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외선 B 조사로 유도되는 염증 반응과 지질과산화에 대한 Egb 761의 억제 효과

        최욱희,안령미 생활과학연구소 2005 생활과학연구 Vol.10 No.-

        Reactive oxygen species are involved in inflammatory reaction & lipid peroxidation of skin induced by ultraviolet radi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protective effect of topical EGb 761 on ultraviolet B induced inflammation and lipid peroxidation in ICR mice. Lipid peroxidation in skin was assessed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levels, while skin-fold thickness was used as the measure of UVB-induced inflammation. EGb 761 was topically applied to the skin for 7 days before a single dose of 2KJ/㎡ UVB irradiation. In irradiated skin, maximal skin swelling occurred at 24h, lipid peroxides were increased at 3h after irradiation. Topical application of 1% EGb 761 reduced edema response and lipid peroxide levels.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opical application of EGb 761 before UVB irradiation acts as a photoprotective agent.

      • 화학물질 분야의 환경보건지표를 활용한 국가 환경보건 수준 평가 연구

        최욱희,박경화,정순원,유승도 대한보건협회 2011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1 No.-

        [연구배경] 국가 환경보건 수준 및 국민의 환경보건 상태를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환경 보건지표의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하다. 환경보건지표 개발 분야 중 화학물질은 최근 생산량, 사용량 및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어 그에 따른 질환 발생 가능성이 우려되어 국민 보건 또는 환경보건상의 위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적절한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한 분야이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현재 정책적으로 활용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환경보건지표 중 화학 물질 분야의 3개 지표에 대해 전국단위 산출을 하고, 이를 통해 국가·지역 간 환경보건 수준을 비교·평가함으로써, 지표의 활용과 환경보건 개선정책 수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화학물질의 유통량 및 배출량은 화학물질배출량 정보공개시스템에서 자료를 다운 받아 작성했으며, 각 지역 및 사업장에서 조사된 자료의 합계를 통해 산출하였다. 화학물질 사고의 보고는 소방방재청 및 국립환경과학원 화학안전연구팀을 통해 전국 광역시.도 단위로 획득이 가능했다. 본 지표는 지역별 사고등록 건수와 국가전체 사고등록 건수를 파악하여 사고유형(폭발, 화재, 누출, 질식, 유출)별로 분석하여 제시했다. 유독물 영업의 등록건수는 유해 화학물질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독물을 판매, 보관, 저장, 운반 또는 사용하는 등록업소 현황을 환경통계포털 내 자료를 다운받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화학물질 유통량은 98년 최초 조사 이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998~2006년까지의 지역별 화학물질 유통량 자료를 비교한 결과 울산과 전남이 전체의 약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별 배출량은 유독물인 자일렌(35.1%), 톨루엔(14.5%)이 가장 많이 배출되었고, 상위 10개 화학물질이 전체 배출량의 84.3%를 차지했다. 화학물질과 관련된 사고는 매년 60여건 정도가 발생하며, 이중 유독물에 의한 사고는 평균 연 12건(전체의 20% 정도)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화학물질 사고의 보고 건수 총 311건에 대한 광역시(특별시 포함)와 도별 분포를 파악한 결과 경기 53건(17.04%), 울산 49건(15.76%), 전남 48건(15.43%)으로 전체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 그러나, 화학물질 사고보고 건수만으로는 대응체계에 관한 환경보건 수준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며, 궁극적으로는 사고발생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보고체계, 구급시스템, 사후관리 등)이 얼마나 확보되고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 평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유독물 영업 등록건수는 1999년 4,264건에서 2009년 6,381건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사용업 및 판매업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우리나라의 화학물질에 대한 관리수준은 화학물질 관리수준은 매년 보고되는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나, 배출된 화학물질에 대한 구체적인 노출수준은 파악되고 있지 않아 노출된 물질에 의한 건강영향 수준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화학물질 분야의 노출 및 건강영향과 관련된 환경보건지표를 개발하여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피해를 정량화하기 위한 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호텔 종사원의 동료무례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감정소진과 내재적 동기의 매개역할

