고, 남북조시기 성실학자의 연구에 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중론소기』에 인용된 『성실론』 주석서 逸文의 사상적 고찰 / 최은영 411 시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 터모그래피 측정을 통한 셀룰라이트 관리에 관한 연구

        최은영 김천과학대학 2005 김천과학대학 논문집 Vol.31 No.-

        Cellulite is a condition affecting of women characterized by dimpled tissue on the upper outer thighs, posterior upper thighs, and lower buttocks. The term Cellulite is generally used to describe the alteration in the skin surface that gives the skin an orange peel or quilted appearance. To date it is not possible to make an exact distinction between so-called Cellulite and simple obesity. The initial changes leading to Cellulite formation appear to be deterioration of the dermal matrix and vasculature, particularly loss of the capillary networks, leading to excess fluid retention within the dermal and subcutaneous tissues. This loss of the capillary network is thought to be due to engorged fat cells clumping together and inhibiting venous return. A variety of treatments, to include xanthines, herbal derivatives, heating, massage, and skin kneading, have been put forth as possibly reducing the dimpled skin appearance. In Cellulite stage it is particularly difficult to evaluate temperature differences on the skin surface by touch alon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 method that can be applied rapidly and easily: ideally, this method would be capable of supplying, in a brief time span, a thermal map of the skin surfaces to be examined. The method should fit with the practical needs of technicians, both in the cosmetic field and in the proper medical field. Import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 : Constant management can improve symptoms of Cellulite by the use of aroma products inclusive of the essential oil.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aromatherapy is helpful in Cellulite.

      • KCI등재후보

        화장품 방부제로서 Grapefruit Seed Extract의 효과

        최은영,김유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2

        Grapefruit Seed Extract (GSE) have been well known as natural materials with its distinguishe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this study, antifungal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methyl paraben and propyl paraben, which are both synthetic and common cosmetic food grade preservatives, and also that of natural preservatives were tested, and by measuring preservative quality of lotion formulation, possibility of replacement of existing synthetic preservatives with a natural preservative was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of the test with liquid culture medium revealed that GSE had the highest antimicrobial effect among the test resulting materials having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 Therefore, from the results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all natural materials had higher level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based on this test result, relevant cosmetics were made and the possibility of a preservative was tested accordingly. From the results of th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antimicrobial activities which were higher level than that of existing synthetic preservatives or similar to it in all formulations that contained each of GSE and the results from the test displayed that there were antimicrobial activities in a lively fashion at 0.03 %, 0.1 %, 0.1 % concentration, respectively. Also, from the results of the test of preservative quality according to mixture use of essential oil, it was unable to confirm the rising effects caused by mixture use, for it had displayed similar results to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ono oil. In consequence, it was concluded that GSE could replace existing synthetic preservative effectively.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합성방부제인 methyl paraben, propyl paraben과 미생물에 항균성이 뛰어난 천연물질로 알려져 있는 천연방부제로서 Grapefruit Seed Extract의 향균력을 실험하고 로션제형에서의 방부력을 측정함으로써 화장품 제조분야에 사용되는 기존 합성방부제를 천연 방부제로의 대체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Grapefruit Seed Extract에 대한 항균력 시험결과 disc paper method를 이용한 실험에서 Grapefruit Seed Extract 물질의 항균효과와 농도에 따라 항균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액체배지에 시험한 결과 최소 저해농도(MIC), 최소 살균농도(MBC)값의 실험결과 GSE는 우수한 항균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시럼한 천연물질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결과에 따라 화장품을 제조하여 방부제로써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Grapefruit Seed Extract를 각각 함유하는 모든 제형에서 기존의 합성방부제 보다 높거나 유사한 방부활성을 확인하였고 각각 0.03%, 0.1%, 0.1%에서 효과적으로 방부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GSE를 화장품 방부제에 적용할 경우, GSE를 함유한 제품에는 낮은 농도의 방부제만으로도 방부력 효과가 높을 것이며, 내용물의 안전성 또한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애매모호한 광고메시지의 광고효과: 인지욕구와 애매모호성 관용을 중심으로

        최은영,황장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2

        Although the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he ads messages with a certain level of ambiguity have positive impact on ads effectiveness, this study brought the ads effectiveness of ambiguous message into question, by verifying the negative effect of ambiguous messages. The level of ambiguity of each stimuli was controlled by providing the amount of information, such as visual, copy, and a picture of product. Respondents were surveyed on their attitude, purchasing intention toward 4 different stimuli, and their level of need for cognition(NFC) and tolerance of ambiguity(TOA).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ambiguity of messages had influenced to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in negatively.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level of NFC or TOA were not observ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애매모호성이 높은 광고의 효과가 낮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서 소비자가 애매모호한 광고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은 태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문헌에서는 어느 정도의 애매모호한 메시지가 소비자들에게 낯섦과 새로움 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한다는 것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쇄 광고 메시지에 제공되는 정보의 양(비주얼, 카피, 제품그림의 조합 등)을 조절하여 메시지의 애매모호성 수준을 구분하였고 이에 대한 광고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메시지의 애매모호성 수준의 차이가 실험 광고물을 접촉한 후(참여자가 광고물을) 떠올리는 인지적인 반응의 차이를 가져왔으며, 각각 다른 광고태도를 형성시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입증되었다. 즉, 광고물에 나타난 메시지가 애매모호할수록 광고 태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역으로 애매모호성이 낮을수록 광고 효과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덧붙여 조절변인으로는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욕구와 애매모호관용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은 애매모호한 메시지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애매모호한 메시지의 부정적인 광고 효과에 대해 검증해 냄으로써 애매모호한 메시지만으로 소비자들이 광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기 어렵기 때문에 애매모호한 메시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광고 실무자들이 기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전 조건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실무적인 함의를 포함하고 있다.

      • KCI등재

        사용자 가치 기반에 의한 교육용 모바일 앱의 UX디자인 설계전략

        최은영,Choi, Eun-Y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1 No.7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UI/UX에 대한 관심 및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교육용 모바일 앱 개발 시 가치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디자인 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비자 가치 분석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평가모형의 주요 요인들은 소비자의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앱 개발 시 기존 애자일 방식의 개발 단계에 사용자 가치 분석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평가 주요 요인들을 반영하게 되면 최적의 UX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앱은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높여주게 되어 지속적인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active usage of digital media, the importance of and the interest in User Interface (UI)/User Experience (UX) have been increasing.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design evaluation model to utilize the quality analysis model as a basis if there were to be a development of mobile education application. Main factors of the design evaluation model, which is based on User Value analysis, influence users' attitudes and intentions in continuing their uses of a mobile education application. The employment of the design evaluation factors onto the existing agile method's development stage, therefore, would provide an optimal UX environment for the application. This application not only will increase the satisfactions of consumers, but also will have positive impacts on their intentions in continuing their uses of a mobile education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