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봉수(Bongsu Choi),전원태(Weon-Tai Jeon),이용환(Yong-Hwan Lee),김민태(Min-Tae Kim),엄순표(Sun-Pyo Eum),오계정(Gae-Jung Oh),조현숙(Hyun-Suk Cho),박태선(Tae-Seon Park),성기영(Ki-Yeong Seong) 韓國雜草學會 2011 Weed&Turfgrass Science Vol.31 No.4
녹비작물의 이용은 화학비료를 대체할 뿐만 아니라 토양의 지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계기간 지속적으로 헤어리베치와 보리를 재배하고 이를 토양환원한 뒤 벼를 재배하는 윤작체계가 벼의 수량과 논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손제초구에서 벼의 수량은 관행구와 비교하여 헤어리베치 재배구 및 헤어리베치와 보리 혼파구에서 각각 93%와 90%의 수량을 확보하였으나 보리 재배구는 79%수준이었다. 무제초구에서는 헤어리베치 재배구에서 관행구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헤어리베치와 보리 혼파구는 83%, 보리재배구는 54%수준으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벼의 최고분얼기의 논에서 발생한 잡초는 관행구에서는 물달개비가 포함된 6종이었고, 헤어리베치 재배구와 보리 재배구는 각 5종, 헤어리베치와 보리 혼파구는 2종(여뀌바늘, 돌피)이 발생하였다. 이들 잡초의 건물중은 헤어리베치 재배구와 보리 재배구에서 관행구보다 감소하였고 헤어리베치와 보리 혼파구에서 증가하였다. 헤어리베치 재배구에서는 방동사니과 잡초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피의 발생량은 관행구를 비롯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다른 잡초보다 현저히 낮았으나 피가 차지하는 건물중 비율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The use of green manure crop is one of the methods for alternative of chemical fertilizer as well as maintain of soil sustainability, therefore we evaluated the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on rice growth and weed occurrence in rice-green manure crop double cropping system. The treatments consisted of incorporation of hairy vetch, barley or combined hairy vetch and barley without any agrochemical or fertilizer. In hand weeding, rice yield in hairy vetch only or hairy vetch and barley incorporated fields was attained by 90% and 93% of the conventional practice, respectively, while the value in barley incorporated fields was just 79%. Although the rice yields were lower than the hand weed control, similar trends in non-weed control were observed among all treatments. At maximum tillering stage, occurred weeds in hairy vetch, barley or hairy vetch and barley incorporated fields were five, five and two species, respectively, while those in conventional practice were six species. Also, the dry weight of weeds in hairy vetch and barley incorporated fields was decreased by 33% and 53% compared to it of conventional practice, while the value in hairy vetch and barley incorporated field was increased by 34%. Among all treatments, although occurrence density of Echinochloa crus-galli was lower than another weed species, the dry weight of it significantly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though continuous incorporation of proper amount of legume green manure crops was possible to productivity insurance of crop, but to attain it was essential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weeds.
돼지풀이 작물과 잡초의 초기 생장에 미치는 Alleopathy 효과
최봉수(Bongsu Choi),송득영(Duk-Young Song),김충국(Chung-Guk Kim),송범헌(Beom-Heon Song),우선희(Sun-Hee Woo),이철원(Chulwon Lee) 韓國雜草學會 2010 Weed&Turfgrass Science Vol.30 No.1
돼지풀의 추출물에 의한 잡초의 발아와 토양혼입에 따른 작물 및 잡초의 초기생육을 조사하였다. 돼지풀의 잎 추출물은 줄기 및 뿌리 추출물보다 잡초의 발아를 억제시켰으며, 5%농도에서 돌피, 바랭이 및 금방동사니의 발아율은 각각 23.0, 19.5 및 9.2%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68.3, 74.7 및 87.3% 억제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돼지풀의 혼입에 의한 작물과 잡초의 출아율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출아 억제효과는 돌피보다 바랭이와 금방동사니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돼지풀의 혼입은 콩과 옥수수의 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돼지풀의 잎 혼입량이 5%까지 증가함에 따라 돌피, 바랭이, 금방동사니의 초장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48, 63 및 66% 억제되었다. 돼지풀 혼입에 따른 잡초의 생육으로 돌피, 바랭이 및 금방동사니의 건물중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72, 78 및 71% 억제되었다. Competitive ability, allelopathy, made the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 one of the most dangerous weeds in Korea.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role of common ragweed as test species under laboratory bioassay and glasshouse conditions. Inhibition effect of the leaf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stem and root parts extract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weeds. The 5% concentration of leaf extract of common ragweed inhibited the germination rate of Echinochloa crus-galli, Digitaria sanguinalis and Cyperus microiria by 68.3, 74.6 and 87.3%,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enerally, increasing incorporation concentration inhibited seedling growth of weeds. Incorporation of 5% common ragweed residue significantly reduced the plant length of E. crus-galli, D. sanguinalis and C. microiria by 48, 63 and 68%,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control. Also, the values of dry weight were 72, 78 and 71%, respectively. Contrarily, the emergence rate of soybean and corn was not affected by the incorporation of 5% concentration of common ragweed residue. However, the dry weight was inhibited by 37 and 28%,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on ragweed had the ability to control some weed species using toxic compounds like natural herbicide.
