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지역 잎들깨 시설하우스에서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가해양상

        최용석,박덕기,김병련,한광섭,윤영남,최광렬,Choi, Yong-Seok,Park, Deok-Gi,Kim, Byung-Ryun,Han, Kwang-Seop,Youn, Young-Nam,Choe, Kwang-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2

        본 연구는 시설 잎들깨재배시 진딧물과 함께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피해양상을 밝힘으로써 들깨잎말이명나방의 경제적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한 정량적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대전 유성의 충남농업기술원(구)과 충남 예산의 충남농업기술원 포장, 충남 금산의 농가포장에서 2004년부터 2006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잎들깨를 가해하는 주요해충은 4목 5과 6종이었으며, 이중 들깨잎말이명나방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들깨잎말이명나방은 무방제시 48.5%의 피해엽율로 들깨진딧물과 함께 가장 피해가 높았으며 2004년과 2005년에 걸친 들깨잎말이명나방 성충의 황색트랩 조사결과 8월 상순과 9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발육단계별 섭식량은 1령부터 3령까지 고른 섭식량을 보였으나 4령은 3령보다 약 3.7배 증가한 $3.71 cm^2$의 섭식량을 보였다. 들깨잎말이명나방의 발육기간이 가장 짧은 $27.5^{\circ}C$에서 알에서 부화한 유충의 섭식량을 매일 조사한 결과, 4 령충으로 탈피하는 시기인 7 째부터 섭식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10주를 1반복으로 하여 들깨잎말이명나방 1령충을 1마리부터 7마리까지 접종한 후 피해주율과 피해엽율을 조사하였다. 1마리 접종구와 3마리 접종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4마리 접종구부터 피해주율과 피해엽율이 증가하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실제포장에서 피해받은 주의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피해주에 대하여 3마리 이상의 유충은 조사되지 않았다. 따라서 들깨잎말이명나방 성충은 잎들깨에 산발적으로 산란하는 습성을 보이며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이동하지 않고 그 주에서 피해를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본 결과는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경제적피해수준 설정과 요방제수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degree of injury caused by P. panopealis larva which is the key component to develop economic injury level or control threshold in green perilla and was carried out in polyvinyl houses at Yuseong Daejeon, Geumsan and Yesan Chungnam from 2004 to 2006. Of 5 major pests in green perilla polyvinyl house, P. panopealis larva injured green perilla leaf by 48.5% on average under no insecticides application. The peak occurrence of P. panopealis adult was early August and late September in 2004 and 2005 studies. The feeding amount of P. panopealis larva among 1st to 3rd instar was not different, but from the 4th instar the feeding amount greatly increased and this result was consistent with daily feeding experiment in which the amount greatly increased from seventh day. The degree of injury which was investigated with different larval infestation levels showed that the degree of injury increased a little but was not dim ε rent significantly as the density increased. The density of P. panopealis larva in damaged green perilla plant was less than three individuals/pla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P. panopealis adult lays egg on green perilla leaf dispersedly and larva hatched from egg injures only the leaf which egg is layed. These preliminary data seems to be very useful to design economic injury level and control threshold studies for P. panopealis in green perilla polyvinyl house.

      • KCI등재

        시설잎들깨 들깨잎말이명나방(Pyrausta panopealis)의 경제적 피해수준 및 요방제 수준

        최용석,박덕기,윤여욱,황인수,신선미,최광렬,Choi, Yong-Seok,Park, Deok-Gi,Yun, Yeo-Uk,Hwang, In-Su,Shin, Sun-Mee,Choe, Kwang-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2

        들깨잎말이명나방(Pyrausta panopealis)은 잎들깨의 주요해충이다. 피해양상은 유충이 들깨신초 부위에서 거미줄을 치고 가해하는 양상을 보이며 심할 경우 대를 끊어 놓아 더 이상 수확을 할 수 없게 만든다. 이러한 들깨잎말이명나방의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 평가를 시설하우스에서 수행하였다. 다른 해충들의 피해를 피하기 위하여 망사케이지를 이용하여 시험구를 격리시켰다.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접종밀도는 발생초기 100개의 잎들깨를 처리구로하여 100주당 $1{\sim}20$주에 주당 2마리씩 6월 13일에 접종하였다. 6월 23일까지 피해주율, 피해엽수은 증가하였으나 반면에, 6월 23일 이후에는 증가하였다. 수확량 또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시장가격에 대한 나방 방제비용의 비율로 계산된 경제적 손실 시점은 4.0%였다. 이때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100주당 유충 5.1마리였으며, 경제적 피해수준은 80% 수준에서 설정된 요방제 수준은 100주당 유충 4.1마리였다. Pyrausta panopealis is the major pest in green perilla. The larva weaves a web on the shoot of green perilla and damages. In case of extreme, The larva cuts the main branch of green perilla and the leaf of green perilla isn't harvested anymore.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control thresholds (CTs) for P. panopealis injuring green perilla in green-houses. Different densities of P. panopealis ranged from 1 to 20 crops (2 units per crop) per 100 crops on 13. June, early inoculation. The number of injured leaf and the rate of injured crop were increased by 23. June, on the other hand were decreased after that day. Also, the amount of yield sow the same result above. The economic loss time calculated by the ratio of cost managing this moth to market price (C/V) (C: cost managing a moth, V: Market price) was 4.0%. The economic injury level was 5.1 larval per 100 crops. The control thresholds calculated by 80% level of economic injury level was 4.1 larval per 100 crops.

