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하곤란을 가진 경부척수손상환자에게 전기자극과 함께 적용한 노력 삼킴 훈련의 효과

        홍호진,최보운,김순기,이광욱,강수정,나현아 대한연하재활학회 2010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2 No.2

        목적 : 경부 척수손상으로 인한 연하곤란 환자들의 삼킴기능 증진을 위해 경피 전기 자극 치료를 저항으로 적용 한 노력 삼킴 훈련의 효과를 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도 대학병원에서 경부척수손상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중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를 통해 인두 수축근(pharyngealconstrictormuscle)의 약화로 후두개계곡(vallecular)및 양배꼴동(pyriform sinus)에 다량의 잔류물(residue)이 확인된 환자에게 복장목뿔근(sternohyoidmuscles)에 경피 전기 자극을 적용하여 노력 삼킴 을 8주간 훈련하였다. 결과 :8주간 치료 후,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에서 관찰되었던 후두개계곡(vallecular)및 양배꼴동(pyriform sinus) 내의 잔류물(residue)및 기도흡인이 감소하였다. 결론 : 경부 척수손상으로 인해 삼킴 후 인두 내 다량의 잔여물(residue)이 확인된 환자 2인에게 전기 자극을 이 용한 노력 삼킴 훈련을 실시하여 삼킴 기능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인원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 여 전기자극과 함께 적용한 노력 삼킴 훈련의 효과를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

      • 전기 자극의 위치에 따른 턱밑근 활동의 변화

        오종치,최보운,홍호진,곽호성,김다연 대한연하재활학회 2010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2 No.1

        목적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의 목뿔 위 근육과 목뿔 아래 근육에 전기 자극치료를 각각 실시하였을 때 각각의 치료가 목뿔 위 근육의 최대 근 진폭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표면 근전도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정상 성인 4명을 대상으로 교차설계를 사용하여 목뿔 위 근육과 목뿔 아래 근육에 전기 자극을 대상 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 강도에서 1일당 30분,주 5회,총 2주간 실시하였다.한 가지 치료가 종결된 후 한 달 의 휴식기간을 갖고 다음 치료를 시작하였다.각각의 치료에 들어가기 전과 치료 후 턱 밑 표면 근전도 검사 를 통하여 근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정상 삼킴의 경우 목뿔 위 근육을 자극한 경우 치료 후 최대 근 진폭이 치료 전보다 오히려 감소한 반면 목뿔 아래 근육을 자극한 경우는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최대 근 진폭이 약간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힘껏 삼킴의 경우 두 치료 모두 치료 전보다 치료 후 최대 근 진폭이 증가하였다.그러나 두 치료 모두 치료 전과 치료 후 근전도 값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273). 결론 :목뿔 아래 근육을 전기 자극한 치료가 목뿔 위 근육을 전기 자극한 치료에서보다 턱 밑 근육의 최대 근 진폭의 향상이 더 많이 일어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 정상인의 삼킴 시 표면 근전도 신호 분석

        오종치,최보운,이진 대한연하재활학회 2009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1 No.1

        목적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의 삼킴 시 주요하게 작용하는 턱 밑 근육에서 수집한 표면 근전도 신호의 특성을 분 석하였다. 연구방법 :삼킴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정상 성인 26명을 대상으로 3ml물 삼킴 시 턱밑 두힘살근 앞힘살,턱목뿔 근,턱끝목뿔근에서 수집한 표면근전도 신호로부터 최대 근진폭,근전도 발화기간을 측정하였고,이를 통계 분 석하여 남녀 구분에 따른 차이,좌-우 구분에 따른 차이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3ml물 삼킴 시 정상인의 턱 밑 표면근전도상 최대 근 진폭,근전도 발화기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최대 근 진폭은 남자가 여자보다 컸으며,근전도 발화기간은 여 자가 남자보다 더 길었다.여자의 경우 좌/우 최대 근 진폭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남자의 경우 왼쪽이 오른쪽 보다 최대 근 진폭이 더 컸으며,근전도 발화기간은 남녀 모두 왼쪽이 오른쪽보다 더 길었다. 결론 :제한된 인원의 젊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삼킴 시 표면 근전도 신호의 특성을 확인하였다.향후 다양한 연령층의 정상 성인 및 연하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들의 표면 근전도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뇌졸중 환자의 인지수준에 따른 연하재활치료의 효과

