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기관 기관장의 교체와 공공기관 성과에 관한 연구

        최부경,안지영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공공기관에 대한 기업 투명성과 효율적 경영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고, 이러한 공공기관의 혁신과 성과 향상에 대한 의사결정의 중심에는 기관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의 기관장 교체가 기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기관장의 교체유형(외부영입 · 내부영입)과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이 공공기관의 기관장 교체와 성과사이의 관계를 강화 또는 약화시키는 조절 작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공공기관의 기관장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대리인 관점의 연구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리인 관점의 일변도에서 벗어나 자원의존이론 관점에서 기관장의 교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가 공공기관으로 지정한 공기업과 준 정부기관 그리고 기타공공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자료로 기관장의 교체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기관장의 교체유형과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영성과 대리변수로서 공공성 즉, 기관의 효율성으로 대표되는 경영평가 점수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공공기관의 기관장 교체는 경영성과 지표인 경영평가점수에 유의한 부(-)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관장이 교체되면 경영평가점수는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기관장의 교체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기관장의 교체 유형(외부영입 · 내부영입)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기관장의 외부영입이 유의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부영입이 기관장의 교체와 성과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기관장의 교체와 성과 사이의 부(-)의 관계를 기관장이 외부로부터 영입이 되었을 때 약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기관장의 교체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은 유의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관장이 정치적 연결이 있을 때 기관장의 교체와 성과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기관장의 교체와 성과 사이의 부(-)의 관계를 기관장이 정치적 연결이 있을 때 약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부정적인 대리인 관점에서 강조되어 오던 기관장의 외부영입과 정치적 연결을 자원의존이론 관점을 통해 균형적인 측면의 연구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조절효과인 외부영입과 정치적 연결이 자원과의 연결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즉, 공공기관의 특성상 정부나 주무부처에 의존성이 강하기 때문에 공공기관이 스스로 정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양질의 정보와 인맥(informal network)을 가진 인사를 영입함으로써 재정적 지원과 전문성, 정보에 대한 접근성 등을 얻을 수 있는 인적자원으로써의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과 여성 중간관리자의 승진과 임금에 관한 연구

        최부경,안지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Vol.2018 No.9

        본 연구는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이 여성 중간관리자의 승진과 임금의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1차~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로짓 (panel logit) 모형으로 고위직 여성의 비율이 여성중간관리자의 승진 및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기업 내 고위직 여성의 비율이 높을수록 여성중간관리자의 승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위직 여성이 부하직원의 여성관리직에게 승진할 수 있는 ‘변화의 대리인’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또한 고위직 여성관리자의 비율이 여성중간관리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승진과 더불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동종업계 비교 여성인력의 비중이 더 높을 수록, 즉 여성인력의 집중도가 클수록 여성 임원비율이 승진 및 임금에 미치는 정(+)의 효과가 더욱 커질 것 (혹은 여성인력의 집중도가 낮을수록 여성임원비율이 승진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킨다) 이라는 조절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동종업계 내 여성인력의 비율이 낮을수록 (산업 내 다수 기업 중 해당기업의 여성인력 비율의 랭킹이 낮을수록) 여성임원비율이 승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약화시켰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 ESG 지표를 통한 대학의 ESG 경영에 대한 고찰: 대학 ESG 가이드라인 V1.0을 중심으로

        최부경,곽동철,방세린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5

        [Purpose]This study analyzes the ‘University ESG Guidelines V1.0’ released to help domestic universities establish ESG management strategie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universities to set up their own ESG management goals and sustainable management. [Methodology]In order to analyze the guidelines, this study examined the core concept of ESG and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analysis. We extensively reviewed the existing literature, identified ESG management concepts and analysis criteria, and systematically analyzed individual units of ESG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Findings]The necessary elements for university ESG activities include establishing a curriculum to foster convergent human resources and realizing a win-win economic system through cooperative projects with local communities based on ESG-related education; pursuing a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in the area of environment; realizing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in the area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emphasizing transparent, fair, and sustainable decision-making in the area of governance. [Implications]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guidelines for ESG management in universities and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actors necessary to build a sustainable management environment in universities.

      • KCI등재

        뇌 해마의 관상면 중심점으로부터거리분석에 따른 치매분류

        최부경,소재홍,손영주,Nuwan Madusanka,최흥국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8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1 No.2

        Alzheimer's disease has th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both specific and characteristic features according to the disease progressing that are the volumetry and surface area by ​​the brain hippocampus shrinking and thinning. However, we have suggested a shape analysis to calculate the variance by the roughness, coarseness or uneven surface on 3D MR images. For the reasons we have presented two methods: the first method is the distance calculation from major axis to edge points and the second method is the distance calculation from centroidal point to edge points on a coronal plane. Then we selected the shortest distance and the longest distance in each slice and analyzed the ANOVA and average distances. Consequently we obtained the available and great results by the longest distance of the axial and centroidal point. The results of average distances were 44.85(AD), 45.04(MCI) and 49.31(NC) from the axial points and 39.30(AD), 39.58(MCI) and 44.78(NC) from centroidal points respectively. Finally the distance variations for the easily recognized visualization were shown by the color mapping. This research could be provided an indicator of biomarkers that make diagnosis and prognosis the Alzheimer's diseases in the future.

