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심미적 음아교육철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은식 ( Eunshik Choi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1998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22 No.-

        In the last 30 years, the concept of music education as aesthetic education has been almost the sole philosophical basis of mus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basic premises of this music education philosophy have been drawn from aesthetic views of philosophers, called absolute expressionism, such as Dewey, Meyer, and Langer. It was Reimer who adopted these ideas and developed them into a body of music education philosophy-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s aesthetic education. Advocates of this educational philosophy claims that what music represents is a form of feeling. Consequently, what the learner of music should listen from music is that form of feeling expressed in music. Therefore, to aesthetic music educators, learning music is no more than learning to respond this feelingful form (they call it ‘import’) in music. This philosophical view of music education, which have not been met by any significant challenges until recent, was first criticized by David Elliot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According to him, the most serious weakness of Reimer`s philosophy is its basic promise. That is, Reimer and advocates of aesthetic education regard music as an object to be appreciated. One of the results of this perspective is to neglect the procedural aspect of music making. Elliot insists that the process of music mak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ant product of music. His claim is further supported by ethnomusicological findings which show that the cultural phenomenon of musical appreciation for the sake of musical appreciation is rarely found in the cultures other than the western culture. Elliot suggests ‘praxialism’ as an alternative philosophical perspective to the aesthetical view. The praxialism puts more emphasis on the creative process of music making. Finally, even though the aesthetical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usic education field by providing a unifying basis from which each music educator has found rationales. it failed to explain the process aspects of music. The praxialism can compensate the weakness of the aesthetic view.

      • KCI등재

        음악창의성 연구동향에 관한 메타분석

        최은식 ( Choi Eunshik ),신혜경 ( Shin Hae-ky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연구 동향에 나타난 음악창의성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메타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으로는 2001년부터 2017년까지 국제전문학술지에 수록된 음악창의성 논문 115편을 선정하였다. 일반창의성 연구에서 사용되어 온 창의성의 수준 및 범주, 협력적 창의성 여부의 항목을 비롯하여 음악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음악활동 영역, 활용 매체의 다섯 가지 범주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음악창의성 연구에서 다루는 창의성의 수준은 전문적 창의성이 과반수인 51.3%를 차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작은 창의성이 29.6%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창의성의 범주는 창의적 사고과정에 관한 연구가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가지 이상의 범주를 다룬 복합 범주에 관한 연구도 28.7%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창의성 연구에서 나타난 음악활동은 작곡 47.0%와 즉흥연주 15.7%이었으며, 작곡이나 즉흥연주를 포함한 통합 활동도 27.8%를 차지하여 음악 창작 활동에 높은 편중을 보였다. 넷째, 활용 매체는 악기를 비롯한 전통적 매체가 46.1%로 밝혀졌다. 디지털 매체도 22.6%를 차지하였으며, 전통적 매체와 디지털 매체를 복합적으로 활용한 연구가 23.5%로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전반적으로 상당한 비율로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분석 대상 연구의 55.7%에서 협력적 창의성을 다루고 있어 개인적 창의성보다 높은 비율로 다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in music creativity research. The meta analysis results of 115 studie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from 2001 to 2017 for topics such as the level of creativity, category of creativity, areas of music activity, applied media, and cooperative creativit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level of creativity, 51.3% of the studies focused on Pro-c and 29.6% centered on little-c; second, 36.5% of the studies addressed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whereas the composite category which covered more than two categories accounted for 28.7%; third, much of the music creativity research focused on music creation, with music activities in the studies consisting of composition (47.0%), improvisation (15.7%), and the category of integrated activities (27.8%) also including composition or improvisation; fourth, traditional media, including musical instruments, accounted for 46.1%, digital media accounted for 22.6%, and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and digital media accounted for 23.5%; fifth, 55.7% of research studies dealt with cooperative creativity.

      • KCI등재

        5G 테크놀로지 시대의 블렌디드 음악수업

        최은식 ( Choi Eunshik ),정재은 ( Jeong Jaeeun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2

