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자기돌봄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선우,변상해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self-care factors of primary school teachers and empirically validate how these factors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74 teachers who have worked for elementary school in Seoul city and Incheon city. First, studies have shown that the self-care of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negative effects on job stress, have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job stress of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burnout, but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self-care training and healing counseling program support system is necessary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eachers.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자기돌봄 영향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통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17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교사의 자기돌봄이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심리적 소진에 부(-)의 영향을,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심리적 안녕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자기돌봄 연수와 치유상담 프로그램 지원체계의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웹툰 <타이밍>에 나타난 시ㆍ공간 재현방식 연구 : '박자기' 캐릭터의 '꿈'과 '기억'을 중심으로

        최선우 영상예술학회 2015 영상예술연구 Vol.26 No.-

        오늘날 영상매체들에서 현실과 가상에서의 시․공간이 끊임없이 복잡하게 혼재되는 양상을 보인다.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으며 동명의 애니메이션 개봉을 앞두고 있는 웹툰 <타이밍>에서도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 혼재양상이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웹툰 <타이밍>의 주인공 박자기의 ‘꿈’과 ‘기억’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작품에서 보여지는 독특한 시․공간 재현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타이밍>에서는 ‘꿈’이라는 장치를 활용해 현실과 꿈을 오가는 환몽구조 플롯을 형성하며,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을 치환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주인공의 자아성찰과 성장을 그리고 있다. 작품 속 ‘꿈’이 가지는 함의는 시간과 공간으로 이루어진 세계가 객관적인 실체가 아닌 우리의 마음과 연계되어 인간이 세계를 바라보는 형식이라는 동양의 불교사상, 서양의 칸트이론과 연계되는 지점이 있다. 또한 작품에서 ‘기억’이라는 장치는 꿈이 또 다른 현실의 양태로서 존재하고,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이 치환되는 전제조건으로서 작용한다. 박자기가 자신의 꿈을 기억해내는 순간에야 비로소, 그녀의 끔찍했던 꿈은 가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작품 속 기억의 의미는 삶의 지속 관점에서 과거와 현재를 연속시키는 매개로서 기억에 대해 연구한 베르그송의 이론과 연계되는 지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밍>에서는 또 다른 가능성을 가진 현실을 경험하는 통로로 꿈이, 그 꿈을 현실과 연속시키는 매개로 기억이 설정된다. 작품에서 보여주는 현실과 가상의 시․공간 혼재양상은 가상의 개념이 현실에 내포된 또 다른 현실로서의 잠재성일 수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품에서 그려지는 현실과 가상의 복잡한 관계는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에 대한 관심을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Now, as reality is virtualized and virtuality is realized, the perception that mixes up reality and virtuality is rendered in various ways through several visual media. The mixup of reality and virtuality also appears in Timing, a webtoon. In this thesis, I focus on the ‘dream’ and ‘memory’ of Park Ja-ki, the character from the webtoon Timing to se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is delineated in the work. First of all, ‘dream’ appears as the medium for experiencing reality as actuality and reality as possibility. Since the complex circuit between reality and dream or vice versa buil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and on their mediation by dream, one sees that the entire plot of the story has a structure that is similar to an illusory framework. We can link it to the Buddhism and Kantian idealism in that dream as virtuality implies potentiality as another reality. Also, ‘memory’ is a major premise for Park Ja-ki being able to exist as another aspect of reality. Not until Park Ja-ki remembers her dream can her horrifying dream exist as virtuality. In this sense, one may associate the meaning of memory in the work with the Bergsonian idea of time in which he argues time as continuum between past and present is consciousness that has derived from memory.

      • KCI등재

        근육형 심실중격결손에 대한 하이브리드 수술법 −2예 보고−

        최선우,양지혁,전태국,박표원,민선경,강이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1 No.6

        Although surgical closure is the standard approach for a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 the procedure may be complicated by poor visualization and the need for incision on the ventricle. Another approach is catheter-based intervention. However, it also has limitations. A hybrid procedure, the intraoperative combined use of an interventional device may reduce the procedure's invasiveness. We successfully managed two cases of muscular ventricular septal defect with a hybrid procedure. We report here on these 2 cases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판막간 섬유체 재건을 시행한 후 발생한인공판막 심내막염의 수술적 치유 −1예 보고−

        최선우,김욱성,민호기,이영탁,박표원,강민웅 대한흉부외과학회 200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1 No.6

        We report here on a case of performing a redo-operation for a 65-years-old male patient who had prosthetic endocarditis after reconstruction of the fibrous skeleton due to infective endocarditis 8 years earlier. An aortic annular abscess with a 1 cm sized subvalvular abscess and mobile mitral valve vegetation with destruction of the fibrous skeleton was shown on the preoperative echocardiography. An emergency operation was performed due to heart failure. Reconstruction of both the aortic and mitral annuli and the fibrous skeleton was done by using two separate bovine pericardial patches and then mechanical valves were implanted. The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y shows no paravalvular leakage. The patient has been followed up with no symptoms.

