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2000년~2017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최미경,홍혜정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t therapy research trends on the elderly depression. A total of 74 national theses, including 69 master's theses and five doctoral theses spanning the 18-year period from 2000 to 2017, were analyzed. The aspects of theses to be analyzed were research subjects (gender, clinical type, number of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experimental design, measurement tools, participation type, analysis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research topic, session number, time per session, locatio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btained for each ele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 subjects trends tend to favor hybrid groups, and many studies have examined general elderly people based on general symptoms, and conducted studies on 5-8 persons. Second, in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following aspects were found to be many: research design of experimental control group type, the Korean version of the Elderly Depression Scale measurement tool, group type participation, and integrated analysis research type. Third, in the conten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rapy theme was an emotional area, and therapy usually consisted of a total 15-17 sessions, 50-60 minutes each, conducted in the elderly leisu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the researchers who plan and administer art therapy in the elderly and to help the clinical field. 본 연구는 노인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2000년부터 2017년 8월까지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석사 69편, 박사 5편으로 총 74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을 연구 대상(성별, 임상유형, 참여자 수), 연구 설계(실험 설계, 측정도구, 참여 형태, 분석 방법), 연구 내용(연구 주제, 총 치료회기 수, 치료회기 당 시간, 진행 장소)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기준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에서 성별은 혼성 집단, 일반적인 증상을 포함한 일반 노인, 참여자 수는 5∼8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연구가 많았다. 둘째, 연구 방법에서 연구 설계는 실험 통제집단, 측정도구는 한국판 노인우울척도(GDS-K), 참여 형태는 집단 형태, 연구 유형은 통합적 분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내용에서 주제는 정서 영역, 총 15∼17회기, 회기 당 50∼60분, 진행 장소는 노인 여가 시설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노인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계획하고 진행하려는 연구자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임상 현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 연구 - 마해송 동화를 중심으로 -

        최미경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4

        As part of the work to ascertain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the goal of this article is in revealing the function of the nonhuman character from a posthuman perspective, and for this purpose, the nonhuman characters in the works of Ma Haesong were analyzed. In this abstract, nonhuman characters are nonhuman beings who feel, speak and act like humans in the epic, and based on how nonhuman characters lie between humans and nonhuman characters, the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nonhuman speaking as human beings,’ ‘nonhuman speaking as nonhuman beings,’ and ‘objectively described nonhuman beings.’ As a result, the nonhuman character’s posthuman functions identified through the Ma Haesong’s works are as follows. First, expand the perception of nonhumanity, second, to reflect on human beings, third, to suggest humannonhuman relationships, fourth, it highlights children as a lost link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At this time, the last func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especially in children’s literature. In children’s literature, nonhuman characters are displayed in front of children, along with their children’s representations. This is because child readers identify themselves as children’s representations, and children as ‘lost links between the world and humans’ can connect with themselves as actors, not as reactors. Nonhuman characters are epic devices that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 and nonhuman beings. Now that modern belief that humans have an edge over other creatures is greatly challenged, the nonhuman character in the posthumans ecosystem itself creates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other objects. From a posthumanitarian perspective, the task of examining the functions of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the needs of our society, where issues such as animal rights and robot rights are emerging at the forefront, and as an experience to foster children’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ensibilities, it can be a process to find meaning in children’s literature. 이 글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밝히고자 마해송의 동화 속 비인간캐릭터들을 분석한 것이다. 비인간캐릭터는 서사 속에서 인간처럼 느끼고 말하고 행동하는 인간 아닌 개체로, 이 논문에서는 이들이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어떻게 놓여있는가를 기준으로, ‘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비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객관적으로 서술된 비인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해송 동화를 통해 확인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간에 대한 인식을 확장한다. 둘째, 인간을 성찰하게 한다. 셋째, 인간-비인간의 관계를 제시한다. 넷째, 인간과 비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아동을 부각한다. 이때 마지막 기능은 특히 아동문학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아동문학에서 비인간캐릭터는 아동의 표상과 함께 아동 앞에 전시되고, 아동 독자는 아동의 표상을 통해 비인간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대상이 아닌 행동 주체가 되어 세계와 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역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인간캐릭터는 비인간과 인간 아닌 존재의 관계를 드러내는 서사 장치이다. 인간이 다른 생물․사물보다 우위에 있다는 근대적 믿음이 크게 도전받고 있는 지금, 포스트휴먼 생태계에서 비인간캐릭터는 그 자체로 인간과 다른 대상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마련한다.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아동문학 속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살피는 작업은 동물권, 로봇권 등의 문제가 전면에 부상하는 우리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응하는 일이자, 아동의 환경․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게 되는 경험으로서 아동문학의 의미를 찾는 과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생활 스트레스와 지각된 불안 통제감 및 대처양식이 대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최미경,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4 No.2

