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프리카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최원석,박정준,Choi, Wonseok,Park, Jung-J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3

        파프리카(Capsicum annuum var. angulosum)의 주요해충인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의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표본조사법(Fixedprecision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표본 조사법은 파프리카 온실의 담배가루이 방제체계 확립을 위해 공간분포분석, 표본추출 정시선 그리고 의사결정법으로 이루어 졌다. 자료 수집은 식물체를 상단(지상으로부터 180-220 cm), 중단(지상으로부터 80-120 cm), 하단(지상으로부터 30-70 cm)로 나누어 각 위치별 3개의 파프리카 잎에서 담배가루이 성충, 번데기를 관찰하고 그 총 수를 기록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은 식물체의 상부에서 움직이고 신초에 주로 산란하며 일정부분이 하단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상단과 하단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번데기의 경우 상부에 알을 낳았지만 식물체가 크면서 알을 낳은 잎이 아랫부분이 되고 부화한 유충은 잎 뒤에 고착 상태로 우화까지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중단과 하단에서 많이 분포하였다. 공간분포분석은 Taylor's power law (TPL)를 이용하였으며, TPL계수의 차이를 공분산분석(ANCOVA)하여 차이가 없는 경우 자료를 통합하여 계산된 새 TPL 상수값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정시선을 구하였다. 그리고 담배가루이 성충과 번데기의 방제밀도수준을 2.0마리와 10.0마리로 설정하여 방제의사를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된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표본추출법의 유효성을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RVSP) 프로그램으로 평가한 결과 적합한 정확도를 보였다. In order to establish B. tabaci control in paprika greenhouses a fixed-precision-level sampling plan was developed. The sampling plan consisted of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a sampling stop line, and decision making. Sampling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in two independent greenhouses (GH 1, GH 2). GH 1 and 2 were surveyed every week for 22 consecutive weeks, using 19 sampling locations in GH 1 and 9 sampling locations in GH 2. The plant in both greenhouses were divided into top (180-220 cm from the ground), middle (80-120 cm from the ground) and bottom (30-70 cm from the ground) sections and B. tabaci adults and pupae were observed on three paprika leaves at each position and recorded separately. GH 2 data were used to validate the fixed-precision sampling plan, which was developed using GH 1 data. In this study,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aylor's power law with the pooled data of the top and bottom position (B. tabaci adults), and the middle and bottom positions (B. tabaci pupae), based on a 1-leaf sampling unit. Decision making was undertaken using the maximum of action threshold in accordance with previously published method, and the value was decided by the price of the plants. Using the results obtained in the greenhouse, simulated validation of the developed sampling plan by RVSP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indicated a reasonable level of precision.

      • KCI등재

        동축 전기방사를 이용한 Core/Sheath 구조의 자성 나노섬유 제조 및 특성 평가

        최원석,홍경화,강태진,Choi, Wonseok,Hong, Kyung Hwa,Kang, Tae Jin 한국섬유공학회 2013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0 No.1

        A magnetorheological fluid(MR fluid) is a type of smart fluid in a carrier fluid, usually a type of oil. When subjected to a magnetic field, the fluid greatly increases its apparent viscosity, to the point of becoming a viscoelastic solid. And, Shape-memory polyurethane(SMPU) is a kind of polymeric smart materials that have the ability to return from a deformed state to their original shape induced by an external stimulus, such as temperature change. In this study, the multi-functional fiber webs showing magnetorheological(MR) property under magnetic field and shape memory(SM) effect by heat were prepared by coaxial electrospinning process. The fibers were designed to consist of two part; core part, SMPU+MRF and sheath part, SMPU. Consequently, we found that ca. 10 wt% MRF+15 wt% SMPU solution is most suitable for core part dope solution, and 17 wt% SMPU solution is most suitable for sheath part dope solution.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we observed stable core/sheath structure in the fiber of the electrospun web. From the dynamic mechanical analyzer(DMA) result to investigate the shape recovery ability of the fibe webs by heat, we discovered reasonable shape recovery property from the electrospun fiber web. Also, they showed MR effect under magnetic field through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test.

      • KCI등재후보

        Allometry of Lycomedes reichei Breme, 1844 and Allied Species

        최원석(Wonseok Choi) 국립생태원 2024 국립생태원회보(PNIE) Vol.5 No.1

        The subfamily Dynastinae generally exhibits strong dimorphism among males. However, until recently, studies on dimorphism and allometry were limited to horns. Lycomedes is a neotropic genus that belongs to the subfamily Dynastinae and is restricted to the Andean region of Colombia, Ecuador, and Peru. Among the Colombian Lycomedes spec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L. reichei and allied species, which have been designated here as the L. reichei species group, that displays a dramatic allometry. Here, variou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 reichei species group were analyzed and an allometry was proven.