      • KCI등재

        한국경찰의 ‘근대성(近代性)’에 관한 연구

        최선우 한국공안행정학회 200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0 No.23

        A Study on the ‘Modernity ’ of Korean PoliceChoi, Sun WoThis study aimed at the consideration of ‘Modernity ’ in the Korean Police(during the era of Kap-o Reform, Korean Empire, Japanese Colonial State, and U.S Military Government. and partially it contains the Chosun Dynasty ’s Po-do-chung).It is different in respective perspectives to deduce general approach about ‘Police Modernity ’, but in this study, I would focus on two points. One is Institutional police modernity. the other is Ideological police modernity. Institutional modernity means(quoted Bayley ’s views) public, specialized, and professionalized police. Ideological modernity means democracy. democracy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personal freedom is essential to a society. However this approach is not applied exactly in Korean police modernity. Because it fair to notice about Korean ’s historical characteristics in the era. So I would try to apply another methods. That is, the autogenous, inherent police modernity and the heteronomous, subordinate police modernity.From the Kap-o Reform ’s police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 police, Korean police has changed not inherently but subordinately. And because of this causes, the process of Korean police ’ modernity has wraped (in addition, it has retrogressed) in partially. But in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포도청), 개항장, 갑오개혁, 대한제국, 일제시대, 미군정시대에 이르는 과정에서 한국경찰의 ‘근대성’(近代性)이 어떻게 형성·발전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보편적인 관점에서 경찰근대성을 접근하는 방법은 논점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여기에서는 제도적·이념적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도적·이념적 접근은 서구 근대경찰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찰근대성이 한국이 처한 당시의 특수한 상황을 설명해줄 수는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내재적 경찰근대성과 종속적 경찰근대성을 또 하나의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도시발전 패러다임과 CPTED에 관한 연구

        최선우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1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우리사회가 심각한 사회문제 가운데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 범죄문제를 근대도시발전 패러다임의 한계에서부터 접근하고자 하였다. 근대도시발전 패러다임은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에 기초를 둔 경제성장 일변도의 양적 가치를 도시성장의 핵심지표로 삼고 있음을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도시발전은 그 자체적으로 성장한계에 직면하고 있고, 아울러 사회적 형평성과 삶의 질과 같은 질적 도시발전 수준은 떨어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산업화ㆍ도시화된 우리사회에서 범죄와 무질서 등의 문제가 감소하기보다는 오히려 심화되었고 이로 인한 개인의 삶의 질은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근대도시발전 패러다임의 한계에서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요소(경제, 환경, 사회) 가운데 하나인 사회적 지속가능성 속에서 범죄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즉,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기본원칙의 하나인 삶의 질의 핵심지표는 범죄 등과 관련된 안전문제이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어떠한 도시가 안고 있는 범죄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해당 도시에 대한 일정한 진단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도시발전 수준의 유형화(양적 도시발전과 질적 도시발전의 결합)를 시도하였고, 거기에서 범죄문제 등에 대해 진단할 것을 제안하였다. 생각건대, 최근 범죄예방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이 보다 체계적ㆍ효율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적절한 도시발전 수준의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범죄문제라는 것은 본질적으로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산물이기 때문에 해당 도시에 내재하고 있는 전체적인 특징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본다. 따라서 1세대 CPTED와 2세대 CPTED의 전략은 이러한 도시발전 수준을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특히,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2세대 CPTED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사회적 지속가능성)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이의 조화로운 연계를 모색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In here, I try to draw and discuss about the crime problem which is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from the limits of modern urban development paradigm. Everyone knows, the modern urban development paradigm consider the value of quantitative of complete devotion to economic development which is based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capitalism to the core index of urban growth. But these quantitative urban development have been faced the growth limits of its own, at the same time criticized because the level of qualitative urban development like the social equality and quality of life are decreased. In our industrialized and urbanized society, it is true that the problem of crime and disorders are intensifying than before, and for this reason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 is sharply decreasing. Thus, to find solutions of crime problem in the social sustainability which is one of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elements(economy, environment, society) that is suggested the new countermeasures of the modern urban development paradigm. And because the core index of quality of life one of the basic principles of the social sustainability is the security problems which is related to the crime, so I try to focus this points. By the way, to do profit action about the crime problems which is inherent in a urban we have to diagnose regularly to that. For this, classify the level of urban development based on the prior research(the combination of quantitative & qualitative urban development), and suggest to diagnose crime problems and so on. I think, to apply the CPTED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which is frequently reviewed nowadays in crime prevention, preferentially we must diagnose the level of urban development properly. As crime problems are basically the products of complex social interac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whole characters which inherent in the urban. Thus, the strategies of 1nd Generation CPTED and 2nd Generation CPTED must be applied considering the urban development level. In recently, the 2nd Generation CPTED which are discussed actively and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social sustainability) have something in common, it is very important to search of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it.

