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gulation of SIRT1 by MicroRNAs

        최성이,Jongsook Kim Kemper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3 Molecules and cells Vol.36 No.5

        Sirtuin 1 (SIRT1) is an NAD+-dependent deacetylase that connects cellular energy levels to homeostatic responses by deacetylating and modulating the activities of many transcriptional regulators. Discovered as a longevity pro-tein in yeast, the mammalian SIRT1 has been intensively studied because of its great potential as a therapeutic target to benefit human health by preventing and improving many age-related diseases. There has been, therefore, substantial interest in developing agents that upregulate SIRT1 expression and activity. SIRT1 is regulated at multiple levels, including post-transcriptionally by microRNAs (miRs), powerful reg-ulators of diverse biological pathways. Here we discuss how expression and activity of SIRT1 and other sirtuins are inhibited by miRs and further discuss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targeting miRs for age-related diseases that involve SIRT1 dysfunction, focusing on obesity-related diseases.

      • KCI등재

        K-Pop 비주얼디렉팅 전략에 관한 SM 사례연구

        최성이,고정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2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scope of visual directing through the case of SM Entertainment, and explores the role of visual directors.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SM created the visual directing team composed of art director and visual designers within the creative headquarters and was actively introducing visual directing for the development of idol. The visual directing process of SM, which is being developed as a part of the star marketing, consists of analyzing the environment in marketing strategy,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related to idol, setting up target image per artist, and finally planning and managing the visual directing project. The visual director in SM is required to have creative talent, logical persuasion, information analytical ability, visual expression ability, and field application ability. SM also applies visual directing accumulated from idol singers to SM business areas such as MD product design and production, product composition and designer collaboration, and SM town COEX artium. This paper have significance in attracting visual directing to the academic field. 본 연구는 SM 엔터테인먼트의 사례를 통해 비주얼디렉팅의 프로세스와 영역 확장에 대해 살펴보고 비주얼디렉터의 역할과 역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사례분석 결과 SM은 크리에이티브 본부내에 아트디렉터와 시각디자이너들로 구성된 비주얼 디렉팅팀을 만들어 비주얼디렉팅을 아이돌 개발 및 인기 지속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었다. 스타마케팅의 일환으로 전개되고 있는 비주얼디렉팅의 프로세스로는, 마케팅 전략상의 환경분석, 아이돌과 관련된 마케팅 전략 수립, 아티스트별 타겟 이미지 설정, 비주얼 디렉팅 프로젝트 기획 플랜 및 제작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주얼디렉터는 논리력을 바탕으로 창의적 감각, 논리적 설득, 정보 분석력, 시각적 표현력, 현장 적용력 등의 역량을 요구하고 있었다. SM은 아이돌 가수들의 비주얼디렉팅에 그치지 않고 MD 상품 디자인과 제작, 상품구성과 디자이너 콜라보레이션(협업), SM타운 코엑스아티움 등 SM의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곳마다 아이돌 가수에서부터 축적된 비주얼 디렉팅을 적용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현재 음악산업의 K-Pop 아이돌 제작 시스템 안에서 활발하게 나름의 영역을 만들고 독창적인 세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는 비주얼 디렉팅을 학문적 영역으로 끌어올렸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상담에 대한 태도 척도 한국판 (K-BEACS) 타당화 연구

        최성인(崔誠仁),김창대(金昌大)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서비스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상담에 대한 신념과 평가 척도- 한국판” (Korean version of Beliefs and Evaluations about Counseling Scale; K-BEACS)의 신뢰도와 타당도 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담에 대한 신념과 평가” 척도(BEACS; Choi, 2008) 는 마케팅을 비롯한 사회심리학의 여러 응용분야에 널리 쓰이는 태도이론 중 하나인 다속성 태도이론과 합리적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최근 개발된 척도이다. 기존 연구에서 주로 쓰인 전문적 도움 추구에 대한 태도 척도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 ATSPPH)가 일반적으로 심리적 도움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성향을 측정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 반면 BEACS는 상담이라는 서비스 자체의 속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는 점에 차별적 유용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ACS의 한국판 보급을 위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 대학생들 195명에게 BEACS의 번역판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상담결과에 대한 기대, 부정적 상담결과 가능성에 대한 내인성, 상담에 대한 사회적 지지 기대 등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성별과 상담 이용 유무에 따른 태도수준을 확인해 본 결과, 상담 유무에 따른 K-BEACS 점수의 차이는 남녀가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담의도척도와 회귀분석 결과, K-BEACS의 세 요인이 상담의도를 예측하는 데에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K-BEACS는 상담서비스에 대한 한국대학생들의 인식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도구로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의 한계점과 합의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project introduces a new inventory to measure Korea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counsel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Beliefs and Evaluations about Counseling Scale (K-BEACS) and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original version of ‘Beliefs and Evaluations about Counseling Scale (BEACS; Choi, 2008)" was designed to measure America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counseling. The BEACS was developed based on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of attitudes, including the Multiattribute Model of Attitudes (MMA)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Applying a MMA formula, two scales (beliefs and evaluations) linked with the BEACS were constructed. The BEACS was also designed to incorporate both personal and social beliefs and attitudes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norms (SN) from the TRA. In the current study, a translated version of BEACS was given to 195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s of factor analyses yielded three factor solutions that seemed valide. Each of the factors was named as Expectancy for Positive Outcomes, Tolerance for Negative Outcomes and Expectancy for Social Support. Results from 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MANOVA showed that K-BEACS has acceptable level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Strengh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민주시민의식함양을 위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최성이,이종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제를 중심으로 한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수학영재원 학생들에게 적용 후 민주시민의식 함양에 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교육을 기반으로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 수업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한 후 4개의 주제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Figured Worlds와 행위주체성(agency)의 개념을 연구에 적용하여 사회문제 중심 초등수학영재수업의 개념을 설명하고 수업 설계 및 수업 분석의 이론적 기틀로 활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수학영재원 학생들에게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효과성에 대한 평가는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수업의 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비판적 사회인식에 변화가 있었으며 비판적 수학적 행위주체성을 가지고 기존의 Figured Worlds에 저항하여 변화를 꾀하려는 의지를 나타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실제 자신들의 생활과 인접한 사회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유용성을 느끼게 되었고, 주어진 수행과제에 담긴 사회 비정의 문제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탐구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으며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사회적 책임감, 사회적 기여의식, 리더십 등과 같은 민주시민의식 함양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lementary school math classe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with a focus on social issue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pecialized subject classes. As suggested in the goals of the math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which provide the fundamental theoretical basis, through mathematics activities with a theme of social issues, mathematically gifted and talented young students can critically perceive social issues, express a sense of mathematical and critical agency throughout the course and develop a willingness and mindset to contribute to social progres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Figured Worlds and agency is applied to this study to explain the concept of elementary math classe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with a focus on social issues. The concept is also us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and analysis of the curriculum. Figured Worlds is defined as the actual world composed of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Holland et al., 1998) and can be described as the framework used by the individual or the social structure to perceive and interpret their surroundings. Agency refers to the power of practice that allows one to perceive the potential for change within the Figured Worlds that he is a part of and to change the existing Figured Worlds. This study sees as its purpose the fostering of young talent that has the agency to critically perceive the social structure or Figured Worlds through math classes with a theme of social issues, and thus become a social capital that can contribute to social pro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