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쓰키 규잔의 아동 교육관 ―『쇼니히쓰요소다테구사(小児必用養育草)』를 중심으로―

        최승은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일본학연구 Vol.63 No.-

        일본 근세 시대는 출판문화의 발전을 배경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보편적 육아론이 확산되었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유교도덕을 기초로 하는 한편 의학적인 견지를 첨가하여 그 체계성이나 구체성 면에서 여타 소아 육아서를 압도한다고 평해지는 가쓰키 규잔(香月牛山, 1656-1740)의 『쇼니히쓰요소다테구사(小児必用養育草)』(1714)는 대중적 육아서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다. 가쓰키 규잔은 동향의 저명한 유학자인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 1630-1714)으로부터 유학, 본초학 등을 수학했다. 본고는 『쇼니히쓰요소다테구사』 중 교육과 관련된 권6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일본 최초의 육아서로서 유학이라는 당대 사상을 반영한 가쓰키 규잔의 아동 교육관의 특징을 특정함으로써 이 책이 가지는 가치를 재조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Under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publishing in the Edo period, a universal theor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such as “Shouni hitsuyou sodategusa(小児必要養育草)” (1714) written by Katsuki-gyūzan(香月牛山, 1656-1740) which is said to overwhelm other books with medical perspectives and the virtues of confucianism as well. Katsuki-gyūzan learned Confucianism from Kaibara-Ikken(貝原益軒, 1630-1714), a famous Confucian scholar of Hukuoka.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of Katsuki-gyūzan’s educational views and reconsider its value as the first child-rearing book in Japan by focusing on Vol. 6 of “Shouni hitsuyou sodategusa”

      • KCI등재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관계에 관한 상호문화적 해석

        최승은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9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8 No.2

        이 연구는 상호문화적 관점으로 결혼을 통해 이주하고 새로운 가족 관계를 맺는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국내 이주민 중빠른 증가세를 보이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에 주목하였다. 연구자는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문화의 다양성, 평등한 관계 형성, 공감의 상호작용이라는 상호문화성 개념을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5명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를 진행하여 분석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관계에 나타난 상호문화성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다양성의 인정에 대한 가족 관계에서는 다름에 대하여 열린 마음으로 다양성을 받아들이기도 하고, 다름에 대하여 거부하기도 하였다. 둘째, 평등한 관계에 대한 가족의 관계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양상이 대부분이었다. 결혼이주여성들이 일방적으로 적응을 하기 위해 적극적인 모습이었다. 셋째, 공감의 상호작용에 대한 가족 관계는 결혼이주여성을 향한 가족의환대로 나타났다. 다문화사회에서 소수자인 이주민들에 대하여 공감대를 형성하여 타자들이 더불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상호문화성의 윤리적 실천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interpret the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migrate through marriage and establish new family relations from an intercultural point of view.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Vietnamese immigrant marriage migrants who are showing rapid growth among domestic migra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fe world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depth, the researcher studied the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the formation of equal relationships and the interaction of empathy. The narrativ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as selected and analyzed in depth by fiv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erpretation of interculturality in family relation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s as follows. First, in the family relation to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they accepted openness to diversity and rejected the difference. Second, the relationship of family to equal relationship was mostly in one side. Third, the family relationship of empathy through interaction appeared as family hospitality toward married immigrant women. It would be an ethical practice of mutual culture to form a consensus on immigrants who are minoriti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create a society in which others coexist.

      • KCI등재

        기혼여성의 배우자 외모만족과 BMI에 따른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최승은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7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8 No.2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eature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a spouse’s appearance and determine marriage satisfaction by satisfaction with a spouse’s appearance and BMI with 328 married women.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a spouse’s appearance, the respondents were mostly satisfied. Regarding satisfaction with a spouse’s appearance by features, BMI, age, marriage duration and number of 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a spouse’s appearance while gross household monthly income had no influence. Second, according to a factor analysis of marriage satisfaction, three factors were found: Satisfaction-happiness, affection-interest and communication. Third, analysis of marriage satisfaction by satisfaction with a spouse’s appearance revealed that the highly satisfied group was high in all three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pouse preference and have his preferred look to maintain a happy married life. A spouse’s BMI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marriage satisfaction. However, BMI was a critical factor in satisfaction with a spouse’s appearance. In the case of being overweight or obese, there should be efforts for weight loss. Fourth, satisfaction with a spouse’s appearance had significant effect in all factors of marriage satisfaction, and a spouse’s BMI revealed significant influence on appearance satisfaction, satisfaction-happiness and affection-interest. In other words, appearance care is essential for married men as well as married women. The said results would be helpful in marketing such as beauty care and image making for married men.

