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방용품(냄비)에서의 유해중금속 용출에 관한 연구

        최영은,최영은,박가희,최은진,조아라,김영수,장봉기,이종화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4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20 No.1

        We examined the extraction rate of heavy metals from kitchen utensils. The contents of As, Cd, Cr, Ni and Pb were measured by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Shimadzu). The extraction rate of heavy metals from utensils made by stainless steel was higher than that from utensils made by aluminium. The extraction rate of heavy metals under acidic condition was higher in both of utensils made by stainless steel and aluminium.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extracted from utensils were below the limit values of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products.

      • 덕유산국립공원의 미사용 스키슬로프 구간의 식물상 및 식생

        최영은,이남숙,두하은,박여빈,김창환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7 No.2

        덕유산국립공원의 설천봉은 해발 1,520m의 아고산지대 로 뛰어난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태학적으로 중요 한 핵심지역이다. 그러나 설천봉 일원의 스키장 활용으로 인한 하부식생의 성장이 저해되고 있으며, 이런 인위적인 요인으로 훼손되어 나지화된 구간이 분포하고 있다. 본 연 구는 훼손된 구간 중 현재 미사용 스키슬로프 구간에 분포 하는 관속식물상과 식생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보전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 고자 수행되었다. 조사지역은 미사용 스키슬로프 지역 중 3지점을 선정하 였으며, 3지점 및 주변지역의 식물상 및 식생을 조사였다. 미사용 스키슬로프 전체 관속식물 조사 결과 48과 102속 116종 1아종 23변종 3품종으로 총 143종이 조사되었으며, 이것은 한국산 관속식물 4,191종류 (Nakai, 1952)의 3.41% 에 해당한다. 이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Ⅲ등급에 해당 하는 산오이풀, 시닥나무, 개회나무, Ⅱ등급에 해당하는 눈 개승마, 붉은병꽃나무, 곰취, 톱풀, Ⅰ등급에 해당하는 박달 나무, 참느릅나무, 투구꽃 등 총 12종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오리새, 왕포아풀, 소리쟁이, 붉은토끼풀 등을 포함해서 총 12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생태계교란야생식 물은 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 2종이 조사되었다. 사이트1의 관속식물 조사 결과 26과 46속 44종 8변종 1품종으로 총 53종이 조사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은 Ⅲ등급에 해당하는 개회나무, Ⅱ등급에 해당하는 눈개 승마, 붉은병꽃나무, Ⅰ등급에 해당하는 박달나무, 투구꽃, 들메나무 등 총 7종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오리새, 토끼 풀, 개망초, 서양민들레 등을 포함해서 총 4종이 조사되었으 며, 이 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조사되지 않았다. 사이트2의 관속식물 조사 결과 31과 51속 46종 7변종 1품종으로 총 54종이 조사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은 Ⅲ등급에 해당하는 시닥나무, Ⅱ등급에 해당하는 붉은 병꽃나무, 톱풀, Ⅰ등급에 해당하는 박달나무, 들메나무 등 총 5종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서양민들레, 개망 초, 달맞이꽃, 비짜루국화 등을 포함해서 총 7종이 조사되었 으며, 이 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조사되지 않았다. 사이트3의 관속식물 조사 결과 21과 33속 43종 3변종 1품종으로 총 47종이 조사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은 Ⅰ등급에 해당하는 박달나무, 참느릅나무, 들메나무 등 총 3종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오리새, 소리쟁이, 붉은토 끼풀, 달맞이꽃 등을 포함해서 총 8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조사되지 않았다. 미사용 스키슬로프의 주요 식생은 박달나무군락, 붉은병 꽃나무군락, 호랑버들군락, 버드나무군락, 김의털군락, 오 리새군락, 쑥군락 등이 우점하고 있으며, 오픈스페이스 구 간은 신갈나무가 치수형태로 분포하고 있으며, 관목 이상의 형태로는 분포하고 있지 않다. 미사용 스키슬로프 구간의 천이 단계는 쑥 → 산딸기 → 싸리, 국수나무 → 붉은병꽃나 무 → 박달나무 → 철쭉, 당단풍 → 신갈나무, 소나무 순으 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이트 1의 주요 식생은 아교목층에 호랑버들군락, 박달 나무군락, 버드나무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관목층에는 붉 은병꽃나무군락, 호랑버들군락, 박달나무군락, 미역줄나무 군락 등, 초본층에는 김의털군락, 미역취군락, 산수국군락, 쑥군락이 우점하고 있다. 사이트 2의 주요 식생은 아교목층에 박달나무군락, 들메 나무군락, 호랑버들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관목층에는 붉 은병꽃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병꽃나무군락, 산수국군락, 산딸기군락 등, 초본층에는 관중군락, 김의털군락, 쑥군락 등이 우점하고 있다. 사이트 3의 주요 식생은 아교목층에 박달나무군락, 버드 나무군락, 선버들군락, 혹느릅군락, 싸리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관목층에는 산딸기군락, 싸리군락, 조록싸리군락, 혹느릅군락, 칡군락 등, 초본층에는 붉은토끼풀군락, 오리 새군락, 쑥군락, 삿갓사초군락 등이 우점하고 있다. 덕유산국립공원의 미사용 스키슬로프 식생 조사 결과 조 사대상지의 경우 식생의 건강성은 매우 양호하며, 덕유산 식생천이의 일반적 천이진행 과정의 전형성을 나타내고 있 다. 미사용 스키슬로프 주변 사용 중인 슬로프의 경우 덕유 산의 식물상 및 식생의 전형성 및 건강성을 위협하고 있는 외래종, 교란종, 침입종(산림식생의 종조성과 이질적종)이 상당히 많은 개체수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지만 미사용 스키슬로프의 위치, 지형, 미세기후 등을 고려 하여 식생의 건강성을 판단해 볼 때 모든 조사구간 및 조사 구간 이외의 지점 등 대부분의 식생은 자연성이 크게 유지 되면서 천이가 진행되고 있으며, 천이의 진행정도는 산림식 생 천이의 초기 및 중기 식생천이의 종조성을 나타내고 있 어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스키슬로프 조성 이전의 식 생 유형 및 종조성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 의 식생천이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자연성 및 식생 의 전형성으로 진행되고 있는 미사용 스키슬로프에 대한 인위적 관리 행위는 하지 않아야 하며, 현재의 식생에 어떠 한 복원, 복구, 관리행위를 하지 않아야 한다.