      • KCI등재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이 여성 중간관리자의 승진과 임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최부경,안지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여성연구 Vol.104 No.1

        본 연구는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이 여성 중간관리자의 승진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패널 1차~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로짓 (panel logit) 모형으로 고위직 여성비율이 여성중간관리자의 승진에 미치는 영향과 회귀모형으로 고위직여성임원 비율이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기업 내 고위직 여성의비율이 높을수록 여성중간관리자의 승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위직여성임원이 부하직원의 여성관리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변화의 대리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주장과일맥상통한다. 또한 고위직 여성관리자의 비율이 여성중간관리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승진과 더불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동종업계 비교 해당 기업의 여성인력의 비중이 더 높을수록, 즉 여성인력의 집중도가 높을수록 여성 임원비율이 승진 및 임금에 미치는 정(+)의 효과가 더욱 커질 것 (혹은 여성인력의 집중도가 낮을수록 여성임원비율이 승진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킨다) 이라는 조절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동종업계 내 여성인력의 비율이 낮을수록 여성임원비율이 승진에 미치는 긍정적인효과를 약화시켰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공공기관 기관장의 교체와 공공기관 성과에 관한 연구: 기관장의 교체 유형 및 정치적 연결의 상호작용

        최부경,안지영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8 유라시아연구 Vol.15 No.4

        공공기관이 국민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수행하는 역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러한 공공기관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지하면서도 특유의 소유구조 및 행태적 특성으로 인하여 비효율이 발생하고 나아가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공공기관의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공공기관에 대한 기업 투명성과 효율적인 경영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고, 이러한 공공기관의 혁신과 성과 향상의 운영과 의사결정의 중심에는 기관장이 있다. 이러한 공공기관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경영성과에 대한 책임성 확보가 요구되며, 이러한 책임성 확보의 기본은 경영성과를 책임지는 기관장 인사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의 기관장의 교체가 기관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기관장의 교체유형(외부영입・ 내부영입)과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에 따른 교체-성과 관계의 차별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공공기관의 기관장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대리인 관점의 연구가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을 대리인 문제로 보는 관점의 일변도에서 벗어나 공공기관의 자원으로 활용되어 조직의 성과 또는 책임성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 탐색, 검증하여 기관장 교체의 효과에 대한 전체적이고 균형적인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부가 공공기관으로 지정한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을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자료를 통해 기관장의 교체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관장 교체-성과의 관계에서 교체 유형(외부영입・ 내부영입)및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공기업과 준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공공기관의 기관장 교체는 경영성과 지표인 경영평가점수에 유의한 부(-)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기관 기관장의 빈번한 교체는 공공기관의 성과인 경영평가점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둘째, 기관장의 교체와 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기관장의 교체유형(외부영입・내부승진)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의 결과, 기관장의 외부영입이 경영평가점수에서 유의한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즉, 기관장의 교체와 성과 사이의 부정적인 영향을 기관장이 외부영입이 되었을 때 완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political connection)에 대한 분석 결과, 외부영입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기관장 교체가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정치적으로 연결된 기관장의 경우 약화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대리인 관점에서 강조되어 오던 기관장의 외부영입과 정치적 연결이 자원의존이론의 관점을 통해 공공기관의 주요 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공공기관의 특성상 정부나 주무부처에 의존성이 강하기 때문에 공공기관이 스스로 정부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양질의 정보와 인맥(informal network)을 가진 인사를 데려옴으로써 재정적 자원과 전문성, 정보에 대한 접근성 등을 얻을 수 있는 인적자원으로써의 역할을 한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공공기관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과 성과와 보상의 비대칭성