        최욱희 한국관광연구학회 2020 관광연구저널 Vol.34 No.9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종사원들의 동료무례경험과 직무만족도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관계형성과정을 결정하는 변수로 감정소진과 내재적 동기의 매개적 역할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 검증을 위해 국내 부산지역 4, 5성급 호텔 종사원 총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SPSS 18.0 과 M-plus 8.4를 활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문항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각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례무례경험은 감정소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소진은 내재적 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호텔 종사원의 동료무례경험은 감정소진과 내재적 동기를 매개로 직무만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4개의 가설 모두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객 서비스 접점에서 감정노동을 빈번히 겪는 호텔 기업의 종사원들이 고객으로부터가 아닌 함께 서비스에 응대하는 동료들로부터 경험하게 되는 무례행위에 대해 접근하여, 직무만족간의 부정적인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입증한 학문적 시사점과 호텔 기업의 직장 내 무례에 대처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천연물 도포가 UVB 파로 손상된 C57BL/6 mouse 피부의 색소침착과 염증생성에 미치는 영향

        최욱희,안형수,최태윤,진소영,안령미,Choi, Wook-Hee,Ann, Hyoung-Soo,Choi, Tae-Youn,Jin, So-Young,Ahn, Ryoung-Me 한국환경보건학회 2006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2 No.5

        Ultraviolet(UV) radiation causes a variety of biological effects on the skin, including inflammation, pigmentation, photoaging and cancer. Free radicals are involved in inflammatory skin reactions induced by UVB radi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tioxidants(Tea, Korean red ginseng, Ginkgo biloba extract) on UVB-induced skin damage. Tea, KRG and EGb 761 were topically treated to dorsal skin of ICR mouse. The mice were also treated soon after IMED ($1.4KJ/m^{2}$) of UVB irradiation. Skin pigmentation of irradiated mouse was observed by a chromameter after 2 weeks. Topical application of Tea, KRG and EGb 761 for 2 weeks decreased skin pigmentation compared to DVB control group(p<.05). Tea, KRG and EGb 761 also reduced UVB-induce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 KRG and EGb 761 as a topical application may have preventive effect against UVB-induced skin damage.

      • KCI등재

        관광스토리텔링과 관광경험만족의 관계에서 공유가치의 매개효과 - 부산 갈맷길을 대상으로 -

        최욱희,전재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3

        Paradigm of tourism for the masses is changing in the form of experience, participation. This study is aims to emphasize growing importance of the walking trail as a new creative tourism resource and identify conceptual dimensions of the trail based on the tourism storytelling.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shared value in touris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ourism storytelling and tourism satisfaction.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sis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ourism storytelling is classified into three conceptual dimensions including communicativeness, sensitivity, and locality. The results of an mediate effects shows that shared value has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nsitivity of tourism storytelling and tourism satisfaction. Also, shared valu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ocality of tourism storytelling and tourism satisfaction. Whereas shared value has no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veness of tourism storytelling and tourism satisfaction. 관광의 패러다임이 대중을 위한 관람의 형태에서 체험, 참여, 공정의 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주목받는 삶의 의미와 인간의 경험을 중시하는 패러다임에 따라 ‘걷는 길’을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제시하고 부산 갈맷길에 적용한 관광스토리텔링의 개념적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관광에서 공유가치라는 개념을 정의하고 정제된 관광스토리텔링의 개념적 구성요인들과 관광경험만족 간 관계에서 공유가치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관광스토리텔링의 개념적 구성요인은 감수성, 전달성, 지역성의 3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각 요인들과 관광경험만족 간 관계에서 공유가치의 매개효과를 매개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감수성’은 관광경험만족과의 관계에서 공유가치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성’은 관광경험만족과의 관계에서 공유가치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달성’은 공유가치의 매개역할 없이 관광경험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속도로 확산되는 걷는 여행, 즉 슬로우 투어리즘(slow tourism)의 중심이 되고 있는 ‘길’이라는 관광자원을 통해 추가적인 잠재 관광자원 유발 및 지역관광 발전에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 후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다양한 잠재 관광자원에 많은 사람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스토리텔링의 발굴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ICR mouse에 있어 UVB조사로 유도된 접촉 과민반응에 대한 EGb 761의 억제 효과

        최욱희,안형수,안령미,Choi, Wook-Hee,Ann, Hyoung-Soo,Ahn, Ryoung-Me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1 No.1

