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콘포머 기반 FastSpeech2를 이용한 한국어 음식 주문 문장 음성합성기

        최예린,장재후,구명완,Choi, Yerin,Jang, JaeHoo,Koo, Myoung-Wan 한국음향학회 2022 韓國音響學會誌 Vol.41 No.3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Korean menu-ordering Sentence Text-to-Speech (TTS) system using conformer-based FastSpeech2. Conformer is the convolution-augmented transformer, which was originally proposed in Speech Recognition. Combining two different structures, the Conformer extracts better local and global features. It comprises two half Feed Forward module at the front and the end, sandwiching the Multi-Head Self-Attention module and Convolution module. We introduce the Conformer in Korean TTS, as we know it works well in Korean Speech Recognition. For comparison between transformer-based TTS model and Conformer-based one, we train FastSpeech2 and Conformer-based FastSpeech2. We collected a phoneme-balanced data set and used this for training our models. This corpus comprises not only general conversation, but also menu-ordering conversation consisting mainly of loanwords. This data set is the solution to the current Korean TTS model's degradation in loanwords. As a result of generating a synthesized sound using ParallelWave Gan, the Conformer-based FastSpeech2 achieved superior performance of MOS 4.04. We confirm that the model performance improved when the same structure was changed from transformer to Conformer in the Korean TTS.

      • KCI등재후보

        영아를 위한 북스타트 프로그램 경험의 의미

        최예린(Choi Ye-lin),구수연(Gu Su-Ye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의미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C시의 문헌정보관에서 제공하는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 하는 영아와 보호자를 참여 관찰하였으며, 인터뷰를 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도출된 연구 문제인 북스타트 프로그램이 영아와 양육자에게 갖는 경험으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영아들에게 즐거움으로서의 책 경험, 자율적인 책 탐색, 모방의 기회, 또래 인식 등의 경험으로 분석되었으며, 양육자에게는 영아기에 책이 갖는 의미 이해, 양육에 대한 정보 교류, 자녀와 놀이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 영아 발달에 대한 인식, 유익한 외출로서의 경험으로 분석되었다. 영아를 위한 북스타트 프로그램에서 책은 영아에게 감각 탐색의 대상이면서, 환경과 자신을 매개해주며, 영아의 보호자에게는 자녀 양육에 있어 배움과 변화의 기회를 제공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Bookstart program for infants. The experience of Bookstart program was analyzed in two aspects, for infants and their mothers(grandmothers). For infants, it has the meaning of ‘experience of book as the source of joy’, ‘autonomous exploration of book’, ‘chance to imitate’, and ‘recognition of peers’. And for their mothers it has the meaning of ‘chance to change and learning’; ‘recognition on the meaning of book for infants’, ‘exchange of information about raising kids’, ‘knowing how to play with their kids’ and ‘understanding about infant development’ and ‘beneficial going out’. Bookstart program can be rolled as a media to relate infant with environment, and gives mothers chances to learn and chang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o raise their children.

      • KCI등재

        한국 남성의 단모음 [아, 에, 이, 오, 우]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기반연구

        최예린(Yaeli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6

        영어의 경우는 모음포만트 분석이 질적이나 양적으로 이미 오래전부터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 모음이 음향음성학적으로는 제대로 분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충분한 자료 확보를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 정상 남자 20대와 30대를 대상으로 한국어 모음의 음향학적 측면에서 정량적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한국어 표준어를 산출하는 20~30대의 남자 총 31명을 대상으로 기본 5 모음 인 /아, 에(애), 이, 오, 우/를 3회 반복산출한 것을 Cool edit에 녹음하여 MATLAB음향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음의 F1, F2, F3, F4를 구하였다. F1과 F2 모두에서 본 연구의 모음 포만트가 선행연구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전체적인 패턴은 매우 유사하였다. 연령별, 어음재료에 따른 한국어 모음 자료들에 대한 연구가 더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Numer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have already been published related to English vowels. However, only minimal amounts of studies based on the acoustic analysis of Korean vowels have been accomp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sufficient quantitative data based on the acoustic aspects of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s between the ages of 20s and 30s. A total of 31 males in their 20s and 30s produced the five fundamental vowels /a, e, i, o ,u/ by repeating each of them three times in the standard Korean dialect. Such speech productions were recorded with 'Cool edit' and F1, F2, F3, F4 were extracted through the MATLAB acoustic analysis program.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patterns of formants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except that the formant levels of F1 and F2 of the vowels produced in this study were generally lower than that in previous studies. Future studies need to focus on obtaining vowel data by considering other factors such as age and other speech materials.