      • KCI등재

        Proangiogenic cells enhanced persistent and physiologic neovascularization compared with macrophages

        최영은,차영륜,이경민,김현진,윤창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5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47 No.-

        Proangiogenic cells (PACs) display surface markers and secrete angiogenic factors similar to those used by myelomonocytic cells, but, unlike myelomonocytic cells, PACs enhance neovascularization activity in experimental ischemic diseas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the differential neovascularization activities of PACs compared with those of myelomonocytic cells. We cultured PACs and D14+-derived macrophages (Macs) for 7 days. Most of the surface markers and cytokines in the two cell types were alike; the exceptions were KDR, β8 integrin, interleukin-8 and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Unlike Macs, PACs significantly enhanced mesenchymal stem cell (MSC) transmigration. PACs and Macs increased neovascularization activity in an in vitro co-culture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and MSCs and in an in vivo cotransplantation in Matrigel. However, the use of Macs resulted in inappropriately dilated and leaky vessels, whereas the use of PACs did not. We induced critical hindlimb ischemia in nude mice, and then transplanted PACs, Macs or vehicle into the mice. We obtained laser Doppler perfusion images weekly. At 2 weeks, mice treated with PACs showed significantly enhanced perfusion recovery in contrast to those treated with Macs. After day 7, when cells were depleted using a suicidal gene, viral thymidine kinase, to induce apoptosis of the cells in vivo by ganciclovir administration, we found that the improved perfusion was significantly abrogated in the PAC-treated group, whereas perfusion was not changed in the Mac-treated group. PACs caused an increase in healthy new vessels in in vitro and in vivo models of angiogenesis and enhanced long-term functional neovascularization activity in the hindlimb ischemia model, whereas Macs did not. Nevertheless, the angiogenic potential and long-term functional results for a specific cell type should be validated to confirm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he cell type for use in therapeutic angiogenesis procedures.

      • KCI등재

        증거성표지의 이해, 산출과 마음이론발달의 관련성 연구

        최영은,장나영,이화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ree to six-year-old Korean-learning children's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of evidentials (esp., indirect inference and hearsay markers), and whether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ToM)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vidential understanding and use. The production of hearsay marker(-tay) became reliable after four years of age and yet, development of comprehension of this marker was delayed until 6 years. Indirect inference marker, -kes kata, by comparison, begin to develop rapidly after 5 years of age in both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Development of ToM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vidential comprehension and production(in particular, production of indirect inference). However, its unique contribution to evidential development was difficult to tease apart due to its high correlation with age. 한국어 습득 3-6세 아동을 대상으로 정보의 출처를 문법적으로 표시하는 증거성표지 중 타인의 보고를 표시하는 ‘-대’와 간접 추론을 표시하는 ‘-것 같다’의 산출과 이해의 발달 정도를 실험적으로 고찰하고, 증거성표지의 산출과 이해에 마음이론의 발달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산출의 경우, ‘대’의 산출은 4세 이후부터 안정적으로 산출되었으나 ‘대’의 이해 발달은 5-6세에 이르러도 아직 성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간접 추론을 표시하는 ‘것 같다’의 산출은 5세 이후부터 이해와 더불어 급격히 발달되는 경향을 보였다. 마음이론의 수행 수준은 증거성표지 이해 및 산출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증거성표지 습득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나 연령과의 높은 상관으로 마음이론이 연령증가 이외에 증거성표지 이해와 산출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을 밝히지는 못하였다.

