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중등 성평등교육의 요구 현실과 활성화 방안

        최윤정,박성정,장희영,김효경,최윤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라나는 세대에서의 성평등 의식 수준은 성별에 따른 격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며, 이것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추세임. 실제 초중등 일부 남학생들 사이에서 여성비하 내지는 여성혐오 경향이 관찰되기도 함. 향후 성별갈등이 주요 사회갈등으로 대두될 것으로 예견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학교환경은 이와 같은 학생의 의식 변화와 문화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 학교에서의 성평등교육은 학교장 재량에 의존하여 단발성 교육에 그치거나 그마저도 실시되지 못하는 상황이며, 실제 학교에서 성평등교육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음.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 개인적 차원 및 학교 구조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적 교육환경을 진단하고, 학교에서의 성평등교육 실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성평등한 학생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환경 마련 및 초중등 성평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자 함. 2. 연구내용 ?학교에서의 성평등교육 필요성 검토 -성평등한 학교 교육환경의 중요성 논의 -성평등교육의 효과성 및 교육방법 등 검토 ?성차별적인 학생 문화 및 학교 풍토에 대한 실태 분석 -성별 혐오, 성희롱 등 학생 간 성차별 문화 실태 -학교교육활동 및 교사의 생활지도에서의 성차별 실태 -남녀학생의 성역할, 성평등 의식의 분화 분석 ?학교의 성평등교육 추진 실태 분석 -제도 및 정책에서의 현황 검토 -현장에서의 성평등교육 추진 실태 -성평등교육 운영 및 추진ㅛ상의 애로사항 ?초중등 성평등교육 운영의 한계와 정책적 대안 제시 -초중등 성평등교육의 문제점과 한계 -초중등 성평등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제시 -학생의 성평등 의식 제고를 위한 학교환경 구축 방안

      • KCI등재

        사회 정서 윤리 학습(Social, Emotional & Ethical Learning)의 회복탄력성 교육에 대한 탐색

        최윤정,김병환,박보람,추병완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83

        불확실성과 불안이 증가하는 현대 사회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스트레스를 비롯한 정신 건강 문제는 학생들이 도덕적인 상황에 대처하고 도덕적 행동을 취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에 초등 도덕교육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관리하고 극복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 함양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사회 정서 윤리 학습은 회복탄력성을 위한 역량과 기술을 개인, 사회관계, 시스템의 3영역과 인식, 자비, 실천의 3차원에서 종합적으로 다룬다. 그리고 자비로운 교실의 구성과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렇듯 사회 정서 윤리 학습은 학생들에게 공정하고 존중받는 환경을 제공하고, 자기 조절 능력과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돕는 회복탄력성 교육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아동의 회복탄력성 문헌을 토대로 사회 정서 윤리 학습을 분석하여 우리의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In the modern society where uncertainty and anxiety increase, students are experiencing a variety of mental health problems. Mental health problems, including stress, can prevent students from coping with moral situations and taking moral actions, so education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o cultivate resilience to manage and overcome these problems. SEE learning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competencies and skills for resilience in the three domains of personal, social, and system and in the three dimensions of awareness, engagement, and practice. And it emphasizes the composition of a compassionate classroom and the role of teachers. In this way, SEE learning provides students with a fair and respectful environment. In addition, it specifically suggests a resilience education method that helps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ion ability.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d SEE learning based on children's resilience literature and revealed the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 KCI등재

        정부 조직특성이 공무원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윤정 대한산업경영학회 2015 산업융합연구 Vol.13 No.2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cracy, efficiency and consistency of governmental organizations gave the positive effect to public trust and private trust directly. But only democracy and efficiency affec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analysis result of mediating effect, democracy and efficiency enhanced the total effect due to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trus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등 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실행도 분석

        최윤정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modifi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above the average and especially, they showed a high level of knowledge in student understanding. Seco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 level of instructional modification performance above the averag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according to teachers' places of work, or participation in training.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teaching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modif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first, it is required to secure time for curriculum research,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teachers to prepare for classes us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ed by them, and to provide pre-service training and in-service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본 연구는 중등 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실행도를 분석하고 그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중등 특수교사 중 수학교과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사 200명을 표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등 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수내용지식은 교사의 경력과 근무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수학교과 관련 연수를 이수한 교사나 수학을 부전공한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높은 교수내용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등 특수교사의 교수적 수정 실행도는 교사의 근무지나 연수경험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수학을 부전공한 교사나 고경력 교사의 교수적 수정 실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등 특수교사의 수학과 교수내용지식과 교수적 수정 실행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등 특수교육의 경우 수학을 전공 또는 부전공한 교사가 수학과 수업을 주도해야하며, 학생이해와 교수방법에 중점을 둔 현직연수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朝鮮時代 民窯 鐵畵雲龍文壺 性格 考察