돼지풀의 페놀화합물 동정 및 이들 화합물이 잡초의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최봉수(Bongsu Choi),송득영(Duk-Young Song),성좌경(Jwa-Kyung Sung),김충국(Chung-Guk Kim),송범헌(Beom-Heon Song),우선희(Sunhee Woo),이철원(Chulwon Lee) 韓國雜草學會 2010 Weed&Turfgrass Science Vol.30 No.4
외래잡초인 돼지풀은 국내 확산이 우려되는 문제잡초로서 allelopathy와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돼지풀이 함유하고 있는 phenolic compounds의 시기별 변화와 이들 화합물에 의한 3종 잡초의 발아 및 초기생육을 평가하였다. 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물질로 잘 알려진 cinnamic acid 유도체인 5종의 페놀화합물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고, 4종 (caffeic acid, o-coumaric acid, p-coumaric acid 및 ferulic acid)의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돼지풀에서 검출된 페놀화합물 중 caffeic acid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o-와 p-coumaric acid는 개화직전 농도가 개화후기보다 3배 정도 높았다. 돼지풀이 함유하고 있는 페놀화합물의 총함량은 개화직전이 1,377㎍로 개화후기의 1,583㎍보다 낮았으나 돼지풀이 생장률에 비해 증가량은 현저히 낮았다.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조제한 페놀화합물 중 o-와 p-coumaric acid는 바랭이의 발아를 지연시켰으며, caffeic acid는 피의 발아율을 대조구보다 10% 억제시켰다. 또한 발아가 50%에 도달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T50는 10-4M 페놀화합물 처리구의 금방동사니와 바랭이에서 촉진되었으며, 10-3M 페놀화합물 처리구의 금방동사니와 피에서 현저히 지연되었다. 다양한 페놀화합물 중에서 o-coumaric acid는 3종의 모든 잡초에서 하배축과 유근의 신장을 현저히 억제시켰으며, 금방동사니의 뿌리 세포 분열을 억제시켰고, 특히 피의 발근을 100% 억제시켰다. Phenolic compounds, which are products of secondary metabolism,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widespread growth substances in pla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henolic compounds in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by HPLC and to evaluate their effect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ree weed species. Under controlled conditions in Petri dishes at 25℃, 10-3 and 10-4 M solutions of phenolic compounds were evaluated in seed germination tests. Four phenolic compounds (caffeic acid, O-coumaric acid, p-coumaric acid and ferulic acid) in common ragweed plant were identified and their concentration was increased from the stage before flowering through full flowering stage. Treatment of O- and p-coumaric acids delayed the seed germination of Digitalia ciliaris, while the treatment of caffeic acid delayed the seed germination of Echinochloa crus-galli. In time to 50% germination (T50), phenolic compounds at 10-4 M promoted in Cyperus microiria and E. crus-galli but the level of 10-3 M delayed the T50 of those weeds. The O-coumaric acid inhibite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tested weeds and especially it perfectly inhibited the root growth of E. crus-galli.
한국형발사체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 연료공급시스템 설계
최봉수(Bongsu Choi),김용욱(Yongwook Kim),이장환(Janghwan Lee),조기주(Kiejoo Cho) 한국추진공학회 2017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추진기관 시스템 시험설비 (PSTC)는 한국형발사체 (KSLV-II)의 추진기관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구성요소로는 유공압 시스템, 테스트 스탠드 시스템, 제어계측 시스템, 후류안전시스템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유공압 시스템의 연료공급 시스템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연료 공급 시스템은 연료의 저장 및 냉각, 공급 배관의 냉각 및 퍼지, 연료의 충전 및 회수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한국형발사체 1/2/3단의 연료충전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Propulsion system test complex (PSTC) is designed to verify propulsion system of KSLV-II. It is composed of hydraulic and pneumatic system, test stand system, control/measurement system, and flame deflector and safety system. In this study, kerosene filling system of hydraulic and pneumatic system is introduced. It performs store and chilling of kerosene, chilling and purging of filling line, and filling and retrieval of the kerosene. The kerosene supply requirements of 1, 2 and 3 stages of KSLV-II are considered in desig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