      • KCI등재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의 자녀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동남아시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최승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여성연구 Vol.101 No.2

        이 논문은 결혼이주여성의 삶과 그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자녀 교육에 대한 경험을탐구하고, 결혼이주여성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생활세계 속에서 나타나는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여 다문화 사회에서의 공존을 위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귀화자의 비율이 높은 베트남 출신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출신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개인적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소수자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정책과 다수인 정주민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출신의결혼이주여성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인터뷰의 내용을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교육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1) 자녀 교육에 대한열망, 2) 모국어와 한국어 사이에서의 갈등, 3) 가치관의 차이로 남편과 대립, 4) 차별에 대한 두려움, 5) 공감대를 가진 커뮤니티의 결핍, 6) 자녀를 위한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 7) 다문화 사회와정책에 대한 요구 등의 경험 유형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사회로 전환된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구성원들과 이에 대한 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사회 전반에 걸친 ‘다문화’에 대한 역사적・사회적・문화적・정치적 논의 없이 ‘다문화’를 정책적 수단의 도구로 사용한 결과, 다문화에 대한 왜곡된 시선이 있을 수밖에 없게 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이 이주 어머니(migrant mother)로서 한국 사회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일종의 인구학적 대안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의 이야기를 경청함으로써 사회적 인식과 태도가 전환된다면 타자에 대한 윤리성이 실천될 것이다.

      • KCI등재

        K-Pop 걸 그룹 메이크업 이미지에 따른 지역별 선호도 및 모방 행동 - 한국, 중화권, 일본, 동남아, 미국을 중심으로 -

        최승은,김영인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0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make-up image of K-Pop Girl Group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t identified preference and imitation behavior of domestic and overseas fandom about the make-up image of K-Pop Girl Groups. After classifying the K-Pop Girl Groups’ make-up images, it surveyed their preference and imitation behavior for 432 female youth fandom at home and abroad. Frequency and variance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SPSS 24.0 for Windows. K-Pop Girl Groups’ make-up images appeared in 6 types: Natural, Cute, Romantic, Elegant, Kitsch and Sexy. The results of analyzing preferences according to Girl Groups’ make-up image by region are as follows. Natural make-up is especially preferred in Southeast Asia, Cute make-up is especially preferred in Japan, Romantic make-up is especially preferred in Southeast Asia, Japan and Korea. Elegant and Kitsch make-up is especially preferred in Korea, Sexy make-up is especially preferred in Greater China. The results of analyzing imitation behavior according to Girl Groups' make-up image by region are as follows. In Korea, imitation behavior of the types Natural, Romantic and Elegant was high. In Greater China, the imitation behavior of natural make up and cute eyebrows and sexy eye make-up was high. In Japan, imitation behavior of cute make-up and cheek make-up of kitsch are found high. In Southeast Asia, Natural make-up and romantic typed-skin and sexy typed-eye and lip makeup are highly imitated. North America, kitsch and sexy types are higher. There is a difference in imitation behavior and preferred make-up images by region. Therefore, when K-Pop Girl Groups enter foreign markets, it is necessary to pursue different make-up images depending on regions. 이 연구는 K-Pop 걸 그룹들의 해외 진출 시 메이크업 전략과 방향성 기획에 도움이 되고자 K-Pop 걸 그룹의 메이크업 이미지에 따른 국내·외 팬덤 지역별 선호도와 모방 행동을 규명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걸 그룹 메이크업 이미지를 분류한 후, 국내·외 팬덤 432명을 대상으로 선호도및 모방 행동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for Windows 24.0으로 빈도분석, 분산분석을 병행하였다. 그결과 걸 그룹 메이크업 이미지는 내추럴, 큐트, 로맨틱, 엘레강트, 키치, 섹시 6가지로 나타났다. K-Pop 걸그룹 메이크업 이미지에 따른 선호도를 지역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추럴 메이크업은 동남아에서, 큐트 메이크업은 일본에서, 로맨틱 메이크업은 한국, 일본, 동남아에서 특히 더 선호하고 있었다. 엘레강트와 키치 메이크업은 한국에서 섹시 메이크업은 중화권에서 특히 더 선호하였다. K-Pop 걸 그룹의메이크업 이미지 6가지에 따른 지역별 모방 행동은 다음과 같다. 한국은 내추럴, 로맨틱, 엘레강트 이미지의모방 행동은 높지만 큐트, 키치, 섹시 이미지의 모방 행동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화권에서는 내추럴 이미지 그리고 큐트의 눈썹, 섹시의 눈 화장 모방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큐트 이미지의모방 행동과 그리고 키치의 볼 화장의 모방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아에서는 내추럴 이미지 그리고 로맨틱의 피부, 섹시의 눈과 입술 모방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에서는 키치, 섹시 이미지의모방 행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메이크업 이미지에 따른 선호도와 모방 행동에는 차이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걸 그룹 해외 진출 시 지역에 따라 메이크업 이미지를 다르게 추구할 필요가있다.