        최윤정 미술사연구회 2017 미술사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조선시대 민요 철화운룡문호에 관한 연구로서, 민요산 철화운룡문호를 제작과 용도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한 것이다.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조선시대를 통틀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의 일정 기간 동안만 제작·사용되었다. 제작된 가마터도 한 곳만 조사되었고, 소비지도 한양을 포함한 경기도에만 국한되어 있어 다른 민요백자와는 확연히 다른 제작·소비 양상을 보인다. 먼저 민요백자가 관요백자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는데 착안해, 민요 철화운룡문호를 관요산과 유사한 ‘관요계 운룡문호’와 그렇지 않은 ‘민요계 운룡문호’로 나눈 후 관요백자와의 비교를 통해 양식의 성립과정과 전개 양상을 추정해 보았다. 민요 철화운룡문호의 양식이 성립되는데 영향을 미친 관요 철화운룡문호는 신대리 관요(1665~1676)에서 제작된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신대리 관요의 운룡문은 이전 시기와 달리 용의 얼굴에서 양감이 줄어든 모습이며, 보조문양 없이 최소한의 선으로 운룡문을 묘사한 특징이 있다. 이런 신대리 양식의 운룡문은 신대리 직전에 운영된 유사리(1655~1664) 관요에서부터 만들어지지만, 이때는 보조 문양과 함께 시문되고 있어 신대리 양식이 민요산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관요산의 이런 변화와 함께 화원화가가 장식한 벽화와 옥책 내함의 운룡문 등을 참고할 때,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대략 1660년대 초반부터 ‘관요계 운룡문호’가 만들어지기 시작해 ‘민요계 운룡문호’로 양식이 변화되면서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관요백자와 달리 제작 초기부터 立壺와 圓壺로 모두 만들어졌고, 그 외 다른 형태의 항아리에 운룡문을 시문하기도 했다. 다만 운룡문호가 민요에서 만들어진 다른 항아리에 비해 크기가 크고, 質이 좋은 차이를 보이며, 제작지도 현재까지 단 한 곳만 발견되어 필요한 수량만큼 주문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민요 운룡문호는 관요백자와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관요계 운룡문호”와 “민요계 운룡문호”로 나누어 분석했는데, 민요계는 문양이 생략된 정도를 기준으로 “민요계 1유형”‧“민요계 2유형”‧“민요계 3유형”으로 다시 나눌 수 있었다.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官窯系’가 먼저 만들어졌고, 이후 ‘民窯系’가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민요계의 여러 유형은 시기 차 없이 거의 동시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민요 철화운룡문호는 관요백자에 비해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변화가 진행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민요에서 철화운룡문호가 제작된 구체적인 시기는 알지 못한다. 민요 자체가 직접 관련된 문헌 기록이 없고, 가마터에서 編年을 알 수 있는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 가마의 운영시기를 특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민요 철화운룡문호의 제작기간을 밝히기 위해서는 관요산과의 관계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었다. 민요산이 관요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기 시작했고, 관요산과 함께 사용되었다면, 관요 철화운룡문호의 변화가 민요산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관요에서 철화운룡문호는 청화백자의 대체용으로 17세기부터 18세기 전반까지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관련 기록과 조사 성과, 왕실용 운룡문의 변화 등을 종합·분석해 보니, 17세기 전·후반 관요 철화운룡문호의 성격이 달라진 것을 밝힐 수 있었다. 17세기 전반에는 청화백자의 대체용으로 제작되었다면, 17세기 후반에는 청화백 ... This paper is about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民窯 鐵畵雲龍文壺) of Joseon Dynasty, and analysis on its production and purpose.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was manufactured and used only in certain period of late 17th century to early 18th century throughout Joseon Dynasty. Only one kiln site was inspected, and consumption sites were focused only in Hanyang(漢陽) and Gyeonggi-do(京畿道); therefore, it surely shows a completely different manufacture and consumption aspects compared to those of other non state-run porcelains(民窯白磁). First of all, considering that non state-run porcelain is trans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royal porcelain(官窯白磁),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is classified as those that are similar to royal porcelain-type jars and those that are not (non state-run porcelain-type jars). Non state-run porcelains are then compared with royal porcelain jars to represent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Royal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which influenced achievement in style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were developed from Sindaeri royal porcelain jars(1665-1676). One of the characteristics is that a dragon and cloud motif of Sindaeri presents less sense of volume in dragon’s face, and depicts a motif of dragon with minimum lines. Although, this kind of Sindaeri style of a dragon came from Yusari(1655-1664) royal porcelain jars which was produced right before, they were examined together with a supporting pattern that Sindaeri style appoints it is similar to non state-run porcelain jars. In reference to a mural by court painter and cloud and dragon shapes from inner case of the jade investiture book, along with the changes in royal porcelain jars,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began approximately from early 1660’s when royal porcelain-type jars changed the style to non state-run porcelain-type jars. Different from the royal white porcelains, all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were made as ipho(立壺, a tall jar that has straight and long lip opening, and its round and wide body narrows down towards bottom) and wonho(圓壺, a jar with a round shape body), and embedded a pattern of cloud and dragon on a dif ferent form of jars. However, a pattern of cloud and dragon was bigger than in other jars, and they had dif ferent properties. Furthermore, only one manufacturing place was found that they seem to be produced by orders. Ba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and royal white porcelain,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is analyzed by royal and non state-run style with dragon and cloud; non state-run-style can be re-analyzed by classifying into non state-run-style 1, non state-run-style 2, non state-run-style 3, based on the degree of pattern elimination. It is prospected that a royal-style of the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was produced earlier, and then non state-run-style was then produced; several classes of the non state-run-style seem to be produced almost at the same time. Non state-run porcelain jars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transformed rapidly in a short time compared to royal white porcelains. A detail time period of when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is manufactured is unknown; there are no related references on non state-run porcelain jars, and no chronological relics were excavated in kiln site, therefore, it is hard to specify the operating period of the site. In order to find out manufacturing period of non state-run porcelain jar with dragon and cloud design in underglaze iron, it need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