      • KCI등재

        전남 고흥 거금도 식충식물 서식지의 분포식물에 관한 연구

        최영은,김창환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4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distributed in the carnivorous plants habitats on the Geogeum-do Island in Goheung-gun, Jeollanam-do in September and October 2017, May 2018, and July 2018. Habitats of the carnivorous plants are wetlands which were formed by the groundwater flowing down from springs (source of streams) on summits and the ridges of the mountainous areas to the aforementioned wetlands and their moorland soil layer. It identified a total of 82 vascular plants with 38 families, 63 genera, 70 species, 11 varieties, and 1 formas. There are 72 species in habitat I, 60 species in habitat II, and 33 species in habitat III.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ecies were influenced by the size of wetlands and the progress of wetland desiccation. Among the major species distributed in the habitats, Utricularia yakusimensis, Utricularia bifida, Drosera rotundifolia Eriocaulon hondoense, Rhynchospora fujiiana, Rhynchospora fauriei and Scirpus juncoides are dignostic species in wetland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found to include 15 taxa; that is, class V species (4 taxon) containing Drosera rotundifolia, Amsonia elliptica, Utricularia yakusimensis and tricularia bifida; class IV species were not found; class III species (5 taxon) were contained in the area. Other noteworthy findings were the recording of Raphiolepis umbellate, Daphniphyllum macropodum, lex crenata,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Mitchella undulata, class II species (1 taxon) Senecio pseudo-sonchus, and class V species (5 taxon) Quercus variabilis, 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urya japonica, Ardisia japonica, and Ligustrum japonicum. 식충식물은 전 세계적으로 약 400 여종이 있으며 한반도의 식충식물은 통발과의 통발, 들통발, 개통발, 이삭귀개, 땅귀개, 자주땅귀개, 벌레잡이제비꽃, 털잡이제비꽃의 8종류가 있으며, 끈끈이주걱과에는 끈끈이주걱, 끈끈이귀개, 긴잎끈끈이주걱, 벌레먹이말의 4종류가 있다. 이들 중 벌레먹이말은 현재 멸종된 것으로 보이며, 벌레잡이제비꽃, 털잡이제비꽃, 긴잎끈끈이주걱은 북부지방에만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흥군 거금도 소재 식충식물(땅귀개, 자주땅귀개, 끈끈이주걱)이 서식하는 서식지(습지) 3곳의 분포식물의 식물상,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의 분포현황, 그리고 주요 분포식물의 식생학적 진단을 통해 습지 식생 식물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장 조사는 2017년 9월과 10월, 2018년 5월, 2018년 7월에 실시하였다. 식충식물의 서식지는 산지습원으로서 습지가 위치한 산의 정상부와 능선에서 발원하는 계류수가 토양층에 복류하여 습지 내로 흘러 들어가는 지하수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이러한 고흥 거금도 식충식물 서식지 습지는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식충식물의 서식지 환경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3개 서식지 전체 식물분류계급은 38과 63속 70종 11변종 1품종으로 총 82종류가 서식하였다. 이들 중 서식지Ⅰ에서는 72종류, 서식지Ⅱ에서 60종류, 서식지Ⅲ에서는 33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조사된 식물 종류수의 차이는 습지 면적과 습지 육화의 진행정도가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분포식물 중 자주땅귀개, 땅귀개, 끈끈이주걱. 큰개수염, 좀괭이수염, 큰고양이수염, 올챙이고랭이 등은 저산대 산지습원 식생을 대표하는 종들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5종류가 조사되었으며, Ⅴ등급에 끈끈이주걱, 정향풀, 자주땅귀개, 땅귀개 4분류군, Ⅳ등급은 조사되지 않았으며, Ⅲ등급에는 다정큼나무, 굴거리, 꽝꽝나무, 산철쭉, 호자덩굴 5분류군, Ⅱ등급에는 물솜방망이 1분류군, Ⅰ등급은 굴참나무, 가는오이풀, 사스레피나무, 자금우, 광나무 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 KCI우수등재

        단독주택지 주거특성별 주차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Case Study of Taegu

        최영은,한영배,홍원화,하재영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arking factors m residential areas by resident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proceeded through two steps. In the first, a documentary study was performed to extract parking factors in residential areas, and secondly characteristic in residential area were analyzed by case study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1 The high-class residential areas have a greater number of drivers per household than the other areas 2 The car possession per household in the high-class residential area is 1.26(car possession/household), m the middle-class is 0.88, and m the low-income is 0.65, respectively. 3.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f the car possession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1) For the high-class residential are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household and the car possession is the highest(0.83) among several variables. 2) For the middle-class, the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drivers is the highest(0.61) 3) Far the low-income population, the coefficient of building areas is the highest(0.6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