        홍호진,최보운,김순기 대한연하재활학회 2011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인지기능의 정도가 연하재활치료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30명을 MMSE-K 24점을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8주간의 연하재 활치료를 시행하였다.비디오 투시 연하검사를 치료 전과 후에 실시하여 각 군의 삼킴 기능의 향상 정도를 비 교하였다. 결과 :8주간의 연하재활치료 후,두 군 모두 치료 전과 비교 시 현저한 삼킴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나,두 군 간 유의한 치료 효과의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인지기능이 저하된 군과 정상인 군 모두 치료 전과 비교 시 삼킴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나,인지 기능의 수준에 따른 연하재활치료의 효과의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추후 인지기능 수준을 좀 더 세분화하고,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n MG53-IRS1-interaction disruptor ameliorates insulin resistance

        박준섭,이현,최보운,노성구,이도영,나정은,홍정호,이재선,김봉우,고영규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18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Vol.50 No.-

        Mitsugumin 53 (MG53) is an E3 ligase that induces insulin receptor substrate-1 (IRS-1)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in skeletal muscle. We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the pharmaceutical disruption of the MG53-IRS-1 interaction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by abrogating IRS-1 ubiquitination and increasing IRS-1 levels in C2C12 myotubes. Here, we developed a novel MG53-IRS-1 interaction disruptor (MID-00935) that ameliorates insulin resistance in diet-induced obese (DIO) mice. MID-00935 disrupted the molecular interaction of MG53 and IRS-1, abrogated MG53-induced IRS-1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and improved insulin signaling in C2C12 myotubes. Oral administration of MID-00935 increased insulin-induced IRS-1, Akt, and Erk phosphorylation via increasing IRS-1 levels in the skeletal muscle of DIO mice. In DIO mice, MID-00935 treatment lowered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and improved glucose disposal in glucose and insulin tolerance te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D-00935 may be a potential muscle-targeting drug candidate for treating insulin resistance.

      • 온도촉각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삼킴 반사 지연 회복에 미치는 영향

        오종치,신현희,최보운,김다연,홍호진,오치훈 대한연하재활학회 2011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3 No.1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하여 삼킴 반사 지연 증상을 보이는 연하장애 환자들에게 집중적인 온도촉각자극 치료를 실시하여 삼킴 반사 지연 증상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발병일로부터 3주 이상 경과한 뇌졸중 환자 3인에게 주당 600회,총 4주간의 온도촉각자극치료를 실시 하였다.치료 시작 전과 치료 종결 후 비디오 영상 투시검사결과를 이용하여 삼킴 반사 지연 시간을 측정하고 기도 흡인 및 후두 침투 여부를 확인하여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 3인 중 치료 전과 비교 시 치료 후 삼킴 반사 속도의 향상은 누구에서도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 참여한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 반사 지연 증상을 갖고 있는 연하장애 환자들에게 4주간의 집중적 인 온도촉각자극치료를 실시한 결과 삼킴반사 속도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하였다.향후 동일한 증상을 갖고 있는 많은 대상자들에게 다양한 변수의 조정을 통하여 온도촉각자극치료의 치료적 효과를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

      • 삼킴 시 음식덩이 점도에 따른 턱 밑 근육의 표면 근전도 신호 분석

        홍호진,차미선,최보운 대한연하재활학회 2011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3 No.2

        목적 :본 연구는 정상인의 삼킴 시 음식덩이의 점도에 따른 턱 밑 근육의 활성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삼킴에 문제가 없는 정상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전자 점도계를 통해 묽은 점도(1cP),넥타 점도 (200cP),꿀 점도(1050cP),수저로 뜰 수 있는 점도(1751cP)의 4가지 점도로 측정하여 2ml씩 3회 삼키게 하고 이 때 삼킴 동안 턱 밑 근육 군(두힘살근 앞힘살,턱목뿔근,턱끝목뿔근)의 활성화 정도를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최대 근 진폭,근전도 발화기간,전체 근진폭을 측정하였고,이를 통계 분석하여 음식덩이 점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넥타 점도를 제외하고는 점도가 높아질수록 삼킴 시 턱밑 근육군의 최대 근 진폭이 증가하였으며,2ml물 과,수저로 뜰 수 있는 점도(p=.043)그리고 넥타 점도와 수저로 뜰 수 있는 점도(p=.002)사이에서 최대 근 진 폭이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또한,음식의 4가지 점도(묽은 점도,넥타 점도,꿀 점도,수저로 뜰 수 있는 점도)에 따른 삼킴 시 턱 밑 근육군의 활성화 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결론 :정상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삼킴 시 음식덩이 점도에 따른 턱 밑 근육군의 표면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점도에 따라 최대 근 진폭,전체 근 진폭이 상승함을 확인하였다.향후 보다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점도에 대한 턱 밑 근육의 활성화 정도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