        Based on the stress-vulnerability model, we hypothesized that life stress, perceived anxiety control, and coping style would significantly affect anxiety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and that perceived anxiety control and coping style would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nxiety symptoms. To examine these hypotheses, cross-sectional and short-term longitudinal studies were conducted with 335 and 280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cross-sectional study revealed that life stress and perceived anxiety control independently affected anxiety symptoms. In addition, perceived anxiety control was found to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nxiety symptoms, whereas coping style was not. Next, the results of the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reveal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anxiety symptoms at Time 1, life stress significantly affected anxiety symptoms at Time 2. Coping style was shown to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nxiety symptoms at Time 2, whereas perceived anxiety control was not. These findings provide general support for the proper theoretical application of the stress-vulnerability model to anxiety symptoms of non-clinical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예비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미경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41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교육은 2022년 11월 28일부터 12월 2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D대학교 4학년 재학생들이었다. 총 12명을 표집하여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정했다. 실험집단은 사전교육을 포함한 이론교육과 20분의 유아와의 놀이 비디오 촬영 및 이후 피드백 과정과 면담을 진행했다. 본 교육과정 시작 전과 종료 직후에 놀이신념 척도와 놀이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각각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고, 연구 변인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의 Wilcoxon 부호-서열 검정을 실시했다. 예비보육교사와의 면담내용은 내용분석을 통해 제시했다. 분석결과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놀이신념은 사전-사후 결과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놀이교수효능감은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니 하위요인인 놀이교수효능신념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면담을 통해서는 아동 주도 놀이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으며 아동과의 놀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고 진술했다. 이는 예비보육교사들이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을 통해 영유아의 놀이에 긍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믿음이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즉,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은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아동주도 놀이의 이해와 효과적 참여 나아가 놀이교수효능감을 증진시켰다. 본 연구는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예비보육교사에게 아동주도의 놀이 및 효과적인 놀이참여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아존중감에 관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2000년~2016년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최미경,정영인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theses related to self - esteem that have been presented in Korea over a 17-year period. For this purpose, 274 pieces of 264 master's theses and 10 doctoral theses were collected from KERIS online information service,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s of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research fundamentals, study subjects, research designs, and research method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ends in research fundamentals have been announced steadily by year, with the phenomenon having increased rapidly in 2008, and art therapy occupies a large proportion of research majors. Second, the trends of the study were 5-10 normal children in mixed groups. Third, the research design trends were integrated study, pre - and post - test design being performed in group, and not having many subjects to control. Self-esteem related measures (SEI, SES, SEQ) and K-HTP assessments were highly frequent in the employed test tools. Fourth, the research method trend was 11 -15 sessions in total, and the time required was 40 - 60 minutes. These results will help future researchers who plan and implement art therapy research to improve self – esteem. 본 연구는 최근 17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자아존중감 관련 미술치료 학위논문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교육학술정보원 KERIS의 온라인 정보서비스에서 석사 264편 박사 10편, 총 274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고 연구 기초사항, 연구대상, 연구 설계, 연구방법으로 구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결과에 따른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기초사항 동향은 연도별로 꾸준히 발표되고 2008년에는 급증하는 현상과 미술치료 전공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 동향은 혼성 집단에서 5~10명의 정상 아동 대상이 많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설계 동향은 통합적 연구로 집단에서 검사 설계를 사전․사후 시행하고 통제대상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검사 도구에서는 자아존중감 관련 척도(SEI, SES, SEQ)와 동적 집 나무 사람 검사(K-HTP)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넷째, 연구방법 동향은 정서 영역을 주제로 총 11∼15회기 진행으로 소요시간은 40∼60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를 계획하고 시행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랑까스의 북소리 Redibke por Rancas』 : 인디오들의 소리 없는 싸움

        최미경 부산외국어대학교 이베로아메리카연구소 2008 이베로아메리카 Vol.10 No.2

        독립 이후 자본주의 원리를 근간으로 하는 페루의 국가정책에도 불 구하고 인디오들은 예부터 내려오는 협동체제 하에서 공동체를 유지, 이끌어 가고 있었다. 그러나 지주와 지방호족, 관료들의 횡포로 그들은 자연과 더볼어 사는 공동체적 삶의 붕괴와 계속되는 땅의 수탈을 겪으 면서 노동력을 제공하는 기계로, 사회적으로 소외된 인간으로서의 수 모를 당하는 억압자들의 지배를 받는다. 이와 같은 착취체제는 인디오 들에게 경제적 궁핍은 물론 정신적인 핍박을 안겨 주었는데, 이는 지배 자들의 의지, 인디오들의 투쟁정신 결여와 패배의식 용인이 불러온 결 과였다. 이유가 무엇이었든 간에 어쨌든 인디오들이 처한 상황은 정신 적, 육체적으로 그들을 힘겹게 만들었다. 그런데도 인디오들은 오랜 시 간동안 자신들을 억눌러 온 봉건제도에 맞서고 잃어버린 땅을 되찾기 위한 저항을 포기하지 않았다 페루사회가 언디오에 대한 보호정책을 추진하지 않는다 해도, 공동 체로부터 인디오를 이탈시키려 해도, 인디오에 대한 착취를 묵인한다 해도 16세기 이 래 계속돼 온 인디오들의 항거가 말해주듯 인디오들에 겐 현실의 어려웅을 극복하려는 강한 의지가 있다. 마누엘 스꼬르사는 인디오들의 이런 모습을 경험을 통해 알고 있었고 이를 Redoble por Rancas라는 작품에 담았다. 작가는 문학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고, 인디오들의 문제와 그들의 현실탈바꿈 노력을 세상에 알림으로 써 인디오들이 정복으로 감추어진 진정한 역사를 복구하고 정의와 화 합으로 빚어진 새로운 질서가 정착하는 미래를 만들기를 갈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