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수를 동반한 Epstein-Barr바이러스 연관성 혈구탐식증후군 1례

        최예나,장광천,김동수,박영년,Choi, Ye-Na,Jang, Gwang-Cheon,Kim, Dong-Soo,Park, Young-Nyun 대한소아감염학회 2002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9 No.1

        저자들은 내원 1개월 전부터의 고열 복통을 주소로 전원되어 복수를 동반한 EBV 연관성 VAHS로 진단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emophagocytic syndrome(HPS) has four subgroup, sporadic disorder, associated with acute infection, familial form seen in children, and associated with malignant disorders, immunodeficiencies, defective leukocyte function. Histologically, Hemopoietic cells are actively ingested by moncytes/macrophages in various organs, including lymph nodes, bone marrow, liver, and spleen. Epstein-Barr virus(EBV) is now thought to be one of the major causes for the virus-associated hemophagocytic syndrome(VAHS). Epstein-Barr(EB) virus infection is common, with up to 90% of individuals demonstrating positive titiers by age 20. Although elevated liver function tests commonly occur, severe hepatitis is rare. Only seven cases of ascites complicating Epstein-Barr infection are reported, but none clearly demonstrate the abscence of other causes of hepatic dysfunction. We are reporting a case of Epstein-Barr Virus-associated hemophagocytic syndrome with ascites.

      • KCI등재

        사용자 경험 디자인 측면에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스타벅스 사례를 중심으로

        최예나,허소연,김민경,정영욱,Choi, Ye-Na,Heo, So-Yeon,Kim, Min-Gyeong,Jung, Young-Wook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related to mobile, cloud, IoT, even traditional businesses have began to develop strategi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This is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part for business sustainability. However, many of these attempts are being conducted from the management point of view, an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user experience design for digital transformation. In this study, Starbucks, which started a offline store business and expanded its experience with online services,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case and user research was conducted on it. Through an usability evaluation and post-task interviews of the Starbucks mobile application users, we discovered important issues of user experience to consider when transforming and expanding services online from offline. Based on the findings, the considersations for designing online user experience were discussed and proposed. These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researching and implementing digital transformation.

      • KCI등재

        시민참여가 정책의제설정에서 문제흐름과 정책흐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최예나 ( Choi Yena ),김이수 ( Kim Lee-soo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2

        본 연구는 정책의제설정과정에서 시민참여가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시민참여와 정책의제설정중 문제흐름과 정책흐름의 관계에서 정부신뢰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시민참여의 여러 유형중에서 관객형 참여인 정치·사회 현안에 대해 주변인과 대화, 정부나 언론에 의견 제시, 과도형 참여인 시위·집회 참여, 정부신뢰, 정치·사회 현안에 대해 주변인과 대화가 많고 정부신뢰가 높은 경우, 서명운동 참여가 많고 정부신뢰가 높은 경우에 정책의제설정과정중 문제흐름과 정책흐름 모두에 영향을 미쳤고, 이러한 공통적 요인들이외에 정책흐름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관객형 참여유형으로는 정치·사회 현안에 대해 온라인상 의견피력, 공무원·정치인에 민원전달, 투사형 참여유형으로는 서명운동 참여, 탄원서·진정서·청원서 제출이다. 이에 따라, 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포괄적인 시민참여 정책방안들이 필요하다. 첫째, 참여적 의사결정 방식의 적극적 활용이다. 이를 위하여 문제흐름과 정책흐름 과정에 여론조사, 시나리오 워크숍, 시민배심원제, 합의회의 등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정책혁신가의 역할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정책혁신가는 기회의 창이 출현할 때 정치흐름과 문제흐름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셋째, 정책의제설정 과정에 시민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주민자치회의를 활성화하고 정책의제설정에 활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policy setting and the effect of government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lem stream and policy stream among citizen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various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the opinions of the neighborhood and dialogue about th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such as audience participation type, opinions to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high dialogue with high government trust, high participation of signatory campaigns with high government trust influenced problem stream and policy stream during the process of policy agenda setting. Accordingly, civil participation policy measures that can influence policy setting are needed. First, it is the active use of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It is necessary to use public opinion surveys, scenario workshops, citizens' juries, consensus meetings. Second, it is to activate the role of policy innovators. Third, in order to activate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polic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residents 'residents' association and utilize it for the policy setting.

