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기의 경산화파 예운불화 연구

        최성규 ( Choi Sung Kyu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예운상규는 경산화파의 화맥 안에서 전승되는 불화의 형식으로 작업에 임했으며 또한 전승시킨 불모(佛母)이다. 19세기 중반부터 전하고 있는 그의 불화는 1930년에까지 이르고 있다. 경산화파는 불모들의 계보 가운데 비교적 화맥이 잘 밝혀져 있고 전해지는 불화의 소재가 어느 정도 파악되어 그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대부분 사찰 불화의 수요가 그 지방 승려들에 의해 충족되었고 이에 따라서 다양한 승려가 많이 모이는 대사찰 중심으로 배출된 화승들은 자신의 출신 사찰을 중심으로 인근지역 안에서 활동함으로써 지역에 따른 화사(畵師) 집단이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화사 집단 가운데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한 화사들을 경성화파 또는 경산 화파라 부른다. 예운 불화는 조선 후기 서울·경기지역 불화와 같이 시대와 양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8세기 초와 18세기 말~19세기 초, 19세기 말로 분류하는데, 현존하는 근대기 예 운의 불화는 도상과 표현기법에 있어 다양한 경향의 불화 제작과 새로운 문물의 유입을 통한 신경향의 불화를 남기고 있다. 근대기 예운의 불화의 상당수는 서양화의 명암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스승인 응석 의 맥을 이어 새로운 도상과 구도법을 창안하였다. 서양화의 명암법을 적용해 그린 그의 불화들은 당시 후원자들로부터 상당히 인기가 있었던 듯하며 현재 전국에서 작품이 남 아 전한다. 예운은 전통 도상을 기반으로 일반 회화나 민화와 같은 각종의 회화자료, 그 리고 새로 유입된 외국의 인쇄물 등의 시각적 체험과 자료들, 당시의 풍물·풍속 등 새 로운 요소들을 수용하기 시작하는 등 끊임없이 변화를 주기위한 시도들을 하였다. 표충사 <삼세불도>처럼 원과 같은 기하학적 도형을 사용해 화면에 집중감을 주면 서도 때로는 수많은 권속들을 적절히 분류하고 구획하여 시각적 효과를 살린 불화들과 기존 불화의 구성요소들을 새롭게 재구성하거나 일부를 첨삭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제를 강조한 불화들을 제작하였다. 화면분할식 불화와 함께 새로운 불화를 시도하려 했던 그의 창작 의도가 보다 명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대기 예운 불화의 의미는 화사의 창의성이 발현된 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후 새롭게 만봉에 의해 전승이 되고 현재에까지 이어짐으로 해서 역사적 변천을 살필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중요하게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Yeun Sang-kyu was a Buddhist painter, known as “Mother of Buddha Image Paintings(佛母)” who was inherited by Gyeongsan School and kept the tradition intact till 1930. His Buddhist Image paintings are handed down from the mid-19th century on and his painting styles and lineages are well known and even the painting materials he used are cleary identified. So much he is recognized as unique and distinctiv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Buddhist paintings in the temples are provided and enshrined by the local monk painters and the large temples have accordingly housed a group of monk painters in their own territories. This monk painters were eventually clustered with the painter groups. “The Gyeonseong or the Gyeongsan School” was one of the most active painter groups who got together in Seoul and Gyeonggi area. Yeun`s Buddhist paintings so far extant in terms of iconography or drawing skills reveals inheritances of various styles of the previous traditions; early and late 18th century, or early and late 19th century styles are included. Moreover, on top of those mixture of traditions, he added a new trend of paintings based on the up-coming new cultures. Even western painting skills of shading were imbued with his many a Buddhist paintings and his creative new form of icons and compositions are keenly felt the influences of his direct master Eungseok`s style. His new Buddhist depictions seem to be popular among the connoisseurs and the collectors so that his art objects are spread out through the country. He tried to explore the new experiments with the visual effects, the painting materials and even utilizing of the folk painting subjects. The “Samse-bul-do(三世佛圖)” of Pyochung temple is an example of the modern skills of paintings, quite differed to traditional ones; applying the geometric shape of circles in the screen, newly alloting the Bodhisattvas and the protective figures, reconfiguring the Buddha images, sectional division of the canvas, etc. Likewise, Yeun`s style changes in his extant paintings show us his creativity along with the modern tranformation of Korean Buddhism. And his legacy is handed down to Manbong, who is one of descents of Yeun and connected to today`s Buddhist painting traditions.

      • KCI등재

        특수교사 실천적 지식 측정 척도 타당화 연구

        최성규 ( Sung Kyu Cho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3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측정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타당화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전국 135개 특수학교 교사 2,049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설문 문항은 Elbaz(1980)의 이론적 틀에 기초하여 홍미화(2005)가 서술한 실천적 지식의 하위요인별에 따라서 연구자가 97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4개 문항이 삭제되었다. 실천적 지식의 내용, 실천적 지식의 정향,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 해당하는 세 양상의 하위요인은 각각 7개, 5개, 3개로 구성되었다. 93개의 설문 문항의 Cronbach’s α 계수는 .60에서 .94 사이에 분포하였다. 세 양상의 하위요인에 대한 각각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행하여 특수교사 실천적 지식 측정 척도의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sure the validation to develop the measurement scale of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e 2,049 teachers with 135 special schools over South Korea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ith 97 questions was developed by research based on Elbaz(1980)`s theoretical framework and Hong(2005)`s the necessary statement to develop the practical knowledge. The four questions were deleted after factor and validation analysis.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was divided into seven sub-factors, the orientation of practical knowledge was consisted with five sub-factors, and the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was divided into three sub-factors.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arranged from .60 to .94. The three factors of the practical knowledge were indicated by high correl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easurement scale of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as validated as reliable too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정책에 대한 인과가설의 설명력 고찰

        최성규 ( Choi Sung-kyu ) 대한정치학회 2017 大韓政治學會報 Vol.25 No.3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정책의 인과가설에 대한 설명력을 고찰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청각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으로의 순회교육지원 제도 도입, 특수교사의 교사자격증제도의 변천에 따른 청각장애교육의 한계,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공통교육과정의 한계와 문제점, 그리고 한국수화언어법 제정에 따른 기본계획의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정책의 인과가설에 기초한 접근은 결과적으로 청각장애학생의 특성과 발달에 근거한 계통발생과 개체발생학적 시각에서 고려되어야 함을 이 연구에서는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xplanatory review of causal hypothesis to education policy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problems on inclusion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the itinerant education as solution method, teachers licenc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limitation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limitation and problems on ordinal school curriculum to adopt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promotion of the basic plan based on Act on Korean Sign Language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policy for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as concerned to phylogeny and ontogeny view with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