        Exposure of skin to UVB radiation can cause the induction of inflammation and impairment of contact hypersensitivity(CHS) response.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poly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EGb 761 afford protection against UVB.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topical application of EGb 761, before 1MED(1.4 KJ/$m^2$), 1.5MED (2.1 KJ/$m^2$), 2MED (2.8 KJ/$m^2$) of UVB exposure to ICR mice prevented UVB-induced inflammation and inhibition of the contact hypersensitivity response. The skin-fold swelling from 1MED, 1.5MED, 2MED of UVB exposure highl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wice irradiation. Topical application of EGb 761(0.1%, 1%, 4%), 5 days prior to UVB exposure reduced skin thickness compared to non-treated mice. Exposure of shaved abdominal skin of mice to 1MED, 1.5MED and 2MED of UVB radiation resulted in suppression of contact sensitization through the skin to 56.23%, 65.12%, 74.02%, compared to normal unirradiated skin. Topical application of EGb 761(0.1%, 1%, 4%), 5 days prior to or 5 days after exposure to 1MED and 2MED of UVB resulted in protection against suppression of contact hypersensitivity in mouse dorsal skin. These protective effects were dependent on the dose of EGb 761 employed. The present study show that EGb 761 protect UVB-induced inflammation and immune suppression. Also, we suggest that EGb 761 can provide protection from photoimmunosuppression.

      • KCI등재

        상사로부터의 무례경험이 승무원 역할내·외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불안정성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욱희,전재균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2 기업과 혁신연구 Vol.45 No.3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상사로부터의 무례경험이 직무불안정성과 직무열의를 매개로 승무원의역할내·외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상사로부터의 무례경험이 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째, 직무불안정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며셋째, 승무원의 직무열의가 역할내·외 안전행동에 미치는 각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상사로부터의 무례경험이 승무원의 역할내·외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직무불안정성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항공사 승무원의 상사로부터 겪게 되는 무례경험이 그들의 주요 직무인 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 관계에서 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과 직무에 대한 열의에 미치는 영향의 실증적 증거를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상사로부터의 무례경험은 승무원의 직무불안정성과 직무열의를 매개로 역할내·외 안전행동에 모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모두의 안전이 우선시 되는 항공기내에서 객실승무원이 상사의 무례한 행동에 노출되었을 때 승무원의 직무에 부정적 영향뿐 아니라 우리 모두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의 공동 과제로 인식하고 단순한 상사에 대한 복수로 대처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안전을지키기 위한 행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ICR mouse의 피부와 간에서 자외선 B파에 의한 Heme Oxygenase-1의 유도

        최욱희,김태환,안령미,Choi, Wook-Hee,Kim, Tae-Hwan,Ahn, Ryoung-Me 한국환경보건학회 2008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4 No.1

        The induction of heme oxygenase-1(HO-1) by UV radiation provides a protective defence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has been well demonstrated in skin irradiated with UVA, but not UVB. In this study, we show that the induction of cutaneous HO-l can be attributed to UVB radiation. The expression of HO-1 mRNA was assessed in vivo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is, and HO-1 enzyme activity was measured in microsomal preparation from irradiated mice. The mRNA level of HO-1 increases in liver and skin from 1d to 3d after UVB $(3KJ/m^2)$ exposure. The results of gene expression were same pattern of HO-1 enzyme activity in skin, but not in liver. HO-1 mRNA in liver resulted in a progressive increase to 4d after UVB exposure, but HO-1 activity in liver increased to 2d. This finding indicates that UVB radiation is an important inducer of HO-1 and increases in HO activity may protect tissue directly or indirectly from oxidative stress.

      • KCI등재

        흡연상태에 관한 자가보고 설문의 타당도 평가: 제1기(2009-2011)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자료 분석

        최욱희,박경화,김현정,류정민,유승도,최경희,김수진,Choi, Wookhee,Park, Kyung Hwa,Kim, Hyun Jeong,Ryu, Jungmin,Yu, Seung Do,Choi, Kyunghee,Kim, Sueji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4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0 No.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idity of self-reported cigarette smoking status and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ccuracy self-reported and measured urinary cotinine in Korean adult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1^{st}$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2009-2011) among adults aged ${\geq}19$ years (N=6,246). The survey examined self-reported smoking status, and urinary cotinine was regarded as the biomarker of exposure to tobacco smoke. Urinary cotinine was analyzed using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version 20.0, which uses the sample weight and calculates variance estimates to adjust for the unequal probability of selection into the survey. Results: We calculated a cut-off point (53.3 ug/L) by using a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The smoking prevalence was 24.6% based on self-reported data and 28.2% based on urinary cotinine concentrations. When we assessed the agreement between self-reported and urinary cotinine, we found an average agreement of 97.7% among self-reported smokers and 94.5% among self-reported non-smokers. Among self-reported smokers, factors affected the discrepancy were age, household economic status and averag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On the other hand, gender, former smoking experience, and exposure to SHS (second hand smoke) were associated with discrepancies among self-reported non-smoker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reported data on smoking status provide a valid estimate of actual smoking status. In future research, we will conduct a continuous monitoring study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of the data to reduce potential interpretation err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