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범위한 다발성 Morel-Lavallee 병변 - 증례 보고 -

        심규동 ( Kyu-dong Shim ),최원락 ( Won Rak Choi ),박예수 ( Ye-soo Park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3

        Morel-Lavallee는 외상으로 인해 연부조직 손상으로 발생하는 드문 병변이다. 대개는 대퇴부 주변에 발생하며, 요추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초기에 응급실 내원 시 진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늦게 진단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외상 후 발생한 흉, 요배부와 둔부, 대퇴부까지 광범위하게 발생한 다발성 Morel-Lavallee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Morel-Lavallee is a rare lesion caused by post-traumatic soft tissue injury. It usually occurs around the greater trochanter, and it occurs very rarely in the lumbar region. It is often difficult to be diagnosed in the emergency room. Delayed diagnosis may result in the need for open surgery. The authors report a patient with extensive multiple Morel-Lavallee lesions in the thoracolumbar, buttock, and thigh after trauma and provide a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척추 병변의 대안적인 골 생검 주사침으로서 추체 성형술용 주사침의 유용성

        문명상(Myung-Sang Moon),위승명(Seung Myung Wi),최원락(Won Rak Choi),임현규(Hyeon Gyu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2

        5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대상 환자들의 술 전 진단은 48예의 다공증성 골절, 7예의 감염, 그리고 3예의 종양이었다. Stylet이 있는 11 gauge의 120-㎜ 길이의 척추성형술용 주사침을 image intensifier로 관찰하면서 척추경 경로로 추체 내에 삽입하여 골편을 채취하였다. 영상증강 장치를 이용하여 척추경공의 후방 입구를 확인하고, 그곳 중앙에 침을 위치케 한 후 진입하여 침이 경의 전방 끝에 이르렀을 때 stylet을 제거하고 외관만 약 1.5–2.0 ㎝ 더 진행 삽입함으로 골편 채취를 하였다. 48명의 다공증에서 36명(75%)에서 다공증이 확인되었다. 감염 7예 중 5명은 결핵, 그리고 2명은 화농성이었다. 3예의 골종양에서 1예는 악성 임파종이었고, 2예에서는 종양 조직이 확인되지 않았다. 생검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었다. 추체 성형용 주사침을 이용한 골 생검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생검의 한 방법임이 확인되었고, 진단적 가치는 비교적 높았다. Fifty-eight patients were subjects in this study. The clinical diagnosis was the presumed osteoporotic spine fractures in 48 patients, infections in seven patients, and tumors in three patients. Image-intensifier-guided closed transpedicular needle biopsy with a vertebroplasty needle (11 gauge, 120-㎜ length needle with a stylet Luer lock syringe) for the thoracolumbar lesions were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The overall results showed a high histological diagnostic yield: in the 48 osteoporotic fractures, 36 (75%) were confirmed to be osteoporotic bones. In the seven infectious lesions, the lesions were confirmed to be tuberculosis in five and pyogenic in two. In the three tumors one was a malignant lymphoma, while tumor tissues were not found in two cases. No biopsy 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found. The image-intensifier-guided closed vertebroplasty needle biopsy is a safe and reliable procedure with high diagnostic accuracy and should be an integral part of managing the spinal pathology.

      • KCI등재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계측한 정상 한국 성인에서의 대퇴 경부 전경사, 비구 전경사 및 합산 전경사

        김범수(Bum-Soo Kim),김성태(Seong-Tae Kim),위승명(Seung Myung Wi),최원락(Won Rak Choi),김동석(Dong Su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3

