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우크라이나 미래주의의 이념과 미학

        최승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29 No.-

        Owing to F. Marinetti's Manifesto in 1909, futurism was initiated for the first time in Ukraine by M. Semenko, who introduced the basic concept of its' in 1913. As a presage of the Avant Garde Movement of the XX century, futurism' s aim is to destroy old art forms and the dominant trends of the previous century. It rejected all accepted styles and gave individual free regimen in the aesthetics. Also it sought to transmit the ideas and spirit of the future and cosmopolitan society at the same time. Early their poetries are affluent with urban and industrial themes which attempt to strike a blow to the reader. Before the first World War, Ukrainian Futurism did not evoke much synesthesia because of the preponderation of the peasant masses. Despite their persistence on the throwing up traditions and convention, futurism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Ukrainian modern culture. Especially the Ukrainian futurists in a field of literature succeeded in resuscitating poetry by suppling fresh themes and forms through their experimentation. The 'New Generation' propagated new western european trends such as dadaism, and surrealism. A number of talented contemporary poets have utilized some of its ideas in their work. But in ideology futurism conversed position to the left faction step by step, publishing revolutionary poems after 1920s. Partly it can be attributed to Aesthetics, but it was result of political pressures in quite extent. Because only Communist ideas were allowed in the present age, the publication became a mouthpiece of proletarian art. In view of this it was not completely self made but it was forced to conciliatory, be false to itself. 1909년 비롯된 미래주의는 이전 세기의 지배적인 예술경향 특히 사실주의 및 고전주의와 관련한 구시대 형식을 떨쳐버리고 무엇보다도 개성이라고 하는 예술적 자유가 군림하게 한 운동이었다. '미래주의 선언'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20세기 아방가르드 운동의 불씨로서 유럽 전역에 큰 문화적 파장을 일으켰던 이유는 무엇보다 인식론적 전환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매너리즘에 빠져있던 유럽 지식인과 예술가 집단들에게 미래주의적 변용은 어떤 면에서 미학적 카페인과도 같은 각성 효과를 발휘하게 되었다. 우크라이나에서도 미래주의는 아방가르드그룹들의 공허한 이론으로 머무르지 않고 실제상 문예 전반에 신선함을 가져왔다. 현실을 부정하고 파괴하며 공격적으로 비틀어 보는 태도는 문학에서도 여지없이 드러났다. 전통 리듬의 거부, 통사적 구문의 파괴, 연산과 기호, 기발한 글자 배열(заумна мова) 등 가히 충격적인 실험들을 거침없이 쏟아내었다. 1913년 M. 세멘코를 필두로 한 우크라이나의 미래주의는 '기계와 속도' 를 표방한 새로운 시운동으로 전개되다가 1917년 후에는 이데올로기적 혁명 전선으로 투입되었다. "공격성이 없는 작품은 걸작이 될 수 없다" 라는 미래주의 선언대로 극단적 '탐미의 예술' 은 이제 혁명적 '정치의 예술' 로 전위하게 되며 1920년대를 전후로 발간된 저널 '예술' (Мистецтво)紙에 발표된 혁명시들은 우크라이나 미래파가 얘기하는 사상적 편린의 궤적들이다. 미래주의는 미학적 전위이자 정치적 전위이고 또한 삶의 전위였다. 과거의 사슬을 끊고 인습과 권위에 대항하였으며 규범에 대한 일탈을 서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미래주의 특징적 요인들로 인하여 우크라이나 문예계는 풍성함을 누렸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 '역동'이라는 이름으로 우크라이나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력은 지대하다.