        최부경 ( Bu-kyung Choi ),안지영 ( Ji-young Ah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국내 공공기관 기관장의 보상과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것으로 이를 위해 국내 공공기관인 공기업, 준정부기관을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개년의 해당 기관과 기관장을 전수 조사한 표본을 대상으로 패널분석(pane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국내 공공기관의 최고 경영자 (이후, 기관장)의 성과급의 성과-보상의 관계 및 비대칭성을 실증자료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국내 공공기관 기관장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관장의 보수가 기관성과에 어느 정도 민감하게 연동되는지를 성과-보상 민감도(pay-performance sensitivity)를 검증한다. 성과-보상 민감도는 개인 성과의 변화가 보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이며 표본 데이타를 통해 추정된 계수의 값은 주주의 부가 $1가 변할 때 최고경영자의 부(wealth)가 변화된 정도를 의미하여 이 값이 커질수록 경영자가 주주의 이익과 일관된 행위를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incentive)의 유인이 크고 주주에게는 경영자를 통제(control)하는 역량이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는 공공기관 기관장 보상수준이 기관의 성과가 개선되거나 악화할 때 성과-보상의 민감도의 비대칭성(asymmetry)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성과-보상 민감도의 비대칭성은 전년 대비하여 올해 성과가 개선되었을 때 기관장 보상의 변화(증가) 폭이 성과가 악화하였을 때 보상의 변화(감소)하는 정도를 비교하여 둘 사이의 차이를 보는 것으로 저조한 경영실적에도 높은 성과급을 받는 몇몇 공공기관의 사례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관장의 성과-보상 관계의 강도(strength) 또는 민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절변수 (moderating variables)을 탐색하고자 한다. 공공기관은 경영 효율성 확보가 시장을 통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공공기관의 성과는 최고 경영자의 관리능력, 역량 등 기관장의 특성에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공공기관의 기관장의 특성(traits)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공공기관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성’을 기관장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 설정하고 이러한 공공기관 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의 특성이 성과보상 민감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기준 공시된 공기업ㆍ준정부기관 총 109개의 기관을 기준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총 1,088개의 기관장-연도 사례(cases)를 연구표본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개년도 대한 경영자 보상, Return On Assets, Net Worth 그리고 이사회 규모, 비상임이사비율, 설립 연수, 지원액 비율, 자산규모, 부채율, 기관 유형에 관한 정보를 공공기관 공개시스템 알리오(Alio) 와 정치적 연결의 정보를 위해서 중앙일보의 Joins와 네이버 인물사전, 구글 등과 각종 신문 기사, 국회의원 민병두 의원의 친박 사전 1, 2와 공공기관 공개시스템 알리오(Alio), 경제개혁연구소(ERRI)의 공공기관지배구조 연구(임원의 과거 경력 분석)과 기획재정부 국정감사 보도자료에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공공기관 기관장의 성과보상 민감도는 조직성과의 비대칭성을 발견하였다. 즉, 기관장의 보상이 유의미한 하방 경직성을 보이며 성과가 개선되었을 때 기관장 보상의 증가 폭이 성과가 악화하였을 때 감소하는 정도에 비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석에 사용된 다양한 공기업 성과 변수 중 자산경영평가점수와 총자산순이익률(ROA)에서 하방 경직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경영자 보상과 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자의 특성 중 정치적 연결에 대한 분석을 시행한 결과 공공기관 기관장이 현 정부와 정치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경영평가점수에서 기관장 보상의 비대칭성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관장의 성과급이 의도한 동기부여 효과를 달성하지 못하며 특히 공공기관장의 정치적 연결정도는 대리인 문제를 악화시켜 기관의 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compensation and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and conducted panel analysis on samples of 10-year surveys of public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from 2007 to 2016. This study primarily seeks to verify the performance-compensation relationship and asymmetry of the performance-compensation of CEOs (later, the head of the agency) of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through empirical data. Specifically, based on data from the heads of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the performance-compensation sensitivity is verified to what extent the heads of institutions are sensitive to institutional performance. Performance-compensation sensitivity is the extent to which changes in individual performance affect changes in rewards, and the value of the coefficients estimated from the sample data indicates changes in the CEO’s wealth when $ 1 changes, resulting in greater incentives for managers and control.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symmetry in the sensitivity of performance-compensation when the level of compensation for heads of public institutions improves or worsens the agency’s performance. Specifically, asymmetry in performance- compensation sensitivity is a comparison of the extent of changes (increases) in compensation for agency directors when performance improves this year, which can be a case of several public institutions that receive high incentives despite poor management performance. A total of 1,088 institutional-year cas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ample collecting data based on a total of 109 institutions disclosed as of 2016. The results show that pay-performance sensitivity is asymmetric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ther words, CEO compensation in public institutions showed significant downward rigidity and the increase in the compensation of the head of the agency when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was significant compared to the decrease in the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downward rigidity was noticeable in the asset management evaluation score and the total asset net return rate (ROA) among the various performance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In particular, the downward rigidity was particularly pronounced when we consider management evaluation score of the public institution as a dependent variable. Moverover, the analysis of political connections among managerial characteristics that may affect management compensation and performance shows that asymmetry in management evaluation scores is strengthened when the heads of public institutions are polit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govern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gency’s performance-based pay does not achieve the intended motivational effect, and particularly, the degree of political connectivity of public agency heads is likely to worsen the agency’s agent problem and cause institutional costs to rise.

      • KCI등재

        헤어미용 O2O서비스품질과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및 만족도의 관계

        최부경(Bu-Kyoung Choi),박은준(Eun-Jun Park)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1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2 No.1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effects of hair beauty O2O service quality on brand attitude and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O2O service. As f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369 customers who used O2O services in Seoul, Ky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 were selected and took part i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n analy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data in the form of 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ve O2O service qualities were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curity quality, entertainment factor, and economic factor. One factor was found in both brand attitude and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 of the effect of hair beauty O2O service quality on brand attitude and customer service are as follow: Among the O2O service qualities, economic factor,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security qualit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attitude. Third, system quality, economic factor, information factor, and security factor of O2O service qualiti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