      • KCI등재

        시민들의 인식으로 살펴본 정책행위자 요인이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집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책요인과 환경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 Choi¸ Yena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7 No.3

        본 연구는 시민들의 인식을 토대로 다양한 정책행위자 요인이 공적개발원조 정책집행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정책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탐색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국제사회 문제 논의는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공적개발원조 제공사실 인지는 개도국 빈곤퇴치 및 경제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부정책의 공정성, 민간·시민사회의 참여 지원은 모든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예산 운영 투명성, 빈곤층 정부지원 찬성수준은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원조대상 국가 및 사업 결정시 체계성은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공적개발원조 찬성정도는 개도국 빈곤퇴치 및 경제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원조활동 참여의사 또는 예산 운영 투명성과 사업결정시 체계성이 증가하면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공적개발원조를 홍보하고 교육 프로그램, 열린 토론회 등을 마련한다. 둘째, 공정한 정책수행을 통해 국민신뢰를 높이고 시민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예산의 투명성과 원조대상 및 사업 선택의 체계성, 자원관리 활동의 합리성을 높인다. This study explor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various policy actors’ factors on the effectiveness of ODA’s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litic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ir relationship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iscussions on international community issu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ODA’s policy Implementation, and recognition of the fact of providing ODA had a positive effect on poverty eradi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Second, the fairness of government policy and the support of private and civil society’s participation in ODA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ODA’s policy Implementation. The transparency of budget operation and the level of support for the poo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ODA’s policy Implementation.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mote ODA, and to organize educational programs and open discussions. Second, government should increase public trust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fair policy implementation. Third,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the budget, the systematization of aid targets determination and project selection, and the rationality of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 KCI등재

        심리치료에서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최예나 ( Choi Yena ),이영애 ( Lee Young-a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치료에서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과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 4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 요인의 전체 효과크기는 ESr=.529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 요인 중 보호요인 전체의 효과크기는(.541)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보호요인 내 하위요인 효과크기는 상담자 역량 (.582), 상담과정 촉진태도 (.525), 상담자 개인 내적 특성(.512)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 요인 중 위험요인 전체의 효과크기는(-.502)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위험요인 내 하위요인 효과크기는 상담과정 방해태도(-.621), 상담자 개인 내적 특성(-.421)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출판물 형태에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심리치료에서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상담자 역량 증진을 위한 후속 연구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perform a thorough and systematical analysis of counselor’s factors that are affecting the working alliance during psychotherapy. Firstly,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counselors’ factors that influence the working alliance showed a large effect size(.529). Secondly, the effect size of the protective factors(.541) showed a large effect size. Among protective factors, the effect size of counselor’s competence(.582) was in order before attitude during counseling(.525)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 counselor(.512). Thirdly, the effect size of the risk factors among counselors’ factors that influence working alliance(-.502) showed a large effect size. Among risk factors, the effect size of disruptive behavior during counseling(-.621) was in order before counselor’s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istic(-.421). T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counselors’ factors that influence the working alliance in psychotherapy. The findings are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academic advancements and enhance counselors' skills by guiding future research endeavors.