      • SCOPUSSCIEKCI등재

        Comparison of Proliferative Activity in Each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and Atypical Intracranial Meningiomas by PCNA and Ki-67 Immunolabeling

        최승진,장은덕,권성오,계대곤,박춘근,이상원,강준기,Choi, Seung Jin,Chang, Eun Deok,Kwon, Seung Oh,Kye, Dae Kon,Park, Choon Keun,Lee, Sang Won,Kang, Joon Ki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9

        목 적 : 양성 뇌수막종에 비하여 이형성 및 악성 뇌수막종이 나쁜 임상적인 예후 및 양상을 보이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양성 뇌수막종에 있어서 각각의 병리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생물학적 양상의 차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일부 논란이 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형성 뇌수막종 및 양성 뇌수막종의 각각의 병리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증식능의 차이여부를 알아보고자 PCNA와 Ki-67표지지수를 분석하였다. 방 법 : 본원에서 뇌수막종으로 수술을 시행하여 얻은, 재발을 보여 재수술을 시행한 2례를 포함하여, 파라핀에 포매시킨 27개의 조직을 대상으로 병리학적인 증식능을 분석하기 위해, PCNA에 대한 단일항체 및 MIB-1 단일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분류상 meningothelial type이 8례, transitional type이 9례, fibroblastic type이 5례였으며, 이형성 수막종이 5례였다. 결 과 : PCNA표지지수의 평균값은 양성 수막종에서 meningothelial type이 $4.82{\pm}5.10%$, transitional type이 $9.01{\pm}4.25%$, fibroblastic type이 $5.66{\pm}5.32%$를 보였으나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27.62{\pm}19.67%$의 높은 지수를 나타냈고, Ki-67 표지지수의 평균값은 양성 수막종의 아형에서 각각 $0.43{\pm}0.85%$, $0.44{\pm}1.08%$, $0.24{\pm}0.18%$를 보이고, 역시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0.84{\pm}0.59%$의 높은 지수를 보였다. 즉, 양성 수막종에서 각각의 아형에 따른 PCNA 및 Ki-67 표지지수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p>0.05),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의미있는 높은 표지지수를 보여(p<0.05) 양성 수막종에서 보다 높은 증식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PCNA 및 Ki-67 표지지수를 이용한 증식능의 비교결과, 양성 뇌수막종에서는 각각의 아형에 따른 생물학적 양상이나 예후는 차이가 없을것으로 생각되나,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높은 증식능을 보여 이에 대한 예후를 예상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이러한 표지지수가 병리조직학적으로 양성과 이형성의 감별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clinical prognosis and biological behavior of atypical and especially malignant meningiomas are well known to be worse than benign meningioma, but the degree of biological aggressiveness in each classical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 is controvers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oliferative activity between each different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 as well as atypical meningioma. Methods : Paraffin-embedded surgical specimens of 27 meningiomas, including two recurrent tumors, were studied to evaluate proliferative activity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with monoclonal antibodies to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 and MIB-1. The specimens consisted of 8 cases of meningothelial, 9 cases of transitional, 5 cases of fibroblastic subtypes and 5 cases of atypical meningiomas. Results : Mean PCNA labeling indices of meningothelial,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meningiomas were $4.82{\pm}5.10%$, $9.01{\pm}4.25%$ and $5.66{\pm}5.32%$, but that of atypical meningiomas was $27.62{\pm}19.67%$, noting a higher value compared to all three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s. Mean Ki-67 labeling indices of the above 3 subtypes were $0.43{\pm}0.85%$, $0.44{\pm}1.08%$ and $0.24{\pm}0.18%$, and that of atypical meningiomas was also revealed to be of higher value ($0.84{\pm}0.59%$). PCNA and Ki-67 labeling indic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p>0.05), but the differences of both immunolabeling between benign and atypical meningiom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 Immunolabeling of PCNA and Ki-67 in intracranial meningiomas reveals no prognostic difference between meningothelial,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subtypes in classical benign meningiomas by measuring expression of PCNA and Ki-67, but it seems to be helpful in differentiating benign and atypical meningioma, later showing more proliferative activity and biological aggressiveness.

