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론소기』에 인용된 『성실론』 주석서逸文의 사상적 고찰

        최은영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My paper focused exclusively on the explanations of a Chengshi (成實) master named Master Cong and his Commentary on the Chengshilun (成實 論疏), which contained the largest number of anecdotes. No accurate evidence exists to confirm the years he was born and died, nor his works or theories. I couldn’t find the records about him by the historical biography. But through a careful survey of quotations in Commentary on the Chengshilun, I determined that Master Cong was one of those who made extra effort to prove that the Chengshilun is a Mahāyāna text. It is remarkable that Master Cong used Śrīmālāsiṃhanāda sūtra and Mahāparinirvāṇa sūtra as his canonical proof to demonstrate that the Chengshilun is tied to Mahāyāna. Nevertheless, it is inevitable that Chengshilun never took the Mahāyānic no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into account. That might be one of the main reasons that Chengshilun was denigrated as a Hīnayānan text later on, despite all the efforts of Master Cong and his colleagues. Meanwhile, Master Cong’s creative annotations on the two different concepts of “Two Kinds of Sunyata” and the “Twofold truth,” which are not found in other texts, influenced later studies on Tiantai and Chinese Buddhism. Based on my research the categories of research documents on Sanlun studies and Chengshi studies were expanded, and new approaches to Satyasiddhiśāstra and research on the perspectives of Chengshi scholars were proposed. In the future, I anticipate expanded research into such subjects as Master Cong and the Chenshi masters. 구마라집의 역경이후 위진남북조시기에 『성실론』은 중국에서 매우 유행한논서였다. 많은 주석서가 지어졌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최근에 돈황본 단편이발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온전하게 전하는 것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천태와 삼론의 문헌 속에 남겨진 대표적인 성실사들의 이해를 통해서 연구되었다. 그런데 安澄(763~814)의 『中論疏記』는 오늘날전하지 않는 성실사들의 逸文을 많이 보존하고 있어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이 가운데 聰法師 『成實論章』 일문에 나타난 성실사의 견해를고찰해본 것이다. 총법사라는 인물은 현존하는 자료들을 통해서는 정확한 생몰시기와 저술, 사상적 특징을 확인할 수 없다. 그동안 연구된 적이 없었던남겨진 문장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법사는 『성실론』의 大乘義나 四 諦說을 『승만경』 등 대승경전의 經證을 들어서 설명하는 특징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총법사의 문장은 성실대승의를 밝히는 곳에 대한 구체적인 인용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의 성실사들이 『성실론』을 대승이라고 여기고, 그렇게 설명하려고 노력했던 방식을 보여준다. 그러나 총법사의 이러한설명은 『성실론』 자체의 일반적인 사제설을 고려하지 않은 편중된 이해방식이라고 지적할 수 있으며, 후대에 삼론가에게 소승이라고 평가를 받게 되는데 근거를 제시하는 일면이라고 논자는 생각한다. 한편 人法二空과 二諦에 대한 다른 문헌에서 발견되지 않는 총법사의 독창적인 주석 속에서 이후 중국불교사상에 수용되고 변형되었을 자취가 발견되기도 하여 흥미를 이끈다. 대표적인 예로 방광(론자)에 대한 견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길장이 적극적으로 배척하는 대표적인 한 부류에 들어가며, 공을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여 二諦의 뜻을 상실한 사람들을 지칭한다. 총법사의 해석은 삼론가에게도 그대로 수용되었을 가능성을 남겨둔다. 또한 『중관론소』 에서 성실사들이 四諦平等에 대한 견해가 있었다는 것을 밝혔는데, 그에 관련된 성실사의 입장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서 일문연구가 향후 성실학 관련 연구영역을 확장시킬 수있음이 잘 드러났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총법사와 같은 성실사 발굴 영역이확대되고, 남북조시기 성실학자의 연구에 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중론소기』에 인용된 『성실론』 주석서 逸文의 사상적 고찰 / 최은영 411 시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 사상체질별 MBTI 성격유형의 특성 분석