      • 남자 중학생 성격에 따른 티셔츠 단독무늬에 대한 선호도 및 감성

        최승은,나영주 한국감성과학회 2008 추계학술대회 Vol.2008 No.-

        본 연구에서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1) 티셔츠 단독무늬에서 어떤 감성을 느끼는지 알아보고, 2) 선호하는 티셔츠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또, 3) 성격에 따라 티셔츠 단독무늬에서 느끼는 감성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 지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3부분으로 구성하여 1부에서는 MBTI를 이용한 성격유형에 관한 측정문항 2부에서는 의복행동에 관한 측정 문항 3부에서는 티셔츠 단독무늬에 대한 감성 측정 문항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인천 지역에 사는 중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진행 통계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여 t test와 분산분석, 대응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무성의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331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중학생들이 선호하는 단독무늬는 인공물을 소재로 한 사실적인 모티브로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친근한 소재를 활용한 무늬였다. 반대로 친근하지 않은 소재나 이해하기 어려운 단독무늬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단독무늬에 대한 감성은 성격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외향형인 학생들은 감성에 대해 극적으로 대답하는 반면, 내향형인 학생들은 중간값에 가깝게 대답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감각형/직관형에서의 감성차이는 모든 단독무늬에서 직관형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사고형/ 감성형에서 나타난 특징은 특정감성이 두 성격유형 모두에서 높게 나타난 경우 항상 사고형 학생집단에서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판단형/인식형에서는 감성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이 결과는 단독무늬에서 느끼는 감성차이가 판단형과 인식형에서 가장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미용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 및 능력평가

        최승은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9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eauty teachers’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n the basis of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6 students majoring in beauty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eoul.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t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4. Results: On the basis of makeup and clothing, preference of beauty teachers was categorized as Type 4 (Heavy Make-up and Modern Clothing), Type 2 (Heavy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 3 (No Makeup and Modern Clothing), and Type 1 (No Make-up and Casual Clothing). During the capability assessment, personality factors were placed as Type 4, Type 1, Type 2, and Type 3, and specialty factors were arranged as Type 4, Type 3, Type 2, Type 1. Preference of beauty teachers based on make-up and clothing of men and women differed between Types 1 and 2.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ypes 3 and 4. In the case of capability assessment, female students valued the ability of Types 2 and 4, but male students valued the ability of Types 1 and 3. Preference of beauty teachers belonging to different types of beauty schools on the basis of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differed from Type 2 to Type 4. Conclusion: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not only on the basis of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but also gender and their school type. 목적: 본 연구는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지역 미용고등학교,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메이크업 전공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ver.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분산분석, t-test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 4 (진한 화장과 모던 의복), 유형2 (진한 화장과 캐주얼 의복), 유형3 (화장은 하지 않은 상태와 모던 의복), 유형1 (화장을 하지 않은 상태와 캐주얼 의복)의 순으로 나타났다. 능력평가 중 성품 요인의 경우 유형4, 유형1, 유형2, 유형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요인의 경우 유형4, 유형3, 유형2, 유형1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 지도 요인의 경우 유형1, 유형2, 유형3, 유형4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 성별에 따른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1와 유형2는 차이가 있으나 유형3과 유형4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평가의 경우 여학생은 유형2와 유형4의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고, 남학생은 유형1과 유형3의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별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2와 유형4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성별과 학교 유형에 따라서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대한 호감도와 능력평가에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근세 일본의 고사쓰(高札)와 서민 교육