      • KCI등재

        진행형 소아 척추 기형 환자에서 이중 성장형 금속봉을 이용한 치료

        최승진,김학선,전혁,석경수,홍승표,이환모,문성환,양재호,하중원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dual growing rod treatment over a follow-up period of at least 2 years in patients with progressive pediatric spinal deformit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dual growing rod treatment is safe and effective in curve correction and maintenance in patients with progressive pediatric spinal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9 to 2017, 14 patients who underwent dual growing rod treatment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2 years. We analyzed their demographic and radiologic data, including age at surgery, sex, diagnosis, instrumented levels, number of total operations, number of lengthening procedures, interval of lengthening, Cobb angle, thoracic kyphosis angle, lumbar lordosis angle, T1-S1 length,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11.0±2.9 years old. There were 10 male and 4 female patients, including 8 cases of neuromuscular scoliosis, 3 cases of idiopathic scoliosis, 2 cases of spondyloepiphyseal dysplasia, and 1 case of congenital scoliosi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2.4±14.0 months. The total number of operations was 6.6±2.6. The average number of lengthening procedures was 4.3±2.3 at an interval of 6.9±2.1 months. The Cobb angle improved from 60.4°±27.9° to 33.5°±19.7° after the initial treatment and 29.1°±16.4° after the last follow-up or final fusion. The T1-S1 length increased from 328.2±57.5 mm to 388.0±64.9 mm after the initial treatment and 424.9±64.4 mm after the last follow-up or final spinal fusion. The average growth rate was 11.5 mm/year. Six patients experienced 11 complications, of which 4 were Implant-related, and 7 were Infections. Conclusions: The dual growing rod technique is an effective and relatively safe treatment in patients with progressive pediatric spinal deformity.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진행형 소아 척추 기형 환자에서 이중 성장형 금속봉을 이용한 연장술 시행 후 최소 2년이상 추시한 방사선학적 결과 및 합병증을 통하여 치료의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이중 성장형 금속봉을 이용한 소아의 척추 기형 교정 수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방법이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형 소아 척추 기형 환자에서 이중 성장형 금속봉을 이용한 연장술 시행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한 환자를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첫수술시의 나이, 성별, 진단명, 첫 수술시 고정 마디, 총 수술 횟수, 연장 수술 횟수, 연장 수술 간격, 주만곡의 Cobb 각, 흉추 1 번-천추 1번의 길이, 흉추 후만각 변화, 요추 전만각의 방사선학적 결과와 합병증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나이는 11.0±2.9세였으며, 남자 환자가 10명, 여자 환자가 4명 이었다. 진단명에 따라 신경근육성 척추 측만증이 8예, 특발성 측만증 3예, 척추 골단 이형성증 2예, 선천성 측만증이 1예로 나타났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42.4±14.0개월이었다. 총 수술 횟수는 평균 6.6±2.6회였으며, 연장 수술 횟수는 평균 4.3±2.3회로 나타났다. 연장 수술은 평균 6.9±2.1개월마다 시행되었다. Cobb 각은 수술 전 평균 60.4±27.9도에서 수술 후 평균 33.5 ±19.7도, 최종 추시시점 또는 최종 유합술시 평균 29.1±16.4도였다. 흉추 1번부터 천추 1번까지의 길이는 수술전 328.2±57.5 mm에서 수술 후 평균388.0±64.9 mm, 최종 추시시점 또는 최종 유합술시 평균 424.9±64.4 mm로 관찰되었다. 연간 성장율은 11.5 mm/yr로 관찰되었다. 합병증은 총 6명의 환자에서 총 11예 발생하였다. 기기관련 합병증이 4예, 감염관련 합병증이 7예로 나타났다. 결론: 이중 성장형 금속봉을 이용한 진행형 소아 척추 기형환자의 치료는 여러가지 합병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호전이 있어 장기적으로도 유용한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약칭 제목: 이중 성장형 금속봉을 이용한 치료 결과

      • KCI등재

        연안지역 화학공장부지의 부지환경평가를 위한 복합조사기법의 적응

        최승진,우남칠,Choi, Seung-Jin,Woo, Nam-Chil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4