        최은영,신석기 대한피부미용학회 2007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5 No.2

        A holistic care, which is an esthetic field for health, has become prevelent as a way to overcome their physical and mental imbalance, and they are paying attention to skin care through Sasang constitution. This study aimed at figuring out the relations on the Jung's psychological types, Sasang constitutions, and personality traits. The subject for the study was recruited from women aged in their twenties in college 226 women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determining the Sasang constitutions by QSCC Ⅱ,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analysed by MBTI. The collected data was anaylyzed with the SPSS 10.0 windows statistical program. The values of Cronbach's alpha for the Taeyangin, Taeumin, Soyangin and Soumin questionnaire were 0.54, 0.71, 0.45 and 0.73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nstitutions were shown in the order of Taeumin(45%), Soyangin(28%), Soumin(18%) and Taeyangin(9%). On the other hand the traits of MBTI was shown in the order of ESTJ(12.8%), ISTJ(12.4%), ESFJ(11.9%), ESFP(9.3%). Taeyangin group showed more preference for Extroversion, Intuition, Thinking and ESTJ. Soyangin group showed more preference for Perception, Sensing, Feeling and ESFP. Taeumin group showed more preference for Judging, ESFJ and ISTJ. Soeumin group showed more preference for Introversion, Judging and ISTJ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MBTI psychological typ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MBTI could be useful tool to understand ps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 Therefore further study is considered to be required.

      • KCI등재

        모바일 교육 콘텐츠의 사용성 평가요인 분석: 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최은영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0

        Mobile learning, which provides educational services with a mobile platform, has been greatly expanding with the increasing spread of digital devices. The transition from PC-based online education to mobile-based education enables users to access online education anytime and anywhere. Despite this expansion of mobile learning, there is a lack of user-oriented content design.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a measure to evaluate usefulness of the content design.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existing measures, which evaluate usefulness and content of mobile learning. As educational mobile applications have both educational service and mobile device features, they can be representative of pedagogical usability criterion and can be divided into system and content areas to further develop effectiveness of learning.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the use of these applications on 15 experts using the del phi technique. The analysis suggests the ease of use, learning efficiency, aesthetics, and ease of learning to be criteria of pedagogical usability. This study expects to serve as a basi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learning users. 디지털 기기의 확산으로 모바일을 이용하여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러닝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PC중심의 온라인 교육에서 모바일 교육으로의 전환은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모바일러닝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설계가 부족한 아쉬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설계를 위한 사용성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사용성 평가 및 교육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헌고찰을 이용하여 교육용 모바일 특성에 맞는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육용 모바일 앱은 교육서비스의 특징과 모바일 디바이스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적 사용성 항목으로 대표할 수 있으며, 이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스템과 콘텐츠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항목을 도출할 수 있다. 델 파이 기법을 통해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사용성과 관련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조작용이성, 학습효율성, 심미성, 학습용이성이 교육적 사용성 평가항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모바일 기반 학습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50세 이상 한국인에서 요통과 비만 및 복부 비만과의 관련성

        최은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8 No.3

        Background:Both low back pain (LBP) and obesity are important public issues, but the association between them is controversi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LBP with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mong Koreans aged 50 years or more. Methods:This cross-sectional study analyzed data from participants aged 50 years or more (n=11,941) who measured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and answered the questions about low back pain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3.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LBP with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weight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after adjusting for socioeconomic variables and lifestyle variables. Results:The prevalence of LBP in men and women was 13.1% (standard error [SE], 0.6)and 31.0% (SE, 0.8), respectively, higher in women than men (P<0.001). For women only, abdominal obes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revalence of LBP (odds ratio [OR] 1.20,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44) after adjustment of confounding variables, and the odds ratio of LBP in the highest quartile of waist circumference was higher compared to the lowest quartile of waist circumference (OR 1.30, 95% CI 1.02-1.66). For men abdominal obesity was not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revalence of LBP. There were no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nd LBP in both men and women. Conclusions:This population-based, nationally representative study suggests that abdominal obesity increases the risk of LBP in women aged 50 years or more. 연구배경: 요통과 비만은 보건학적으로 중요한 문제이지만, 아직 그 관련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소지가 있다. 본 연구는 요통과 비만 및 복부비만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2010년도부터 2013년까지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5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키, 몸무게, 허리둘레를 모두 측정하고 요통 여부에 관한 질문에 응답한 총11,9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분석은 가중치를 고려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생활습관요인을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요통의 유병률은 남성에서 13.1% (SE, 0.6), 여성에서 31.0% (SE, 0.8)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여성에서 복부비만은 다른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요통의 교차비가 1.20 (95% CI, 1.01-1.44)으로 요통의 유병률 증가와 관련이 있었으며, 허리둘레 1사분위인 여성에비하여 4사분위에서 요통의 교차비가 1.30 (95% CI, 1.02-1.66)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남성에서는 복부비만은 요통과 관련이 없었으며, 여성과 남성 모두 비만은 요통과 관련이 없었다. 결론:50세 이상의 한국 여성에서 복부비만은 요통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