      • KCI등재

        방어공간의 영역성 연구

        최선우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7 경찰학논총 Vol.12 No.1

        방어공간의 영역성을 형성하는 것은 바로 범죄와 관련된 환경을 통제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선험적으로 방어본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위해 적절한 방어공간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어공간은 곧 ‘영역성’을 확보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범죄예방 및 통제를 위해서는 방어공간의 영역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형성하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러한 방어공간의 영역성과 관련하여가장 1차적으로 중요한 곳이 바로 주거장소이다. 주거장소는 우리 삶의 근간이 되는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방어공간의 영역성이 가장 강하고 중요시되는 주거장소가 범죄로부터 가장 취약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방어공간의 영역성형성은 바로 주거장소의 재설계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간의 행동은 환경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나타난다. 따라서 방어공간의 영역성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환경에 대한 인간의 자극과 반응을이해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다. 범죄행동이라는 것 역시 환경에 대한 지각, 인지, 태도의 과정 속에서 표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의 행동에 가장 거시적·내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이 바로 문화라고 할 수 있다. 문화는 한 개인 또는 한 집단이 어떠한 환경에서 행동하는 정신적·물질적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한편, 인간의 행동은 감각적 환경 즉, 색채, 조명, 소음, 바람, 기온, 대기오염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 역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그런데, 수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장소 즉, 도시는 근본적으로 방어공간의 영역성을 형성하는데 본질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바로 과밀화로 인한 도시혼잡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각 영역을 추상적이고, 이질적인 ‘공간’ 개념에서 구체적이고 친밀한 ‘장소’의 개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를 위한 거시적 접근방법으로서 인간상호간의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중시적·미시적 접근방법으로서 도시공동체 정신과 물리적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셉테드전략을 체계적으로 운용해야할 것이다. The formation of the territoriality of defensible space is a every efforts to control environments related to the crimes. Human have a instinct of defense inherently, therefore, try to secure proper the defensible spaces. And the defensible space formed by ‘the territoriality’ directly. Therefore, how to secure, and how to form the defensible space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crime and control it. Related to the territoriality of defensible space, it is the primary important places are the residential places. The residential places are the places which are the backbone of our life. But ironically, it is true that the residential places whose the territoriality of defensible space are considered the most strong and important are the most weakness places for crimes. So, it means that we must start to form the defensible space from remodeling of residential places. As is generally known, human’s behaviors are caused through the complex interaction with environments. So,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uman’s stimulations and responses about to the environments in forming the defensible space. Because crime behaviors also come out in the process of perception, cognition, and attitude about to the environments. And the comprehensive and internal environmental elements which affect to the human behaviors are the culture exactly. The culture became the spiritual・physical ground for an individual or a group acting in certain environments. While, human's behaviors are affected by the sensitive environments, that is, colors, lights,sounds(noises), winds, temperature, air pollutions and so on. So, we also must consider these factors. However, the places which many people are live in, that is, the cities have a essential limits to form the defensible spaces. The problems are the city congestions aroused by overcrowding. To solve these problems, we must try to change the 'Space' concepts that are abstract, and heterogeneous into the 'Place' concepts that are concrete, and intimate. For this, as the macroscopic methods, we must search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which pursuit the interpersonal social values. And as the middle and microscopic methods, we must operate CPTED systematically which can improve the community spirits of the city and physical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