      • KCI등재

        공론화 정책영역에서 정책집행 요인이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예나 ( Choi Yena ),김이수 ( Kim Lee-soo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3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국민들의 합의가 필요한 공론화 정책영역에서 일반국민과 이해당사자들이 갈등을 경험하는 경우 해당정책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책집행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전력관련 설비 설치정책(원전, 방폐장, 송전탑 등)과 군사시설의 수용/설치 정책(사드배치, 해군기지 등)에서 일반국민과 갈등경험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정책집행 요인(정책 특성과 정책 행위자 요인)을 중심으로 정책수용성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정책의 필요성이 명확한 경우, 정책수행절차에서 실질적인 공론화가 실시되는 경우, 정책대상자가 정보 파악 능력, 경제적 능력 등을 갖춘 경우 정책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력관련 설비 설치 정책의 경우 정책집행자의 주민참여 보장 노력이 클수록, 군사시설 수용/설치 정책의 경우 주민설명회 등 참여제도를 실시하거나 정책집행자가 법규, 지침 등을 준수하고자 노력할수록 정책수용성이 긍정적인 변화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로서, 정부는 일반국민들과 해당정책의 이해관계자들에게 정책의 필요성을 홍보하고, 실질적으로 공론화가 실시될 수 있도록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하며, 주민 설명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집행자는 정책대상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채널을 확대하고, 법규 등 관련 지침을 준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olicy implementation factors on policy acceptance in the deliberative public policy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that the need for policy is clear, it affects the policy acceptance positively. And if the policy-making procedure is practically conducted, or if the policy target has information ability and economic ability, it affects the policy acceptance posi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overnment needs to publicize the necessity of policy to the general public and relevant stakeholders of the policy. And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form “public deliberation committee” so that the public deliberation can be practically carried out.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various stakeholders participate such as residents' briefing sessions.

      • KCI등재

        시민들의 관점에서 본 공직가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행정서비스의 공정성과 투명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 Yena Choi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7 No.4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시민들의 관점에서 공직가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행정의 핵심인 행정서비스의 공정성과 투명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공직가치 중 전문성(업무능력), 친절·봉사성, 성실성 및 행정서비스의 공정성과 행정서비스의 투명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둘째 공직가치 중 의사소통 및 협상력과 정치적 중립성은 행정서비스 질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셋째, 창의성과 자기발전 노력은 행정서비스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절변수의 효과에서는 첫째, 행정서비스 공정성과 근무의욕의 상호작용항이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둘째 행정서비스 공정성과 행정환경 변화대응도, 책임성의 상호작용항은 행정서비스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행정서비스 투명성과 성실성의 상호작용항은 행정서비스 질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분석내용에 기반하여 정책적 함의로는 전문성 강화 및 전문교육 프로그램 실시, 서비스 마인드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실시, 성과평가 체계 개선, 행정서비스 제공과정 및 관련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정보 제공, 사용자 중심의 프로그램 도입 등 창의성과 자기발전 지원, 정치적 중립성 및 의사소통과 협상 기술강화를 위한 교육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public office valu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which are the core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fessionalism (work ability), kindness, sincerity, the fairness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and the transparency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had positive effects on publ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 bargaining power and political neutr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quality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Third, Creativity and self-development efforts had negative effects on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satisfaction. Fourth, when the fairness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increased, the willingness to work (job immer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performance. Fifth, responsibility and the respons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had positive effects on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satisfaction when the fairness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increased. Sixth, when the transparency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increased, since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Based on these, policy implicatios a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s to strengthen service minds of public officials, the support for improving creativity, the introduction of user-centered programs, and the programs to strengthen political neutrality of public officials are necessary to improve publ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디지털 활용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 Choi Yena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8 No.3

        본 연구는 디지털 활용역량이 시민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 디지털 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효과(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결과, 코로나 19 이후 검색 및 이메일, 콘텐츠 서비스 활용역량, 정보생산 및 공유 활용역량, 사회참여 활용역량, 디지털 비대면 소비 활용역량, 디지털 소통, 디지털 사회적 이타주의, 코로나 19 이후 네트워킹 활용역량과 디지털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 코로나 19 이후 검색 및 이메일, 콘텐츠 서비스 활용역량과 디지털 사회적 이타주의의 상호작용 등이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시민들의 삶의 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향으로 생애주기적 디지털 활용역량 교육 강화, 사회 및 지역문제 해결사업에서 디지털 소통 활성화, 디지털 시민성 교육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on citizens' life satisfaction after COVID-19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in content services, information production and sharing, social participation and digital non-face-to-face consump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communication, digital social altruism, interaction between digital networking utilization capability and digital social capital, interaction between digital content service utilization capability and digital altruism had also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a life-cycle digital literacy education to enhance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digital communication to vitalize the local community problem solving project. Thir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digital social altruism.