        Covid-19로 인해 세계가 변화하고 있으며, 음악교육도 예외는 아니다. 학교에서의 수업은 대면보다는 비대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음악수업의 형태는 다양한 활동의 통합이라기 보다는 감상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합주나 합창등 음악 본연의 다양한 활동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의 장점을 활용하는 블렌디드 수업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음악교육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수업에서의 블렌디드 수업의 활용 방향을 논하였다. 이와 함께, 학교의 음악 학습이 소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라는 면에서 5G 테크놀러지의 가능성을 활용한 블렌디드 수업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개념적(conceptual)적으로 구성 가능한 대부분의 일반 교과의 학습 내용과 달리 음악과목의 학습 내용은 본질적으로 지각적(perceptual)이다. 즉, 음악학습의 내용은 학습자의 감각과 지각에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영상, 음원과 같은 음악학습 콘텐츠의 질을 높임으로써 음악학습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사태가 해소된 이후에도 학교 교육의 방향에 있어 핵심적인 이슈가 될 것이 확실한 온라인-오프라인 블렌디드 교육 환경 속에서 5G 테크놀로지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한 블렌디드 음악 수업의 가능성 및 실제 블렌디드 수업 사례를 검토해보고, 향후 음악교육에 있어서 블렌디드 수업의 방향을 함께 논의하였다. Under Covid19 situation, the world is changing rapidly, and music education is no exception. Classes at school are conducted in untact rather than in person and music classes are focused on listening activity rather than integrating various activities, and there are few activities for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music such as ensemble and chorus. Therefore, blended learning that utilize the advantages of online and offline are suggested as alternatives, and music education also requires consideration to utilize them. I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use of blended learning in music classes is discussed, and blended learning using the possibility of 5G technology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in terms of the content being sound-oriented activities. Because, unlike the learning content of most general subjects that are conceptually configurable, the learning content of music subjects is essentially perceptual. This means that the content of music learning can be presented to learners' senses and perceptions, and that the quality of music learning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music learning content such as video and sound source. In this study, we will demonstrate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5G technology in an online and offline blended educational environment, examine the possibility of music class where it is applied, and suggest a direction of blended learning at school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1992년~2019년 국내 학술지 게재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최은식 ( Choi Eunshi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1992년 ~ 2019년까지 지난 약 30년 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106편의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음악교육연구의 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문헌분석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많은 음악교육 연구자가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대상의 범위를 국외 문헌자료와 다양한 연령대의 학습자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방법에 있어 질적 방법과 실험적 방법의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학습자의 주권 교육, 주류 한민족 학생을 위한 문화다양성 교육, 전 연령대 대상의 다문화 감수성 교육 등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구주제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자국내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다문화 음악교육의 유형을 설정하고, 설정된 유형의 타당성을 검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기존에 연구된 다양한 다문화 음악 교육 방법과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or the past 30 years from 1992 to 2019, and to suggest future task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e categories of analysis were first, publication time, second, subjects, third, research methods, fourth, titles of the published journal, fifth, research topics, and sixth, typ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was most actively conducted in the 2010s. Second, the subject of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Third,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urth, the articles were published in 48 academic journals in 13 academic fields. Fifth,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usic teaching-learning materials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opic. And sixth, the type of amalgamation among Elliott’s typ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he tasks of future research, which are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r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need t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Second, literature materials of other multicultural nations and learners of various ages should be included as research sub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experimental methods to verify the effects of formerly develope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ethods.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topics to include sovereignty education for learn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for mainstream Korean ethnic students, an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r all ages. Fift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easibility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ypes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s, and methodological studies to realize them.

      • KCI등재

        예술계고등학교 진학희망 중학생의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85설립에 관한 인식

        최은식(Eunshik Choi),신지혜(Jihae Shi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4

        본 연구에서는 예술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서울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 및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시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서울시 382개 전체 중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144개 학교의 1221명의 중학생이 최종 연구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대다수가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설립에 찬성한다고 답변하였으며, 그 이유로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예술영재들에게 교육 제공의 기회와 사교육비 경감을 우선 순위로 꼽았다. 둘째, 응답자들은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위해서 예술가적 창의성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고, 예술현장과 연계된 프로그램 강화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 교육환경 운영 방안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전공실의 확보, 전공교육을 위한 시설구축, 우수한 교·강사의 확보를 매우 중시하였다. 셋째, 응답자들은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교육목표로 실기능력 강화와 창의성 신장을 우선으로 선택하였다. 하지만 응답을 영역별로 묶어 비교 분석한 결과 과반수의 학생들은 실기 및 진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영역을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주요 목표로 선택함으로써 예술고등학교가 예술가 인재 양성을 위한 주요한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서울공립예술고등학교의 개설전공으로 순수예술과 관련된 전공을 우선적으로 희망하였다. 하지만 응답자들은 또한 연극영화, 문예창작, 만화창작 뿐 아니라 뮤지컬, 실용음악, 모델학과, 영상제작, 방송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대중예술과 관련된 전공이 개설되기를 희망한다고 답변하였다. 다섯째, 과반수의 응답자들은 내신성적과 실기시험 위주인 현 예술고등학교 선발방식의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이외 추가적인 선발방안으로 면접, 표준화검사, 포트폴리오 등이 도입되기를 희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ope to attend arts high schools about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382 middle schools in Seoul, and 1221 students in 144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greed to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which would provide students with better opportunities to learn arts and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Second,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programs which stimulate students creativity and are closely related to arts fields as well as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secure educational space, facility for arts education, and excellent instructors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participants considered performance skill improvement and creativity development to be educational objectives of a public arts high school, but it was also shown that the majority of the responses 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performance and career. Fourth, the respondents primarily hoped pure arts majors to be provided in a public arts high school in Seoul, but they also thought that various public arts majors, including musical, model, and broadcasting, needed to be provided. Finally,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entrance examination of arts high schools, and when asked to choose additional methods of selection, they preferred interview, a standardization test, and portfolio.