      • KCI등재

        중등체육교사의 조직공정성 인식과 조직신뢰, 직무만족, 조직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최원석(Choi, Wonseok),하제현(Ha, Jaehy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7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체육교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 조직신뢰, 직무만족, 조직몰입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중등체육교사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200명을 대상으로 교사직무연수원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적절치 못한 22부를 제외한 178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version과 AMOS 18.0 version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등체육교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은 조직신뢰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몰입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만족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tru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otal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teacher job training center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them, twenty-two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inappropriate. There were 178 usabl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use of PASW Statistics 18.0 version and AMOS 18.0 vers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organizational justice didn’t have an influenc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trust positively contribu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m. However, organizational trust didn’t contribute to their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d the valuable information and the extensive knowledge to effectively manage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he findings contributed to a provision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for the managers of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논문] 경상도 邑治 경관의 역사지리학적 복원에 관한 연구 : 南海邑을 사례로

        최원석(Wonseok Choi)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문화 역사 지리 Vol.16 No.3

        This study tries to elaborate on the historical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Eup towns in Gyeongsang province, through the illumination of the location, territory, place landscape dimensions The topographical location can classified into sea-Eup town, river-Eup town, mountain-Eup town, plain-Eup town. The geomantic location factors are composed of the Main mountain, Sasinsa, Bibo The Important backgrounds of the historical location are the town class and the historical specific character The territorial landscape of Eup towns are made up a castle, administrative district, ritual district, geomantic bright yard district The place landscape sites of Eup towns can be restored to the administrative place, educational place, ritual place, economical place 이 글은 경상도 읍치를 입지 영역 장소경관이라는 차원의 조명을 통하여 당시의 인식 및 이해체계를 준거로 읍치 경판을 解讀하고 역사지리학적인 복원을 시도한 것이다. 읍치의 자연지형적 입지는 海邑ㆍ 江邑ㆍ山邑 ㆍ野邑 등의 유형 분류가 가능하며, 읍치의 풍수지리적 입지는 鎭山 (혹은 主山), 四神砂 국면, 裨補 등의 정형적 패턴과 지역적 특수성이 나타난다. 읍치의 역사적 입지와 특성을 논구하기 위해서는 읍치 형성의 역사적 배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행정적 위계, 戶口 및 田結數 등은 邑格을 규정짓는 요소가 된다. 읍치의 영역은 邑城圈, 제의권 , 행정권 (縣內), 鎭山 및 풍수권역 등으로 영역화될 수 있으며, 읍성, 행정 구역,I1廟 1社 2 壇, 裨補物, 四鎭砂 등은 영역화의 주요 지표가 된다. 읍치의 장소경관은 행정, 교육, 의례, 경제적 장소 등으로 구성되며 본고에서는 각각 요소의 위치 복원 및 배치 특성에 관하여 관심을 집중하였다.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 관점에서 바라본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의 성공요인

        최원석(Choi, Wonseo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사례연구는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자의 내재가치를 충족시키는 사회적·교육적 환경 요소들을 이해하고자기결정성 이론에서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의 관점에서 재해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지역에 소재하는 중학교 중 토요스포츠데이를 운영하고 있는 2개 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이중 각 학교에서 축구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표집하여 총 74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참여관찰, 포커스 그룹, 교사 면담, 현장조사지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Huberman and Miles(1983) 가 제시한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은 유능성 측면에서 학생들의 운동수행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신체적 자아를 표출하는 장이 되었다. 또, 자유로운 수업분위기와 학생들이 직접 종목과 참여를 선택하였다는 측면이 자율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토요스포츠데이는 기존의 학교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공식적인 어울림의 장을 제공하여 대인적 여가제약의 해소에 도움이 되고 새로운 인간관계 형성에도 기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참여하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심리욕구를 만족시키고 내적동기를 촉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외적인 압력 없이 자유롭게 활동을 선택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유능성과 관계성 또한 더욱 촉진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cas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meeting the intrinsic value of the “Saturday Sports Day” program participants. Self-determination theory(SDT) provided theoretical framework to reinterpret the influence on intrinsic motiv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Seventy-four participants were sampled from two schools in A region and both schools operated soccer program as the Saturday Sports Day.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participant observations, focus group, teacher interviews, and field survey and analyzed using pattern analysis proposed by Huberman and Miles(1983). Findings revealed that the Saturday Sports Day program was supportive in terms of improved physical performance and physical self from the competence perspective. Also free atmosphere of the program and students’ choice of event and participation supported autonomy. Finally, the Saturday Sports Day provided a new type official interacting place that was helpful to solve interpersonal constraints as well as to build a new relationship. In conclusion, teachers’ autonomy supportive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was meeting the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and promoting intrinsic motivation further accelerating the competence and relatedness.

      • KCI등재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원석(Choi, Wonseok),김표민(Kim, Pyomi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도에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변수들의 구성은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성숙의 발달을 고려하여 자기 탐색과 수용과정, 진로탐색에 미치는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경기도에 있는 중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15회기의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자료를 사용하여 SPSS 22.0 통계프로그램으로 양적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능력자아와 사회자아를 제외한 일반자아개념과 학급자아, 성취자아, 가족자아, 정서자아, 신체자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집단 사후는 진로성숙도 하위요인 중 독립성을 제외한 계획성과 일에 대한 태도, 자기 이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The composition of variables for verifying the research problem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programs on self-exploration, acceptance process, and career search b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As for the analysis data, the 15th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8 for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using data from pre- and post-tes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ost-mortem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the career search group progra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general ego concept, class ego, achievement ego, family ego, emotional ego, and physical ego, excluding competent ego and social ego among the sub-factors of self-concept appeared to b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ing, attitude toward work, and self-understanding, excluding independenc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