        최근 국내에서는 외국기업의 국내진출에 따른 M&A,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시장개방에 따라 부지환경평가 (토양환경평가)의 결과를 반영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연안매립지역에 위치한 대규모 화학공장부지에 대한 실제적인 부지환경평가를 통하여 국내의 토양환경평가 지침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효율적, 경제적 평가를 위한 복합적 조사기법들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는 기초조사, 부지현황조사, 시료채취와 분석, 관측정 설치와 수리지질 조사, 자료 분석의 6단계로 진행되었다. 각각의 조사단계에서는 기존자료조사, 선구조분석, 지표지질조사, 지구물리탐사, 시추조사, 수리전도도, 지하수의 유향유속측정, 시료채취 및 분석 결과를 조합하여 복합적으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부지환경평가를 위한 이러한 다양한 조사기법들의 적용은 부지의 오염현상, 지하매질에 대한 부지특성화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국내에서는 '토양환경평가 지침'에 의한 기초조사에 있어 기존자료의 이용, 가용한 자료의 보관상태, 평가를 위한 관계자 인터뷰 등에 있어 매우 열악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부지환경평가'를 수행하는데 있어 이러한 복합조사기법의 적용은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며, 토양과 지하수오염을 연계하여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branch-out of foreign companies into domestic markets through M&A and the opened followed by the Free Trade Agreement(FTA) with America have made the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s of specific site more necessary. In this study, through case study of conducting actual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 by use of a toolbox approach at a large scale of chemical plant with various contaminants located in a coastal area, the problems of guideline of domestic environmental assessment of soil were complemented. And an efficient and economical assessment was achieved. All six steps such as basic investigation, environmental site history survey, sampling and analysis, installation of monitoring wells and hydrogeological survey, and data interpretation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All results of document survey, geological lineament analysis, field geology survey of surrounding area, geophysical prospecting of the site, hydraulic conductivity, measurement of groundwater flow rate and direction, sampling and analysis at each step were associated and estimated as an integrated tool box approach.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toolbox approaches were very useful techniques for contamination level and site characterization of subsurface media. The given conditions to conduct a basic survey for domestic soil environment assessment of site by use of existing documents, as well as interviews with the owner/manager/user of all adjacent properties and thorough review of all practically reviewable records pertaining to the property and surrounding properties within "Guideline for Soil Environment Assessment" radii are very poor.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toolbox approach in the environment site assessment of site is not only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but also could be very useful assessment to integrate the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 KCI우수등재

        정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공무원의 경쟁심 그리고 조직 내 부정부패행위에 대한 윤리적 판단: 성과지향 조직문화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승진,정윤진,임도빈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3

        There are two key strategies for improving government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public sector ethics to prevent corruption and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officials to improve government accountability and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ethical judgment of public officials is influenced by trait competitiveness, which is one of the personality traits. In addition,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a performance-oriented climate and competition on ethical judgments.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ethical judgment are categorized as personal development competitiveness and hyper-competitiveness (i.e., interpersonal competition). The hypotheses a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data from survey responses of 1,400 South Korean public officials. The findings confirm that the effects of trait competitiveness on ethical judgment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etition. That is, individual development competitiveness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acceptance of corruption, while interpersonal competition has a positive relationship.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varies depending on how public employees perceive a performance-oriented climate. The findings indicate that public managers should understand how to activate individual competitiveness among public employees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order to improve government competitiveness. 본 연구의 목적은 공직사회에 만연한 부정부패 현상을 소극적으로나마 예방하는데 필요한 공무원의 윤리적 판단이 공무원 개인의 특성 중 하나인 경쟁심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이 둘의 관계에서 조직 내의 성과 지향적인 분위기에 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35개 중앙부처 공무원 1,40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공무원의 경쟁심 유형에 따라 조직 내 부정부패 현상에 대한 윤리적 판단 경향이 상이한 것으로 확인됐다. 개인발전 경쟁심은 부정부패 행위를 용인하는 수준과 부(-)의 관계가 있는 반면, 대인 경쟁심은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 효과의 크기는 개별 공무원이 자신의 조직문화가 얼마나 성과 지향적인지를 인식하는 것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부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 관리 차원에서 공무원의 경쟁심을 어떻게 활성화해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