      • 사범계열 음악교사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최은식 ( Choi Eunshik ),석문주 ( Seog Moon-joo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6 미래음악교육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우리나라 사범계열 음악교사 교육과정의 연대별 변천을 역사적으로 고찰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중등교원 양성 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9개 사범대학의 7년대 이후 교육과정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하였다. 이 자료들에 대하여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범주를 중심으로 70년대 이후 주요한 변천을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학 과목의 경우 첫째, 교과교육학 과목이 증가하였으며, 둘째, 음악 활동 영역별 과목이 확대되었고, 셋째, 국악교육 관련 과목이 확대되었으며, 넷째, 교과교육학 영역이 세분화 되었고, 다섯째,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과목의 나타났다. 교과내용학의 경우에는 첫째, 실기관련 과목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둘째, 국악관련 과목이 확대되었고, 셋째, 심화과목이 축소되었으며, 넷째,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한 과목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historical changes of the curriculums for music teacher education in the schools of education in Korea.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from 9 universities which hold the department of music in the school of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wo big categories: (1) changes in music education-related subjects, and (2) changes in music-related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to the case of music education related subjects, (1) the number of music education related subjects has been increased; (2) the number of subjects for teaching music by musical activities has increased; (3) the number of subjects for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ncreased; (4) music education related subjects have been subdivided; and (5) subjects for teaching new trends have appeared. As to the case of music-related subjects, (1) there have been almost no changes in subjects for performance; (2) the number of subject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increased; (3) the number of in-depth music theories have decreased; and (4) there have appeared subjects which reflect interests of students.

      • KCI등재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과 실천주의 음악교육철학의 비판적 조망

        최은식 ( Choi Eunshik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3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 철학과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교육 철학은 20세기 중반에서 현 재에 이르기까지 세계 학교 음악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는 대표적 담론들이다. 경 험중심 음악교육 철학으로 불리는 리머의 철학은 3회에 걸친 저술의 개정을 통하여 음악에 대한 전통 미학적 관점을 발전시켰고, 리머의 미적 관점에 대한 실천주의적 대안을 제시한 엘리엇은 2회에 걸친 저술의 개정을 통해 음악교육의 사회·윤리적 관점을 더욱 정교하게 발 전시켰다. 이 두 관점은 인간의 본질, 음악의 본질, 그리고 음악교육의 본질에 대해 매우 상 충하는 것처럼 보이는 논증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충은 어느 하나의 관점이 절대 적으로 옳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과 음악, 그리고 음악교육의 다층적 속성을 상호보완적으로 설명해주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인간, 음악, 그리고 음악교육에는 리머가 주장하는 바 대로의 객관적, 보편적 본질이 존재할 뿐 아니라, 엘리엇의 주장하는 바 대로의 문화적, 맥락적, 그리고 실천적 본질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악교육자 들은 이 두 관점이 가지고 있는 음악교육 철학으로서의 장단점을 비판적이면서 동시에 통합 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Bennett Reimer’s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and Elliott’s praxial music education philosophy are representative viewpoints that provide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school music education from the lat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Reimer's philosophy, which is called the experience-based music education philosophy, represents traditional aesthetic perspective on the nature and values of music and music education. On the other hand, David Elliott has developed the socio-ethical perspective on music and music education through the first publication and the revision of his book ‘Music Matters’. These two perspectives seem to contain very conflicting arguments about the nature of human beings, music, and music education. However, this conflict seems to be complementary, due to multi-layered nature of human beings, music, and music education. That is, for human beings, music, and music education, not only the objective and universal qualities that Reimer claims exist, but also the cultural, contextual, and praxial qualities that Elliott claims exist at the same time. Therefore, music educators need to critically look a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se two perspectives, and to understand these two perspectives in an integrated way.