      • KCI등재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행동 변화 탐색

        최예린(Choi Ye-Lin),박찬옥(Park Chan-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행동의 변화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1세 영아 남아이며, 자료 수집은 2008년 3월19일부터 2009년 2월 26일까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일주일에 한번 참여자 현빈이의 집 또는 현빈이 친구네 집을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1세 현빈이가 두드러지게 보여준 그림책 읽기 행동은 감각적 탐색하기, 눈과 손의 협응을 통한 책읽기, 언어적으로 표현하기, 그림책의 내용 모방하기, 그림책의 내용 알고 반응하기였다. 이러한 행동은 월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변화는 이전의 경험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으며 나타났다. 이런 점에 그림책 읽기는 연구 참여자 영아의 발달과 관련됨을 시사해 주었다. This qualitative research is the exploration on the changes of an one year old infant's reading of picture books. For this research, the subject was an one year old bo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9 2008 to February 26 2009 by both participated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For this data the researcher visited the participant at his friend’s house regularly once a week. The aspects of an one year old infant from reading picture books could be enumerated to sensory exploration, eye-hand coordination, verbal expression, imitating story of picture books and responding to story of picture books. As one year old infant adds more months to his life, his reading behavior gradually improves. Particularly, this change was correlatively related with their previous experience. Therefore the picture book reading was related to the one year infant development.

      • 성수동 붉은 벽돌 건축물에 관한 연구

        최예린(Choi, Ye-Rin),이상윤(Lee, Sang-Yun)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ousing mobility behavior according to the income change and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A binary logit model was used with the data which were obtain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1989. The sample size was 1620 household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upward movement probability in rental housing or in single housing was higher than that in owned housing or in apartment housing as household income increased.

      • KCI등재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야기

        최예린 ( Ye Lin Cho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과 그들이 깨달은 좋은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아동복지학과 학생 9명이고,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울러 참여자들의 사고를 확장하기 위해 수업 관련 동영상 시청, 그림책 읽기, 경험회상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좋은 수업 특징은 재미와 흥미가 있는 수업,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능동적 참여가 있는 수업, 놀면서 배우는 수업,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의 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이 깨달은 좋은 수업 의미는 상호 신뢰 하는 수업, 존중과 수용이 공존하는 수업, 기다려주는 수업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 관련 동영상 시청, 그림책 읽기 및 경험회상을 활용한 소그룹 토의와 저널쓰기 활동은 예비유아교사로 하여금 좋은 수업에 대한 반성, 변형, 재구성을 할 수있게 하는 교사교육의 한 형태라는 것을 제언할 수 있겠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good teaching recogniz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nine students who are senior in the child welfare department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and participants`` journals. In addition, this study used video and picture books on class teaching to expand the participants’ thinking. The results presented below: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are as follows a fun and interesting class, active interactions, active participation, learning while playing, direct and specific experiences. Second,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based on self-realization was as follows: a class with mutually trust, respect and acceptance, waiting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mall group discussion and journaling through video and picture books used during class, to document the experience can be useful in teacher education in developing student teachers`` 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as well as making modification for good teaching.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유아교육과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최예린(Choi Ye-L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2년제 유아교육과에 입학한 성인학습자들이 학생이 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자 이루어졌다. C도시에 소재 B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입학한 성인학습자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집단면담, 개인면담, E-mail, 전화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trauss와 Corbin (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개방코딩결과 25개의 하위범주와 13개의 상위범주로 범주가 추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유아교육과를 선택하게 된 인과적 조건, 유아교육과 대학생활을 경험하면서 발생하는 현상, 그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상황적 맥락, 맥락으로 인해 성인학습자가 취하는 행동으로 상호작용,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한 요인으로 중재적 상황, 그리고 상호작용에 의해 초래된 성과로서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선택코딩에서 중심 범주를 도출한 결과 핵심범주는 현실을 수용하며 배움에 임하기였다. 유형분석 결과 ‘자아실현형’, ‘혼신형’, ‘의존형’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dult learners’ experiences in a 2-yea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 adult learners who entered a 2-year early childhood pre-service program located in C cit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group interviews,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pen coding as the first stage of the analysis was conducted and 13 categories and 25 sub-categories were found. Then the axial coding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dimensions of grounded theory including the causal conditions that the participants chose to be a early childhood teacher, the phenomena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rough their school lives, the contexts that caused those phenomena, the interactional strategies that the participants planned in the contexts, the mediate situations that made it possible to plan the strategies, and the consequences of the interactions in the context. Finally, through selective co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program were identifi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such as self-actualizer, trier, and dependant.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과 책읽기의 의미 내용 분석