        최승은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3

        Kōsatsu(高札, High plaque) is a kind of bulletin board that writes down the contents of the law(general law, basic law) for well-known to all. In order to publicize the law to the common people and inform the purpose of it, Kōsatsu-hall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common people gather to post Kōsatsu with the law written down. In particular, it was actively used as a means of publicize laws during the Edo period. In this paper, I paid attention to the Kōsatsu- education of Denarai-Juku(手習塾), educational institution for common people, which included Kōsatsu sentences and made them familiar with the contents, not Kōsatsu as a bulletin board. This is to examine how education in Denarai-Juku was used for well-known to all of contents of the law of Kōsatsu. First of all, I looked at a series of policies such as Tenpō Reforms (1841-1843), which had a number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common people, and the recommendation of Kōsatsu as textbooks. In addition, with Denarai-Juku's teaching method using denarai(手習) and lectures, and confirmed that suggested a somewhat effective method to be well-known to all of Kōsatsu. In addition, with the active publication of textbooks containing Kōsatsu sentences, an environment closer to the law was created for common people than bulletin boards made of wood. It can be said that Kōsatsu's function of thorough knowledge of the law rather functioned through the educational field called Denarai-Juku and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 KCI등재

        초등교사의 ʻ교사되기ʼ 여정에 관한 질적 연구 : 음악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최승은,김영순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interpret the meaning about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the viewpoint of “becoming a teacher” centered on music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achers' experiences, the study examined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proficiency, and interviewed seven teachers with more than 30 years of experience as research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three months from November 2014 to January 2015. Field notes, transcribed materials, video clips, and consulting materials provided by research participants were utilized for the data collec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lear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were found to be the growth of teachers in the following four meanings: reflective teachers, professional teachers, artistic teachers, and cooperative teachers. The teacher’s learning experience develops cyclically with the experience of the teaching. This shows that teachers do not simply stay as forwarders of knowledge but become teachers who grow up through their experiences as learners. Teachers who change in this way will practice education in various ways in the educational fiel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경험에 관하여 음악교육을 중심으로 ‘교사되기’라는 관점에서 의미를 탐구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초등교사들의 음악교육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음악교육의 가치와 음악교수역량에 대하여 살펴보고, 실제 연구를 위해 30년 이상의 교사 생활을 한 현직 초등교사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현장노트와 전사자료, 연구 참여자들이 제공한 수업동영상, 수업 지도안, 수업 비평문, 수업 컨설팅 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이 논문에서‘교사되기’는 이론적으로 규정한 교사상을 넘어 교사들의 살아있는 현장의 이야기에서 교육 경험의 의미를 통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교사들이 경험한 배움과 교육현장에서의 실천은‘성찰적 교사’,‘전문적 교사’,‘예술적 교사’,‘협력적 교사’와 같이 네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네 개의 상위 범주는 다시 열다섯 개의 하위 범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교사의 학습경험은 교수의 경험으로 순환적으로 발전한다. 이는 교사가 단지 지식의 전달자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로서의 경험을 통해서 성장하는 교사가 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게 변화한 교사는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을 실천하게 된다.

      • KCI등재

        일본의 디지털 아카이브 활용 현황과 시사점

        최승은 한국아시아학회 2023 아시아연구 Vol.26 No.1

        In order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digital archive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established ‘Japan Search’, a cross-border integrated portal in various fields and regions that connects information and users. After the test version was released in February 2019, the official version was released on August 25, 2020, and it is in full operation. ‘Japan Search’, which targets all kinds of cultural resources, is evaluated as a point of arrival in the genealogy of Japanese digital archives. In the background, above all, it is aimed at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at focuses on conveniently utilizing vast digital resources and returns the results to archive providers. The goal of establishing an active digital environment through significant reinforcement in terms of use among the entire distribution system of digital archives through the ‘My Note’ function or the joint editing function of ‘Workspace’, which can conceive personalized electronic exhibitions added to the official edition of ‘Japan Search’. In this digital environment focused on transfer and utilization, classical fields such as a book in classical Chinese(漢籍), which have been mainly used as research data for researchers, seem to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to lead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literature by narrowing the distance from the public. In this paper, I will look at how Japan's National Assembly Library's digital archive policy has progressed in relation to content utilization and utilization, and derive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Japan Search’, which encompasses it, and its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