      • KCI등재

        코로나 시기 한국 중등 교사의 음악수업 경험과 음악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최은식 ( Choi Eunshik ),오지향 ( Oh Ji Hya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도 1학기-2021년도 1학기 동안 한국의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원격 음악 교육의 실태와 중등 음악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응답한 272명의 중등 교사 중에 원격음악수업을 하였다고 응답한 26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다수의 중등 음악 교사들이 팬데믹 기간 동안 온라인 원격 음악수업의 준비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성별이나 경력, 그리고 세부 전공에 따른 어려움의 인식 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온라인으로 제공한 학습의 영역에 대한 응답에서는 온라인 학습의 특성상 가장 실시가 용이한 감상 활동을 제외하고는 자신들의 세부전공에 해당하는 학습영역을 위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중등음악교사들이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자신감을 보이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원격 음악 수업 준비에 대한 어려움의 정도와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의 여러 하위 요인들간에 상관관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스트 팬데믹 시기 중등학교 현장의 음악 교육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형태의 블렌디드 학습에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여야 할 필요성과 함께, 현장교사의 재교육과 예비 음악 교사의 교육에 있어서도 자신의 세부 전공 이외의 학습 영역에 대한 교수 역량을 증진시키고, 전통적인 테크놀로지뿐 아니라 디지털 뉴미디어를 음악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교육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atus of online distance music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2021,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erception of secondary music teachers o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Among 272 secondary school teachers,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on 264 teachers who responded that they had implemented remote music clas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ny secondary music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online remote music classes during the pandemic,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gender, career, and perception of difficulties according to detailed majors. However, in response to the areas of learning provided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areas of learning corresponding to their detailed majors, except for the easiest appreciation activities to implement due to the nature of online learning. In addition, in this study, secondary music teachers showed a fairly high level of confidence i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Never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difficulty in preparing for online remote music classes and several sub-factors of TPACK was not very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usic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during the post-pandemic period needs to respond more systematically to blended learning and TPACK competenc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not only traditional technology but also digital new media can be effectively used in music classes.

      • KCI우수등재

        음악창의성 수업에 관한 담당교사의 인식 연구

        최은식(Choi,Eunshik),신혜경(Shin,Hae-Kyung),정진원(Chung,Jin-Won) 한국음악교육학회 2018 음악교육연구 Vol.4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reativity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a teacher of a music creativity class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alysis of an in-depth interview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creativity that the participant-teacher perceived were progressive and generative, revealed through teacher-learner interactions. Second, students’music creativity gradually developed along with each stage of instruction. Third, the teacher recognized musical ability, with a focus on aural skills, and personality traits such as activeness and spontaneity as funda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learners’music creativity. Fourth,the teacher emphasized not only musical ability but also a rapport with learners as important qualities for teachers to have in order to nurture the students’musical creativ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pedagogical aspects of music creativity through the teacher s experience of instruction, which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nurturing students’music creativity. 본 연구는 음악창의성 수업을 담당했던 교사가 실천적으로 형성한 음악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고,동시에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성공적인 창의성 수업의 주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법을 사용하였으며,심층면담자료의 내용 분석을 통해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담당교사가 인식하는 음악창의성의 개념은 교사-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현되는 과정적·생성적인 성격으로 나타났다.둘째,음악창의성의 발현은 순간적 발상이라기보다는 수업의 각 단계에서 발현되는 위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셋째,교사는 학습자의 청각 능력 뿐 아니라 적극성,자발성 등과 같은 성격적 요인 역시 음악창의성 발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담당 교사는 음악창의성 수업을 위한 교사역량에 대하여 음악 능력뿐 아니라 학습자의 아이디어를 끌어내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관계 형성능력을 강조하였다.본 연구는 음악창의성 개발을 목적으로 한 수업의 교사경험을 통해서 형성된 음악창의성의 교육적 측면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음악창의성 연구 동향 고찰 : 연구 방법 및 연구 영역을 중심으로

        최은식,신혜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연구동향 분석을 통하여 음악창의성에 관한 학문적 접근 방식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국제전문 음악학 학술지에 수록된 음악창의성 논문을 학술지,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영역의 범주에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분석 대상 논문은 총 106편이었으며, 기간에 따른 양적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 논문들은 총 25종의 음악학 전문 학술지에 수록되어 있었으며, 5개의 학술지에 과반수의 논문이 수록되어 음악창의성 연구가 특정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악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30.2%로 가장 높게 나타나 전문가의 음악활동을 중심으로 한 음악창의성 연구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질적연구가 43.4%로 가장 활발히 사용되는 연구 방법으로 밝혀졌다. 22.6%를 차지한 양적연구의 경우도 기술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넷째, 연구 영역 분석 결과 음악창의성 연구는 음악교육학(44.3%)과 음악심리학(26.4%)의 두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cademic approaches to music creativity by analyzing the current issues and trends of music creativity research. Articles in eminent international journals from 2001 to 2015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journals’categorie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area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06 studies about music creativity were selected. They were included in 25 of the 70 most eminent scholarly journals and half of the articles were included in five journals, suggesting that research on music creativity appeared only in certain specific journals.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s, 30.2% of the articles focused on musicians. Third, qualitative method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approach (43.4%), followed by literature studies. In the case of quantitative research, which accounted for 22.6% of all studies, descriptive studies were most common. Fourth, regarding research areas, music creativity research centered on the areas of music education (44.3%) and music psychology (26.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