        목적: 정상 한국 성인의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으로 비구 전경사, 대퇴 경부 전경사 및 합산 전경사의 값을 구한 뒤 정상 범위와 남녀 간의 차이, 좌우측의 차이 및 대퇴 경부 전경사와 비구 전경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 정상 성인 중 21세에서 49세 범위 내의 남자 118명과 여자 114명의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좌우측의 비구 전경사, 대퇴 경부 전경사를 측정하고, 합산 전경사를 계산하여 각 측정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남녀 간의 차이, 좌우측의 차이가 있는지와 비구 전경사와 대퇴 경부 전경사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비구의 전경사는 남자에서 우측 15.3±6.1도, 좌측 15.3±6.6도, 대퇴 경부 전경사는 Hernandez 등의 방법으로 측정한 경우 우측 5.3±7.6도, 좌측 1.5±9.2도였으며 여자에서 비구 전경사는 우측 16.8±5.4도, 좌측 16.3±5.8도, 대퇴 경부 전경사는 Hernandez 등의 방법으로 측정한 경우 우측 10.3±8.2도, 좌측 7.9±8.2도였다. 남녀 간의 차이분석 시 좌우측 모두 비구 전경사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대퇴 경부 전경사는 좌우측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좌측과 우측을 비교하였을 때 비구 전경사는 차이가 없었으며 대퇴 경부 전경사는 Hernandez 등의 측정법이나 Weiner 등의 측정법 모두 좌우측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퇴 경부 전경사와 비구 전경사 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남녀 간의 비구 전경사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고 대퇴 경부 전경사는 차이가 있었다. 개인별로는 좌우측 간에 대퇴 경부 전경사가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고 비구 전경사는 차이가 없었다. 대퇴 경부 전경사와 비구 전경사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Purpose: The authors measured the anteversion of the femoral neck and acetabulum and the sum of the two values in normal Korean people by computed tomography. The authors examined the normal range of the value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ex and sid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oral neck and acetabular antevers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measured the anteversion of the femoral neck and acetabulum in 118 normal Korean adult males and 114 females aged between 21 and 49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by computed tomography and calculated the sum of anteversion. The authors analyz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investigated the sex differences and side differenc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etabular anteversion and femoral neck anteversion statistically. Results: The anteversion of the acetabulum in males was 15.3°±6.1° on the right side and 15.3°±6.6° on the left side. The anteversion of the femoral neck in males was 5.3°±7.6° on the right side and 1.5°±9.2° on the left side according to the Hernandez et al. method. The anteversion of acetabulum in females was 16.8°±5.4° on the right side and 16.3°±5.8° on the left side. The anteversion of femoral neck in females was 10.3°±8.2° on the right side and 7.9°±8.2° on the left side according to Hernandez et al. method. No difference in acetabular anteversi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moral neck anteversion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were observed between males and females. No difference of acetabular anteversion was observ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oral neck anteversion was not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measured by either the Hernandez et al. method or Weiner et al. method. The Pearson coefficient revealed no correlation between the femoral neck anteversion and acetabular anteversion. Conclusion: No difference in the acetabular anteversion was observed,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oral neck antevers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oral neck anteversion was observed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No correlation was noted between the anteversion of the femoral neck and acetabulum.

      • 복부 초음파검사 및 간주사를 통한 위암 환자의 기 및 수술 여부 결정

        김성록,정해철,문기석,최원락,김병제,박주열 인제대학교 1986 仁濟醫學 Vol.7 No.2

        저자들은 1981년 1월부터 1985년 6월까지 인제의과대학 부산백병원에 입원하여 위내시경검사 및 직시하 생검에서 위선암으로 확인된 총 130예를 대상으로 근치적 절제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수술 전에 간주사법 및 복부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61예와 둘 다 시행하지 않았던 69예를 대상으로 개복수술 시행 후 아래와 같은 성적을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한다. The reliablity of physical examination, liver scan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in detecting Cancer metastasis has been evaluated 130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stomalch Cancer(61 cases was performed Liver scan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who had admitted to InJe Medical College, Pusan Paik Hospital from January 1981 to June 1985. Confirmation on Laparotom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Ninety nine cases out of one hundred and thirty were over the age of 41 years (76.2%). 2) Liver scan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were 93.4% accurate and 90.2% accurate, respectively, in detecting liver metastasls. 3) Abdominal ultrasonography were 39.3% accurate in detecting lymph node Metastasis. 4) Abdominal ultrasonography were 65.6% accurate in detecting other organs' metastasis. 5) In a composite analysis on hepatic metastasis, the diagnostic accuracy was not improved by combining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liver scan examination. 6) The additional benefit of abdominal ultrasonography when liver scan was in error was an increase in accuracy of 9.8% for liver scan alone. 7) Borrmann's type IV had the highest incidence of TMN classification stage IV(75.7%). Those who had palpable epigastric mass show higher incidence of TMN classification stage IV compaired with these who had not. 8) Comparison of TMN classification between normal and not taken group of Liver scan and ultrasonograpny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of TMN classification stage IV in broth groups.

      • KCI등재후보

        원폭 피폭자와 그 자녀들에 대한 임상적 및 염색체 이상에 관한 연구

        김동수,백용균,박상길,정정명,최하진,김상정,최원락 대한내과학회 1986 대한내과학회지 Vol.31 No.4

        Presented in this paper is the data from clinical labaratory examination of 50 Korean atomic-bomb survivors (in Hiroshima and Nagasaki, Japan in 1945). Of them, 15 survivors were karyotyped from their lymphocyte culture for both $quot;stable$quot; and $quot;unstable$quot; types of chromosomal aberrations. Eight of their offspring could be tested for the chromosomal changes and SCE as wel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survivors were found to have suffered from various diseases, particularly from respiratory disease. Two had malignancies, viz., one case having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and another adenocarcinoma of stomach. 2) Serum total protein and serum albumin levels were found to be decreased in 18% and 27% of the survivors, respectively. Alkaline phosphatase, SGOT, IgG and IgM were increased in 22%, 6.3%, 36.7% and 13.6% of the survivors, respectively. IgA was within normal limit in all cases. 3) Stable type of chromosomal aberrations was discovered in none of the survivors and the offspring examined. However, approximately 50% of the survivo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chromatid breakage than normal controls. 4) None of the offspring showed the chromatid breakage, but 75% of the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SCE when compared to contr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