        최예린 ( Choi Ye-lin ),한주희 ( Han Ju-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과 책읽기의 의미에 관한 내용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책에 관한 내용이 담긴 그림책 총 23권을 선정하였고,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책의 특징으로는 동물 주제의 책, 전문 분야의 책 등 다양한 종류의 책이 있으며, 책은 종이로 만들어졌으며 글과 그림 등이 있다는 속성을 가지고 있고, 책에서 보여주는 공간은 환상 세계의 공간과 과거 공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에 나타난 책읽기의 의미는 재미있고 행복하기 위해서 그리고 슬픔을 치료하기 위해 책을 읽고, 책을 읽음으로써 지식을 습득하게 되고, 풍부한 책읽기 환경으로 변화된다. 장소적 측면에서 도서관과 그 밖의 다양한 장소에서 책을 볼 수 있으며, 책은 혼자 조용히 읽을 수 있고 다른 사람과 함께 읽을 수 있는 매체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그림책에 나타난 책을 읽음으로써 그림책의 가치와 책읽기의 의미를 알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tents, especially the features and meanings, in picture books. This study used 23 picture books, and quantitative design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 features of the picture books were as follows: there were a variety of books related to animal themes, the attribute of the books had a material like a paper, and the characters of the picture books moved to an imagination space and past space. Second, the meaning of the picture books was as follows: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reason’ for reading was related to fun and emotional support; the ‘result’ of reading was related to increasing knowledge and changing to an environment that has plentiful books; the location of reading was at the library and in a variety places, and the ‘method’ of reading was quiet reading and shared reading.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e value of reading as well as the meaning of reading in children through picture books.

      • KCI등재

        소모임과 저널쓰기에서 나타난 초임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적응 과정

        최예린(Ye Lin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초임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을 탐색해 봄으로써 바람직한 초임교사들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4년제 아동복지 학과를 졸업 후 충청남도 소재 ○○ 어린이집에 취업한 보육 교사 6명을 연구 참여 자로 선정하였으며 약 5개월 동안의 연구기간 동안 소모임과 저널쓰기 등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학부모, 교사, 일은 초임 보육교사의 적응과정을 설명하는 토대가 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초임보육교사들은 유아와의 관계에서 ‘초임’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부정적 정체성을 경험했지만 점차 유아 들과의 관계에서 ‘나는 교사다’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둘째, 초임 보육교사들은 부 모와 경력교사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꼈지만 ‘만남’을 통해 점차 긍정적인 관계로 발전되었다. 마지막으로 초임 보육교사들은 다양한 과업을 수행하면서 육체적 피로를 경험하였지만, 돌봄과 가르침의 과정에서 배움과 자기성찰의 경험을 하게 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adaptation process of day care center`s beginning teachers and to reveal implications for supporting beginning teachers. Participants consist of six bachelor degree holders in curriculum in child welfare working in Chung Nam. The data collection, conducted over five months, was obtained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s and the participants` journals. Findings show that the adaptation of beginning teachers can best be explained through the children, their parents, experienced teachers, peer teachers and work itself. The study offers three important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self-consciousness of being novice contributed to their experiencing a negative identify in relation to children. Second, initial difficulties related to dealing with the parents and more experienced teachers gave way, through meeting, to a positive situation. Third, the beginning teachers suffered physical fatigue from their job bu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and of self-reflection to caring as well as the teaching` proces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 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 달라진 어린이집 일상에 관한 연구

        최예린(Choi, Ye-li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코로나 19가 영유아를 담당하는 보육교사의 정서와 어린이집 일상에 미친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 서울, 인천, 충남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105명 교사(원장, 원감, 교사)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서술적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2개의 상위주제와 11개의 주제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 상황에서 보육교사는 두려움을 넘은 공포, 피해 주는 것에 대한 걱정과 스트레스, 부정적 시선에 대한 속상함과 스트레스, 불안 상황에서 예민함, 확진 교사에게 감정이입과 같은 정서적 경험을 하였다. 둘째, 코로나 19 감염병은 어린이집의 평소 일상모습을 바꾸었다. 즉 마스크 속에 갇힌 유아와 교사, 사라진 접촉, 텅 빈 교실과 조기 퇴소, 의심자와 외부인 경계, 혼란의 2월, 매일의 소독 그리고 코로나 교육이 일상이 되었다. 이 연구는 신종감염 상황에서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정서와 어린이집 일상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는 전염병에 대한 보육교사 교육, 지원, 심리 상담 등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VID-19 on the emotions of child care teachers and daily routine in th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105 teachers including center director, assistant director, and teachers who work in day care centers in Gyeonggi, Seoul, Incheon, and Chungnam. Data were collected from a narrativ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Giorgi s phenomenological method into two main theme and eleven top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emotions such as a phovia beyond fear, worry and stress about avoiding damage, to others, upset and stress about negative gaze, sensitivity in anxiety situations, and empathy to confirming teachers under COVID-19 infection situation. Second, COVID-19 infectious disease changed the daily routine of child-care centers. Children and teachers were trapped in masks all time, missing contact with others, experiencing empty classrooms, early exit, vigilance between suspects and outsiders, chaotic February, daily disinfection and daily COVID-19 edu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conducted in South Korea in relation to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 in the case of new infections and changes in daily life in child care centers.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necessity of providing child care teachers with education, support,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n infectious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