      • KCI등재

        지역특성이 지방재정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기초자치단체들에 대한 퍼지셋분석을 중심으로

        최예나 ( Choi Yena ),김상헌 ( Kim Sangheo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4 No.1

        본 연구는 갈수록 심화되는 지방재정의 위기 문제를 극복하고 재정건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방재정 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방재정 건전성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기반으로 두 가지 측정지표(통합재정수지비율, 지자체 부채비율)를 설정하고, 재정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특성들을 재정적 요인, 정책적 요인, 인구·사회적 요인 및 경제적 요인으로 세분화하여 결합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자체 재정자립도와 복지지출 비중이 낮고, 지역개발지출 비중과 노령인구 비중이 높으면서, 인구천명당 산업종사자수가 많은 경우 지방재정 건전성이 높아졌다. 또한, 지자체 재정자립도와 복지지출비중 및 지역개발지출 비중이 낮고, 노령인구 비중이 높으면서 인구천명당 산업종사자수가 많은 경우 지방재정 건전성이 낮아졌다. 그 외에도 재정자립도와 지역개발지출 비중이 낮고 인구 천명당 산업종사자수가 적으면서 복지지출 비중과 노령인구 비중이 높은 경우 지방재정 건전성이 낮아질 확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재정건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지역개발활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복지정책과 지역산업육성정책을 균형잡히게 운영하며, 현실에 적합한 지방재정조정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the local government fiscal health focusing on the effect of regional factors in Gyeonggi Province. Consolidated budget balance ratio and debt to total assets are used as fiscal health indicators. And regional factors influencing the fiscal health are categorized into financial, political, economical and demographic factor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gion in good fiscal health has 5 conditions : Fiscal self-reliance ratio and welfare expenditure ratio are low. Regional development expenditure ratio and aged persons ratio are high. And it has a large number of industry employees per 1,000 of population. And the region in bad fiscal health also has 5 conditions : Fiscal self-reliance ratio and regional development expenditure ratio are low. Welfare expenditure ratio and the ration of aged persons are high. And it has a small number of industry employees per 1,000 of population.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increase in regional development expenditure helps fiscal health to be good. And the balance between welfare policy an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is important.

      • KCI등재

        주민들의 지역균형발전정책 공정성 인식의 결정요인 연구: 중앙정부 및 국회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 Choi Yena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균형발전정책의 공정성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을 결정하는 요인과 이 과정에서 중앙정부와 국회의 공정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Rawls(2003)의 공정성으로서의 정의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지역균형발전정책의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개인적 특성, 사회적 자본, 제도적 역량으로 구분하여 분석 틀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주민들은 사회적 지위, 경제적 안정성이 높을수록, 주민들간 신뢰가 높을수록 지역균형발전정책이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반면에 정치이념이 진보적일수록 지역균형발전정책이 불공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중앙정부와 국회의 제도적 역량(소통, 청렴, 신뢰, 공정성)이 높을수록 주민들은 지역균형발전정책이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반면에 중앙과 지방간 갈등이 클수록 불공정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정책적으로 지역균형발전정책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주민교육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총괄부처를 중심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련 정책들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citizen perception on fairness in regional equity development policy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central government`s and national assembly`s fairness. Theoretical rationales are categoriz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and institutional capacities. As results of the analysis, social status, economic stability, personal trust, institutional capacities such as trust, fairness, communication influence citizen perception on fairness in regional equity development policy positively. But political ideologies and conflict between regions do negatively.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Citizen education, information provision for citizen and policy priority-based coordination of collaborative governance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