      • KCI등재

        과수의 신종해충인 날개매미충 일종의 산란특성

        최용석,황인수,강태주,임주락,최광렬,Choi, Yong-Seok,Hwang, In-Soo,Kang, Tae-Ju,Lim, Ju-Rak,Choe, Kwang-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4

        2010년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사과원과 예산군 덕산면 블루베리 과원에서 최초로 보고된 이름 모를 날개매미충 일종은 대략 4-5년 전부터 과원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급속도로 밀도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날개매미충이 발견된 식물은 26종에서 관찰되었고, 주로 블루베리, 포도, 복숭아, 옻, 두릅, 대추, 키위, 복분자, 사과, 살구, 자두, 밤 이었다. 날개매미충의 산란은 주로 1년생 가지에서 이루어졌다. 사과와 자두의 1년생 가지에 산란된 난괴내 알의 평균수는 각각 18.7개와 15.3개였다. 또한 산란된 난괴의 평균길이는 각각 12.35 mm와 11.45 mm였다. 알의 평균크기는 길이가 1.2 mm 폭은 0.5 mm였다. 사과와 자두에 산란된 난괴내 알 간의 평균간격은 각각 1.3 mm와 1.5 mm로 차이를 보였으며 동일한 난괴 길이내 알의 평균수는 각각 17.1개와 13.3개로 차이를 보였다. An unknown planthopper was discovered in 2010 in an apple orchard in Sinpoong-myun, Gongju-si and in a blueberry orchard in Deogsan-myun, Yesan-gun. This pest have arrived 4 or 5 years ago and the population density then rapidly increased. It was identified as Ricania sp. by Dr. Murray J. Fletcher. Adult Ricania sp. was found on 26 plants including blueberry, grape, peach, sumac, japanese angelica, jujube, kiwi, Rubus coreanus, apple, apricot, plum and chestnut. Females lay eggs on 1-year-old branches. The mean number of eggs laid on apple and plum were 18.7 and 15.3, respectively. The mean length of egg masses on apple and plum were 12.35 and 11.45 mm, respectively. The distance between eggs laid on apple and plum branchs were 1.3 and 1.5 mm,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eggs in the same length of egg mass on apple and plum branchs were 17.1 and 13.3, respectively.

      • KCI등재

        담배가루이 성충 유인을 위한 트랩식물 탐색

        최용석,김규상,조효려,서정학,황인수,김경제,채수천,Choi, Yong-Seok,Kim, Kyu-Sang,Jo, Hyo-Ryu,Seo, Jeong-Hak,Whang, In-Su,Kim, Gyoung-Je,Choe, Soo-Ch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토마토 유기재배 시설하우스 내에 자생하고 있는 큰망초와 엉겅퀴, 팥, 오이에 대하여 주 재배작물인 토마토와 황색끈끈이트랩에 유살된 담배가루이 성충의 유살량을 비교한 결과 담배가루이 밀도는 큰망초에서 가장 높았다. 오이의 경우 발생초기인 4월 3일과 4월 13일까지는 토마토보다 담배가루이 밀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8종의 콩에 대한 담배가루이 성충 유인수는 팥에서 보다 울타리강낭콩에서 더 많았으나 모든 식물체에 대해서는 낮은 유인효과를 보였다. 큰망초, 가지, 오이, 토마토에 대한 4-choice 아크릴 챔버를 이용한 후각계 반응에서 담배가루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큰망초를 선호하였다. 큰망초에서 담배가루이 유충의 발육기간을 온도별로 조사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져 $30^{\circ}C$의 경우 모든 발육단계에서 알은 약 0.5일, 유충은 약 1일 발육기간이 짧았다. The number of Bemisia tabaci adults attracted to horseweed, thistle, red bean, cucumber, and tomato plants, as measured by the number stuck to yellow sticky traps, was investigated in a polyvinyl greenhouse for growing tomatoes using organic methods. The number was highest on cucumber plants in the early days of B. tabaci infestation, but was highest on horseweed overall. Of the eight species of beans tested, B. tabaci adults were most attracted to Ultari-Gangnang; however, beans were not effective trap plants for B. tabaci. Measurement of olfactory behavioral response using a four-choice olfactometer showed that B. tabaci adults preferred horseweed to cucumber, eggplant, or tomato. The developmental period of B. tabaci eggs and larvae was shorter at high temperature. At $30^{\circ}C$, the developmental period of eggs and larvae on horseweed were reduced approximately 0.5 and 1 day,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n cucumber or tomato.

      • KCI등재

        시설오이에서 azoxystrobin, 미끌애꽃노린재, 콜레마니진디벌을 이용한 꽃노랑총채벌레와 목화진딧물 종합관리 사례

        최용석,황인수,한익수,김영칠,최광렬,Choi, Yong-Seok,Whang, In-Su,Han, Ik-Soo,Kim, Young-Chil,Choe, Gwang-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오이에서 가장 피해가 심한 해충인 목화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에 방제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과 미끌애꽃노린재에 대하여 노균병과 흰가루병 약제의 저독성을 평가하여 살균제와 동시에 활용한 목화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천적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47종 살균제 중 DBEDC, hexaconazole, pyraclostrobin, tribasic copper sulfate, triflumizole, chlorothalonil, flusilazole, folpet, carbendazim+diethofencarb, cymoxanil+fenamidone, trifloxystrobin은 콜레마니진디벌 머미에 50% 이상의 독성을 보였고 저독성 살균제 중 azoxystrobin이 노균병과 흰가루병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어 천적과의 동시활용 약제로 선발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와 목화진딧물은 천안과 공주에서 4월 상순 동시에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였고, azoxystrobin 50% 액상수화제를 10일간격으로 계속 방제 하면서 콜레마니진디벌을 진딧물 발생초기 1주간격 3회, 미끌애꽃노린재를 발생초기 1주간격 3회 방사 후 천적 밀도를 조사한 결과 목화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를 억제하면서 콜레마니진디벌 머미는 하엽당 최대 18마리, 미끌애꽃노린재는 꽃당 0.5마리를 나타내어 azoxystrobin이 콜레마니진디벌과 미끌애꽃노린재의 밀도형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았다. 시설오이에서 콜레마니진디벌과 미끌애꽃노린재에 안전한 선택약제와 천적을 동시 이용할 경우 효과적인 진딧물과 총채벌레 방제가 가능할 것이다. Aphidius colemani and Orius laevigatus aree natural enemies of the control cotton aphid and western flower thrips, which are the major pests of cucumber plants. We evaluated the low toxicity of 47 fungicides against A. colemani and O. laevigatus, and we investigated the simultaneous effect of the natural enemies with fungicide of low toxicity on the pests. The toxicity of DBEDC, hexaconazole, pyraclostrobin, tribasic copper sulfate, triflumizole, chlorothalonil, flusilazole, folpet, carbendazim+diethofencarb, cymoxanil+fenamidone and trifloxystrobin to A. colemani mummies was more than 50% and to O. laevigatus was low toxic. Among the fungicides with low toxicity, azoxystrobin 20% WP was selected because it could be used simultaneously with A. colemani and O. laevigatus and as a fungicide to control powdery mildew and downy mildew. In 2011, the densities of western flower thrips and cotton aphid increased rapidly in early-May in Gongju and Cheonan, Chungnam Province. When azoxystrobin was used at an interval of 10 days in spring, A. colemani and O. laevigatus were released at an interval of 7 days at the early occurrence of the pests. The natural enemies decreased the densities of the pests; the maximum number of A. colemani mummies was 18 per lower leaf, and the maximum number of O. laevigatus was 0.5 per flower. Azoxystrobin did not influence the densities of A. colemani and O. laevigatus. The results show that the selected fungicides can be used with A. colemani and O. laevigatus for the intergrated pest management of cotton aphid and western flower thrips in cucumber polyvinyl house cultivation.

      • KCI등재

        들깨진딧물의 경제적 피해수준과 요방제수준 설정에 관한 연구

        최용석,박덕기,한익수,최광렬,Choi, Yong-Seok,Park, Deok-Gi,Han, Ik-Soo,Choe, Kwang-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3

        2004년 잎들깨 주요 해충을 조사하였던 바, 잎들깨 시설하우스내에서 발생하는 주요 해충들은 들깨진딧물(Aphis egomae), 들깨잎말이명나방(Pyrausta panopealis),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등이었다. 그 중에서 들깨진딧물은 방제를 하지 않았을 경우 100%에 가까운 피해를 주는 중요한 해충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발생초기 100주당 1마리에서 80마리 수준으로 들깨진딧물 성충을 인위적으로 접종하였을 경우 잎들깨 포장에서의 경제적 피해 수준과 요방제수준을 밝히고자 수행 하였다. 100주당 $1{\sim}80$마리가 접종되었을 때 평균 피해주율은 6월 하순경 $2.4%{\sim}40.5%$였다. 시험기간 동안의 방제비용(C)를 시장가격(V)으로 나누었을 때 진딧물의 발생초기인 4월부터 6월 13일까지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시점은 5.8%였으며 진딧물의 발생최성기인 6월 13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경우 9.3%였다. 들깨진딧물의 발생 초기에서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주당 5.3마리였으며 발생최성기 때의 경제적 피해수준은 주당 0.6마리와 7.6% 피해주율 이었다. 경제적 피해수준의 80% 수준에서의 요방제 수준은 들깨진딧물의 발생최성기인 6월의 경우 주당 0.5마리와 피해주율 6.1%였다. According to the preceding survey on insect pests of the green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The major pests were Aphis egomae Shinji, Pyrausta panopealis (Walker), Tetranychus urticae Koch, Polyphagotarsonemus lotus Banks,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at Guemsan, Chungnam, 2004. Aphis egomae causes nearly 100% injury of the green perilla in uncontrolled green houses.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control thresholds (CTs) for A. egomae injuring green perilla in green houses. Different densities of A. egomae ranged from 1 to 80 aphids per 100 plants in early inoculation. The mean injurying rate of plant was 2.4% to 40.5% at the end of June at differently inoculated levels. The economic loss time calculated by the ratio of cost managing aphid to market price (C/V) (C: cost managing aphid, V: Market price) in early season (from May to 13. June) was 5.8% and in peak season (from 13. June to 30. June) was 9.3%. Economic injury level in early and peak season was 5.3 aphids per plant and economic injury levels in peak season were 0.6 aphids per plant and 7.6% injured rate of plant. The control thresholds calculated by 80% level of economic injury level in peak season were 0.5aphids per plant and 6.1% injury rate of plant, respectively.

      • KCI등재

        Effect of Temperature at Different Performance Stages of Aphelinus varipes (Hym. Aphelinidae) Parasitizing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최용석,황인수,박덕기,최광렬,Choi, Yong Seok,Hwang, In Su,Park, Deog Gee,Choe, Kwang Ryul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하는 목화면충좀벌의 발육기간, 머미율, 번데기 사망률, 성비를 20, 25, 30, $25^{\circ}C$ 인큐베이터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피망잎이 놓인 콤팩트샤레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4개 온도에서 발육단계별로 복숭아혹진딧물을 사육하였고 기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12시간 동안 목화면충좀벌에 제공하였다. 목화면충좀벌의 알에서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20^{\circ}C$ 18.3일, $25^{\circ}C$ 14.7일, $30^{\circ}C$ 10.4일, $35^{\circ}C$ 9.3일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한 목화면충좀벌의 머미율은 $20^{\circ}C$와 $25^{\circ}C$, 1령과 2령에서 가장 높았으나 $30^{\circ}C$와 $25^{\circ}C$에서는 3령충에서 84.4~85.0%로 가장 높았다. 목화면충좀벌의 기주섭식률은 $20{\sim}35^{\circ}C$까지 각각 12.5%, 17.3%, 16.0%, 10.9%였다. 목화면충좀벌 암컷의 성비는 온도별로 각각 49%, 46%, 69%, 60% 였다. Developmental period, mummification, pupal mortality, and sex ratio of Korean strain of Aphelinus varipes F$\ddot{o}$rster parasitizing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were studied at 20, 25, 30, and $35^{\circ}C$ in controlled climate cabinets. The plastic container with a leaf disc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L.) was used as experimental units. Green peach aphid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were reared in four different temperatures and presented to A. varipes for 12 hours. A female adult of A. varipes was allowed to parasitize for 12 hours in each plastic petri dish. The periods from egg to adult of A. varipes were 18.3 days, 14.7 days, 10.4 days, and 9.3 days at $20^{\circ}C$, $25^{\circ}C$, $30^{\circ}C$, and $35^{\circ}C$, respectively. The pupal mortalities of A. varipes were 0%, 1.5%, 2.8%, and 10.2% at $20^{\circ}C$, $25^{\circ}C$, $30^{\circ}C$, and $35^{\circ}C$, respectively. The mummifications of A. varip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developmental stages of the aphid. The mummification of A. varipes parasitizing green peach aphid was the highest at 1st and 2nd in $20^{\circ}C$ and $25^{\circ}C$, but the highest at 3rd (84.4-85.0%) in $30^{\circ}C$ and $35^{\circ}C$. The host feedings of A. varipes were $20^{\circ}C$ (12.5%), $25^{\circ}C$ (17.3%), $30^{\circ}C$ (16%), and $35^{\circ}C$ (10.9%), respectively. The sex ratios of A. varipes female were $20^{\circ}C$ (49%), $25^{\circ}C$ (46%), $30^{\circ}C$ (69%), and $35^{\circ}C$ (60%),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